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수성 촉매를 이용한 수소동위원소 교환 반응 측정을 위한 순환 반응기

        최희주,이한수,안도희,강희석,김광락 한국공업화학회 2002 응용화학 Vol.6 No.2

        The catalytic rate constants of hydrophobic catalysts developed for the removal of tritium mainly generated in the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should be measured. A recycle reactor was designed and built for characterzing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catalyst performance at the various temperatures and gas velocities.The catalytic rate constants were measured at the apparent gas velocity of 0.5 m/s and the temperature of 60℃. The initial catalytic constant was 8.44×10^-4mol/g.sec. This value is much greater than that considered in the design of Wolsong Tritium Removal Facility.

      • SCOPUSSCIEKCI등재

        도재브라켓의 제거방법에 따른 법랑질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학적 관찰

        박미숙,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5

        도재브라켓의 제거방법에 따라 법랑질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80개의 발거된 소구치를 대상으로 통법에 의해 도재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일주일 후 각각 40개의 기계적 방법에 의한 제거군과 전기열전도 방법에 의한 제거군으로 구분하여 도재브라켓의 제거를 유도한 후, 그 탈락양상 및 도재브라켓과 법랑질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전기열전도 방법에 의한 제거군을 다시 각각 10개씩 고속 tungsten carbide bur에 의한 연마군, 저속 sof-lex disc에 의한 연마군, 고속 resin polishing bur에 의한 연마군, 그리고 초음파 치속제거기에 의한 연마군으로 분류하여 잔여레진의 연마를 시행한 후, 잔여레진의 연마를 시행한 후, 잔여레진의 평가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찰와이어 절단용 겸자를 이용한 도재브라켓의 기계적 제거시, 0.69의 평균 잔여레진 부착지수를 보임으로써 법랑질과 레진 경계부에서 파절이 가장 빈발한 양상을 보였다. 2) 전기열전도 방법을 이용한 도재브라켓의 제거시 2.19의 평균 잔여레진 부착지수를 보임으로써 브라켓과 레진 경계부에서의 파절이 가장 빈발한 양상을 보였다. 3) 기계식 방법으로 도재브라켓의 제거시, 법랑질표면의 주사현미경 관찰소견은 실험군의 7.5%에서 법랑질표면의 탈락과 패임 등의 손상을 보였다. 4) 잔여레진의 제거의 고속 resin polishing bur 사용군에서 가장 적은 잔여레진막을 보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frequency of ceramic bracket fracture, frequency of enamel fracture, bond fracture site, adhesive remnant index after mechanical and electrothermal debracketing,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high and low speed rotary instrument and ultrasonic instrument during residual adhesive remnants removal, and to measure resin film surface(percentage) using by image analyser(Leco 300). Bond fracture site, bracket fracture, and enamel surface damage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mechanical debracketing group, the bond failed predominantly at enamel-adhesive interface with the bulk of adhesive remaining on bracket base. 2. In the electrothermal debracketing group, the bond failed predominantly at adhesive-bracket interface with the bulk of adhesive remaining on enamel surface. 3. The most effectiveness of residual resin removal was obtained by means of the resin polishing bur and the order of scratch formation was the precedure using tungsten carbide bur, ultrasonic scaler, sof-lex disc, and polishing bur. 4. The order of the resin film surface percentage was ultrasonic scaler, tungsten carbide bur, sof-lex disc, and resin polishing bur.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圓光醫大 附屬 第2病院 神經精神科 患者에 對한 統計的 考察(Ⅱ)

        박민철,장광철,김상원,김한주,유미경,김훈,유용진,김현정,박남진,오상우,이귀행,노승호,백영석 圓光大學校 醫科大學 神經精神科學敎室 1992 圓光精神醫學 Vol.8 No.1

        본 연구는 1986년 7월 11일부터 1991년 7월 10일까지 원광의대 부속 제2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의래 및 입원치료를 받았던 6,0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차조사 (박민철 등1986)와 비교했다. 1.전체 환자 중 남자가 54.4%로 여자보다 많았고, 이리와 이리 인접지역이 84.0%로 대부분의 지역을 나타났다. 의료보장상태는 보험환자가 57.1%, 의료보호환자21.8%, 일반환자 21.1%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24.6%, 30대 22.8%로 20대 30대가 절반정도를 차지했다. 2.외래환자에서는 신경중성장애가 46.0%로 가장 많고 정동장애, 경련성장애 순이며, 입원환자에서는 정신분열증이 30.5%로 가장 많고 기질성정신장애, 정동장애의 순이었다. 3.남자는 신경증성쟝애(23.4%), 정신분열증, 기질성정신장애 순이고 여자는 신경증성장애(39.9%), 정동장애, 정신분열증의 순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진단은 알코올정신장애(94.6%), 기질성정신장애, 소아정신장애 순이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진단은 정동장애(64.5%), 신경증성장애였다. 4.진단별 연령분포에서 신경증성장에는 30대(25.3%), 20대, 40대 순이고, 정신분열증은 20대(40.5%), 30대, 4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 30대, 50대 순이나 비교적 비슷한 융이었다. 5.진단별 발병연령에서 신경증성장에는 20대, 30대가 절반이고,정신분열증은 20대(51.3%), 10대, 3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30.7%), 30대, 50대 순이었다. 진단별 평균 발병연령은 신경증성장애 32.7세, 정동장애 36.1세, 정신분열증 23.6세였다. 6.진단별 이병기간은 2년이상이 신경증성장에 28.3%, 정신분열증 68.5% 정동장애 43.9%인데 전체적으로 41.0%였다. 진단별 평균 이병기간은 정신분열증 73.2개월, 정동장애 45.5개월, 신경증성장애 29.5개월이었다. We examined epidemiologic study of 6,072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Neuropsychiatric hospital since July 11 of 1986 until July 10 of 1991 and compared this results with previous study(Park et al 1986). The study revealed as follows:1. Of total patients males visited this hosptial more than females as 57.1%, Most of them(84.0%) resided Iri and neighbouring Iri. In the point of insurance, insured patients, medicaid patients and uninsured patients were 57.1%, 21.8% and 21.1% respectively. On the distribution of age, the twenties, the thirties were 24.6%, 22.8% respectively and twenties and thirties were about half of total patients. 2. Of outpatient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46.0%,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convulsive disorder, but of inpatients schizophrenia was the most as 30.5%, secondly organic mental disorder and thirdly mood disorder. 3. Of 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23.4%, secondly schizophrenia, and thirdly organic mental disorder, but of fe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39.9%,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schizophrenia. alcoholic mental disorder(94.6%), organic mental disorder, child mental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males,but mood disorder(64.5%) and neurotic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females. 4. On the distribution of age neurotic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hirties(25.3%), next in the twenties and in the forties, and schizophrenia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40.5%),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mood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revealed similar rates relatively. 5. On the distribution of age of onset neurotic disorder developed nearly half during the twrnties and the thirties, schizophrenia developed mostly during the twenties (51.3%), secondly the teens and thirdly the thirties, but mood disorder developed firstly the twenties(30.7%), secondly the thirties and thirdly the fifties. on the average age of onset of illness neurotic disorder, mood disorder and schizophrenia were 32.7 years, 36.1 years and 23.6 years respectively. 6. On the duration of illness more than two years was 28.3% in neurotic disorder, 68.5% in schizophrenia and 3.9% in mood disorder and on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neurotic disorder were 73.2 months, 45.5 months and 29.5 month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