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epatic Cirrhosis Occurring in a Young Woodchuck(Marmota monax) Due to Vertical Transmission of Woodchuck Hepatitis Virus(WHV)

        Kyu-shik Jeong,정원일,Jae-yong Chung,Mi-young An,Chae-yong Jung,Gyoung-jae Lee,Jong-soo Kang,Byeong-cheol Kang,Young-heun Jee,Bruce H Williams,Young-oh Kwon,Da-hee Jeong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Cirrhosis Occurring in a Young Woodchuck (Marmota monax) Due to Vertical Transmission of Woodchuck Hepatitis Virus (WHV)Da-hee Jeong, Won-il Jeong, Jae-yong Chung, Mi-young An, Chae-yong Jung, Gyoung-jae Lee1, Jong-soo Kang1, Byeong-cheol Kang2, Young-heun Jee3, Bruce H Williams4, Young-oh Kwon5 and Kyu-shik Jeong*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1Shinwon Scientific Co., LTD,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2Clin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0-744, Korea3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90-756, Korea

      • Development of a bivalent live vaccine against duck hepatitis A virus types 1 & 3 and vaccine program for breeder ducks in Korea

        Jae?Hee Roh(노재희),Min Kang,Bai Wei,Se-Yeoun Cha,Jeong-Gon Cho,Hyung-Kwan Jang 한국가금학회 2017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11

        어린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의 예방을 위해 혼합생백신 개발, 백신의 방어기전 연구 및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의 개발로 질병방어 및 제어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국내에는 1형과 3형이 동시 유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3형의 발생보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1형과 3형의 복합감염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효율적인 질병관리를 위해 국내에 발생하는 오리간염 1형과 3형을 동시에 방어하는 혼합백신을 개발하고 그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운반 및 보관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오리감염 생백신의 3-5일 만에 조기면역을 획득하는 특성분석을 위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Cytokine이 백신접종 그룹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IFN-α에서 강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항체가 평가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백신 후 3일째에 항체를 획득하였고, 10일째에는 최고수준의 항체가 수준을 나타냈다. 세 번째, 1주령이하의 어린 일령에 치명적인 질병의 특성상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예방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농장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종오리 농장 4개동 4천수의 종오리를 대상으로 백신을 실시하였으며, 모체의중화항체가(VN titer) 8 log2이상에서 후대병아리 14일령까지 100% 방어효능을 확인하였다. 모체이행항체의 전달률은 11%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후대병아리의 항체가를 개체별 추적하여 계산한 결과 모체이행항체 반감기는 3-5일령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 예방을 위한 혼합생백신 개발에 관한 연구로 기존의 국내 상용화백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국내에 유행하는 혈청형들을 단회백신으로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혼합생백신을 개발하였으며, 백신의 특성상 조기면역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기전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국내에 적용하여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후대 병아리의 우수한 방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두 가지 수술적 치료군 간의 결과 비교: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 비교

        허성식 ( Sung Sik Ha ),심재천 ( Jae Chun Sim ),홍기도 ( Ki Do Hong ),김재영 ( Jae Young Kim ),강정호 ( Jung Ho Kang ),박광희 ( Kwang Hee Park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총 68예의 쇄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금속판을 이용한 33예, Steinmann pin을 이용한 35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결과 판정은 강 등의 기준에 의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기간으로 하였고, 수술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의 예가 금속판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3예 중 29예로 88%, Steinmann pin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5예 중 32예로 91%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골유합 시기는 각각 평균 8.9주와 9.1주였고, 수술 시간은 금속판 군에서 평균 72분, Steinmann pin 군에서 평균 18분이었다. 결론: 성인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금속판을 이용한 수술 군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에서 수술 시간 및 회복기간의 감소로 인하여 경제적인 면과 수술반흔의 감소에 따른 미용적인 면에서 더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the plate and percutaneous reduction by towel clip and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 for clavicle shaft fractures in adult.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tudied the results in 33 cases with the plate. 35 cases with the Steinmann pin among total 68 cases of clavicle shaft fractur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over a period of at least 12 months. The final postoperative outcome was analyzed with the clinical outcomes using Kang`s criteria. radiological union time and operation time. Results: The clinical outcome that was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Kang`s criteria showed a distribution of 88%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ith 29 cases out of total 33 cases. 91% in the group using the Steinmann pin with 32 cases out of total 35 cases. The mean radiological union time was 8.9 week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9.1 week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The mean operation time was 72 minute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hereas was 18 minute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adult clavicle shaft fracture. two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However, the operation tim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recovery was significantly shorter and faster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Additionally economic and cosmetic aspect was more satisfactory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 KCI등재

        Grade 2, 4 티타늄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식립 및 제거 토크와 식립 후 조직학적 반응의 비교

