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미래 의미 표지법 대조 연구 - 미래문법형태 ‘-겠-’과 ‘要’를 중심으로

        오윤지,김혜경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7

        본 연구는 중국어의 ‘要’와 한국어의 ‘-겠-’을 대조 연구함으로써 미래문법형태 본고에서는 ‘要’와 ‘-겠-’이 각 언어 체계에서 차지하는 지위가 다르며, 이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 역시 이어지고 있음을 염두에 두어 이들을 일괄적으로 지시하는 용어로 ‘미래문법형태(future gram)’를 사용하고자 한다. 여기에서의 ‘문법형태’란 문법적인 형태소(grammatical morphemes)를 말하며, 문법적인 형태소들은 실현 위치, 공기 제약, 또는 몇몇 특정한 문법적인 작용에 의해 결정된 폐쇄 부류의 요소들이다(Bybee et al.(1994[2010]:26-27) 참조). 본 연구는 이러한 문법적 범주에 속하는 문법 형식을 통한 미래의미 표지법의 대조에 제한하여 작성된 논문임을 밝힌다. 와 관련된 언어학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미래를 표현하는 언어적 범주는 범언어적으로 단일하게 설정되기 어려우며, 미래문법형태의 문법화 경로 역시 단방향으로 파악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본고는 ‘미래’ 자체의 개념적 특성과 개별 언어의 유형학적 특성, 시간 표시 체계가 미래문법표지의 문법적 범주 설정과 문법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A polyethylene glycol-based hydrogel as macroporous scaffold for tumorsphere formation of glioblastoma multiforme

        오윤지,차정화,강석구,김필남 한국공업화학회 2016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39 No.-

        We report a formation of macroporous scaffold which is based on polyethylene glycol (PEG)-basedalginate (ALG)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IPN) hydrogel. Using this scaffold, we assess thetumorsphere (TS)-forming ability of glioma cancer stem cells (gCSCs), which subpopulation has beenhighlighted as a main cause of therapeutic resistance due to self-renewal and potential of differentiationproperties.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methods to study the TSs, however, there is no plausiblemethod to evaluate the formation of single gCSC cell-derived TSs, due to fusion-induced cell aggregation. To provide reliable assessment, the PEGDA hydrogel interpenetrated with ALG was fabricated asmacroporous scaffold for TS formation of patient-derived gCSCs. With UV-ionic dual crosslinkingprocess, the pore size of PEGDA-ALG hydrogel is magnified enough to be applied as a macroporousscaffold, providing increased internal voids for TS growth and expansion. As a result, within macroporousscaffold, the multiple number of single gCSC-derived TSs was successfully formed inside the structuralvoids.

      • TP-59 :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방사선과 스타틴 병합 투여의 효과

        오윤지,이태걸,정은희,김서윤,김철현,김혜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목적: 방사선은 폐암에서 널리 이용되는 치료이다. 그러나 폐암이 갖는 방사선 내성으로 인해 고용량의 흉부 방사선 조사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실패하기도 한다. 한편 스타틴은 이전 연구들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방사선과 스타틴을 병합하여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를 살펴보고, 그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A549, HCC827, HCC95 세포에 방사선과 스타틴(lovastatin)을 단독 혹은 병합 투여하고 세포생존율을 측정 하였다. 또한,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apoptosis와 cell cycle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적: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방사선과 스타틴 각각의 단독보다 병합 투여 시 세포사멸이 증가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세포성장에 관계하는 신호전달체계 내 단백질인 Akt phosphorylation이 방사선 조사 후 증가되었다가 lovastatin 처리 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 과정에 서 세포주기의 G1 arrest와 apoptosis가 증가하였고, p53 경로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결론: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 시 스타틴 병합 투여는 AKT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증가시키고, 이 과정에서 P53 경로를 활성화하여 apoptosis와 cell arrest를 유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영어 내신 성적 관련 예측 요인 탐색

        오윤지 한국영어평가학회 2020 영어평가 Vol.15 No.2

        Due to the recent change in the admission system, the importance of high school record has increased. The priority on the assessment is the grade and the comment from teach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tha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nglish grades. To this end, th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factors that predict the English grade of high school record. This study used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data and developed a random forest model. In this prediction model, the grades of 4,740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were used. The number of variables were 98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chool education, private education, background). Result of the study showed successful performance in other subjects, aiming at achieving post-graduate degrees and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presented as most highly releva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should construct the class and the evaluation tools with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tudent’s self-study. Students should set a specific goal for final education and make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eature of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

        오윤지,김치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suggest the topography of fandom’s enjoyment activities by attempting to categorize K-Pop fandom contents in YouTube. Fandom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 on YouTube includes both top-down contents derived from a higher-level structure and bottom-up contents generated by fandom, but bottom-up contents are predominant, showing dynamic and subjective fandom enjoyme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ve aspects of fandom and sought a standard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fandom contents. Using the inductive principle, 130 K-Pop fandom cont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eation structure format and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rm of ‘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 in which fandom contents were transformed based on primary contents and the form of ‘new contents creation’ newly composed by the fandom were structurally revealed. In addition, two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knowledge information’ and ‘sensory inform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➀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knowledge information ➁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sensory information ➂creation of new contents-knowledge information ➃creation of new content-sensory information, and this was exemplified through the case of fandom contents.

      • KCI등재

        K-Pop 팬덤 콘텐츠를 통한 팬덤의 확장된 표현형

        오윤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K-Pop fandom content production in terms of Richard Dawkins' The Extended Phenotyp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production of fandom cont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andom member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fandom 'self-expression', which is the cause of fandom content creation, is driven by individual behavioral strategies in the genetic sense of Richard Dawkins. Fandom superimpose their identity on the production of fandom content and perform extended expression for the survival and continuation of their gen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s 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productivity of K-Pop fandom by understanding it in terms of natural science.

      • KCI등재

        버추얼 아이돌 팬덤의 향유 문화 연구

        오윤지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enjoyment culture aspects of virtual idol fandom in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nline participatory observation. Given the fact that virtual idols were formed based on K-Pop idols,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ir fandom patterns are simila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virtual idol is formed as Moe based on K-Pop and that the enjoyment identity of fandom functions from 'producer' to 'user' in that Moe content products are continuously provided from the top down. Second, fandom deconstructs the real and virtual of virtual idol and recognizes them as a single self. This suggests that even though virtual idol is a combination of ‘virtual' and ‘real', they are identified as a single self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enjoyer. Finally, fandom was engaging in technology-derived enjoyment. Specifically, ‘technology defects’ were transformed into fun elements, ‘music enjoyment’ was synergized with visuals, and ‘cartoon visuals’ were unrealistic.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concrete analysis of the enjoyment culture of virtual idol fando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버추얼 아이돌 팬덤의 향유 양상을 심층 인터뷰와 온라인 참여관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고는 버추얼 아이돌이 K-Pop을 기반으로 형성된 사실에 따라, 이들의 팬덤 양상 또한 닮아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연구 결과, 첫째, 버추얼 아이돌은 K-Pop에 기반 된 모에로 형성되었다는 점과 하향식으로 모에 콘텐츠 상품이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팬덤의 향유 정체가 ‘생산자’에서 ‘유저’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팬덤은 버추얼 아이돌의 실재와 가상을 해체 시켜 이들을 하나의 자아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버추얼 아이돌이 ‘가상’과 ‘실재’로 조합되었어도 향유자의 인식에 따라 하나의 자아로 그 정체가 규명된다는 점을 통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팬덤은 기술에서 파생된 향유를 진행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재미 요소로 변모한 ‘기술 결함’, 비주얼과 시너지를 내는 ‘음악 향유’, 비현실적 ‘만화 비주얼’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버추얼 아이돌 팬덤의 향유 문화를 정치하게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팬 경험을 활용한 팬 플랫폼 전략 위버스를 중심으로