        강승택,권오원,성재현,경희문,박효상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3

        마이크로 임플랜트는 순티타늄과 티타늄 합금을 사용하고 있다. 순티타늄의 경우 grade가 낮을 수록 생체적합성은 증가하나 기계적 성질이 낮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티타늄 grade 2와 grade 4를 재료로 한 마이크로 임플랜트를 각각 토끼의 다리뼈에 식립한 후 2, 8, 12주의 시간경과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와 식립, 제거 시의 최대토크의 측정으로 그 티타늄 종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토끼의 경골에 식립한 티타늄의 종류에 따른 식립시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거시의 토크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grade 2와 grade 4간의 식립 시 최대토크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식립 후 2, 8, 12주 후의 제거 시 최대토크 측정에서 전체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2주에서 8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거 시 최대토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8주와 12주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유지력은 grade 2 티타늄과 비슷하지만 물리적 성질이 더 단단한 grade 4 티타늄을 마이크로 임플랜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ight microscopic features and the maximum insertional and removal torque value of microimplants, made from titanium grade 2 or 4, in the tibia of 6 rabbits. First, the maximum torque values of microimplants at implantation were measured. After 2, 8, and 12 weeks of healing time, the microimplant-containing segments of tibia of 2 rabbits were removed and the maximum removal torque of each microimplant were measured. Comparisons of histologic examination and insertional and removal torque values were carried out for the two groups of microimplants. Removal torque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8 and 12 weeks as compared to 2 weeks after implantation. Other values measured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ere no his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rade 2 and 4 titaniu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 2 and 4 titanium. It seems better to use grade 4 titanium for making microimplants because grade 4 titanium is mechanically harder than grade 2 titanium and has similar retention.

      • 당귀(Angelica acutiloba)와 감초(Glycyrrhizauralensis)의 열 추출액이 장내 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강국희,김경민,정재록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자원연구소 1997 生命資源科學硏究 Vol.4 No.2

        Bifidobacteriurn longum,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Clostridium butyricum, Escherichia coli and Eubacterium limosum were cultured on the modified PYF medium containing 0.5% of glucose, heating extract(w/w) of Angelica acutiloba or Glycyrrhiza uralensis, and anaerobically incubated for 48hrs at 37℃. As a control, the same intestinal microorganisms cultured on the PYF medium with no additives and they wer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addition of the heating extract of Angelica acutiloba increase the growth but optical density was lower than addition of glucose for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orgamisms which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However, the heating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slightly inhibited the growth for most intestinal microorganisms(Bif. longum, Bif. adolescentis, Cl. butyricum, and Eu. limosum) and it had a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Eu limosum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control.

      • 비판적 문헌고찰에 의한 건강행위 관련이론의 분석

        강남미,유경희,김성재,조남옥,최희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1996 간호학 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ritical review analyzing literatures of theories focused on changes of health behaviors. 5 theories-TRA, HBM,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Locus of Control-were selected among many theories of health behaviors. Theories were summarized, and models and concepts of theories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 1. health behav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preventive behaviors and curative behaviors. 2. Most conceran of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was on health behavior execution itself or on its outcome. 3.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was on initiation, maintenance, facilitation, and change of preventive and curative behaviors. 4. Factors affecting on health behaviors were demographic factors as exogenous variables and intrapsychic and extrapsychic factors as endogenous variables. 5. Previous studies tested predictability and explicability of these theories onhealth behavior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s most. 6. concepts of TRA,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d higher explicability on health behaviors than concepts of HBM and Locus of control. From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and considerations for futher nursing studies related with these theories. And we derived testable propositions from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each others.

      • SCIESCOPUSKCI등재
      • 모세관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1,2,4-트리메틸벤젠 대사체의 분석

        강종성,홍정희,임정미,이용문,장재연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9 藥學論文集 Vol.15 No.-

        방향족 탄화수소인 tnmethylbenzene (TMB)은 그 사용량이 늘어갈 뿐 아니라 직업적으로 폭로되는 양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생물학적 모니터링 및 흡수, 대사, 배설에 관한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MB는 간의 산화효소에 의해 하나의 메틸기가 산화되고 이것은 glycine과 포합되어 배설되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4-TMB의 대사체를 합성하고, 모세관의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흰쥐의 뇨 중에서 1,2,4-TMB의 대사체인 3,4, 2,4, 2,5-dimethylbenzoic acid 및 3,4 2,4 2,5-dimethylhippuric acid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경 75㎛, 총길이 35cm (검출기까지 29cm)인 용융실리카 모세관을 15℃로 유지하면서 양단에 10kV의 전압을 걸어주고, 전해질로는 15mM β-CD, 3% 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01m 인산완충액 (pH 7)을 사용하였으며, 검출신호는 UV 210nm와 254nm에서 동시에 모니터링하였다. 뇨 시료의 분석 결과 배설된 1,2,4-TMB의 대사체의 상대량은 3,4-이성질체가 56.&%, 2,4-이성질체가 30.5%, 2,5-이성질체가 12.8%였다. 이 방법은 노동자의 뇨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metabolites of 1,2,4-trimethylbenzene (TMB) were synthesized and determin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The optimum conditions of CE for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3,4-, 2,4-, 2,5-dimethylbenzoic acid and 3,4-, 2,4-, 2,5-dimethylhippuric acid from the rat wine were as following: the fused silica capillary(75μm i.d. X 36 cm length, 29 cm to detector) was used and kept at 15℃ The applied voltage was 10kV and compounds were detected at UV 210 nm and 254 nm. The running electrolyte was 0.1 M phosphate buffer (pH 7) contalI1ing 15 mM of β -CD and 3% of 2-propanol. The relative amount of the metabolite of 1,2.4-TMB in the rat urine was 56.7% of 3,4-isomer, 30.5% of 2,4-lsomer and 12.8% of 2,5-isomer.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MB-metabolites in human 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