        오윤지,김치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4 애니메이션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팬덤의 경험적 측면에 주목하여 팬 플랫폼의 지속 성장에 대한 원인을 탐구하였다. 기존 SNS의콘텍스트에 따라 자생적인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던 팬덤은 상위 지점에서 미리 구조화한 위버스로 흡수되어 새로운 향유 경험의 양상을 보인다. 팬 플랫폼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 파편화된 팬덤을 한곳에서 관리하는 전략을 행하는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를 하향식으로 제공하며 팬덤의 수용적 향유를 부추긴다. 이러한 수용 패러다임 속에서 팬덤의 지속적 향유 동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비즈니스 관점에 서서 팬덤의 지속적 향유를 이끄는 기업의 전략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팬 플랫폼인 위버스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어떠한 팬 경험 요인이 위버스를 지속시키는가에 초점을 두고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에 근거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위버스는 체험 마케팅의 관계 요소를 중점으로 ‘아티스트-팬’, ‘콘텐츠-팬’ 간의 연결을 중요시했다. 먼저 ‘콘텐츠-팬’의 연결 안에서 팬덤은 ‘욕구 충족’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파생되는 행동 요소는 ‘수용자’의 모습이었다. 계속해서 생성되는 콘텐츠와의 연결 서비스는 팬덤을 ‘만족스러운 유저’로 형성시키며 이들의 참여를지속적으로 이끄는 모습이었다. 또한, ‘콘텐츠-팬’의 연결 속에서 위버스는 언어 자막, 콘서트 관련 기술 도입 등을 통해 팬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인지 요소를 충족시키는 모습이었다. 마지막으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특징인 ‘시청각 콘텐츠의 제공’은 팬덤의 감각적 요소를 자극하는 구조이다. ‘아티스트-팬’의 연결은 아티스트 탭, 1:1 채팅과 같은 메뉴에서 잘 드러났다. 팬덤은 인지 요소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유저’이지만, 상상 속 인물로 치부되었던 아티스트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직접 커뮤니케이션을실행하며 아티스트와 같은 ‘수평적 지위’를 획득하는 경험을 한다. 이는 수직과 수평의 양가적 조화를 활용하여팬덤의 참여를 유도하는 위버스의 경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파생되는 감정 요소인 ‘유대감’이라는 다이내믹스는 팬덤의 위버스 사용 지속 동력으로 작동되고 있었다. 위버스와 같은 팬 플랫폼의 등장은 팬덤의 향유 양상을 수용 패러다임으로 변모시켰지만, 동시에 다양한 체험요소를 제공하며 팬덤의 경험을 확장시켰다. 본고는 위버스의 팬 경험 전략을 탐구함으로써 비즈니스의 지속 성장 원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s for the sustained growth of fan platforms by focusing on the experiential aspect of fandom. Fandom, which used to enjoy self-generated transmedia content in the context of existing SNS, has been absorbed into a pre-structured Weverse from a higher level, resulting in a new experience of enjoyment. Fan platforms implement a strategy to manage fragmented fandom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in one place, while providing diverse content from the top down and encouraging receptive enjoyment of fandom. In this acceptance paradigm, what drives the sustained enjoyment of fandom? This study sought to answer this question and identify the strategic factors that lead to the sustainable enjoyment of fandom from a business perspective. To this end, Weverse, a representative fan platform,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Bernd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theory, focusing on what fan experience factors sustain Weverse. As a result of the study, Weverse emphasized the connection between "artist-fan" and "content-fan" as the relationship ele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First, within the "content-fan" relationship, the fandom has a "need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element derived from this is the appearance of an "adopter". In the "content-fan" relationship, Weverse satisfies the cognitive element of the fan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such as language subtitles and concert-related technology. Finally, the provision of audiovisual content, characteristic of entertainment content, is a structure that stimulates the sensory component of fandom. The "artist-fan" connection was evident in menus such as the artist tab and 1:1 chat. Fandom is "satisfied users" in terms of cognitive elements, but they also experience the "horizontal status" of being on the same level as the artist by receiving real-time opinions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artist, who was previously considered a fictional character. This is Weverse's experience strategy, which uses an ambivalent mix of vertical and horizontal to engage the fandom. The emotional component, the "bonding" dynamic, is what drives the fandom's continued use of Weverse. The emergence of fan platforms like Weverse has transformed the enjoyment paradigm of fandom into an acceptance paradigm, but it has also expanded the experience of fandom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tial elements. This paper examines Weverse's fandom experience strategy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e company's continued growth.

      • KCI등재

        미래시(將來時) ‘要’ 試探-양태와 미래의 문법화 경로를 중심으로-

        오윤지,오유정 중국학연구회 2024 중국학연구 Vol.- No.108

        이 논문은 양태와 미래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양태 기능을 나타내는 조동사 ‘要’의 미래시제 표지로의 발전에 대해 살펴본다. 조동사 ‘要’는 양태와 미래의 복합적인 의미를 나타내므로 선행 연구에서는 양태의 범주나 미래의 범주에서 설명한다. 본고는 미래시제 범주는 양태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보고, 현대중국어의 ‘要’는 미래 시간 지시 기능을 바탕으로 미래시제 기능을 가지게 되었으며, 최소한 시제 범주의 문법화 단계에 근접했음을 주장한다. 언어보편적으로 미래시제의 발전은 ‘의도 → 의도+예측 → 예측 → 시간 지시 기능’이라는 문법화 경로를 따른다. 중국어의 ‘要’ 역시 이러한 경로를 따라 시간 지시의 기능을 나타내는 미래시제 표지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때 ‘要’의 근원 의미로부터 발전한 의도 및 예측의 의미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공시적으로 유사한 양태 의미를 나타내는 ‘會’나 ‘得’이 미래시제 표지로 발전하지 못한 원인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會’는 가능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의미로 발전하였으나, 완전한 시간 지시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得’의 경우 의도와 예측의 의미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기보다는 각각 존재하며, 아직 미래시제로의 발전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 In this study, we argue that the future tense category is beyond the scope of modality, and that ‘要’ in Modern Chinese has a future tense function based on the future time reference function and is at least close to the grammaticalization stage of the tense category. Cross-linguistically,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tense follows the grammaticalization path of ‘intention → intention+prediction → prediction → time reference function’. The development of ‘要’ in Chinese also follows this path, with the future tense marker indicating a time reference function, and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and prediction meanings that evolved from the root meaning of ‘要’ played an important role. We also examined why ‘會’ and ‘得’, which synchronically have similar modality meanings to ‘要’, did not develop into future tense markers. ‘會’ has developed into a meaning of predicting future situ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possibility, but it has not reached the stage of completely representing the meaning of time reference. In the case of ‘得’, the intention and prediction meanings are separate rather than combined, and the development into the future tense is not yet progress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