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늘 본 자료
주한해외문화원과의 비교를 통한 재외한국문화원의 개선방안 - BSC 조직분석법을 바탕으로 -
이주빈,김선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모범적 사례로 꼽히는 독일, 프랑스, 영국의 해외문화원과 비교 분석을 통해 재외한국문화원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으며, 비교분석모형으로는 균형성과표(BSC)를 차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무적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주한해외문화원에 비해 재정의 자립도가 매우 낮았다. 둘째, 고객(이용자)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전반적으로 주한해외문화원에 비해 현지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졌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지와의 추가협력사업 발굴이 필요했다. 셋째, 내부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의 관리체계는 문화원장 1 인이 단독으로 인력을 관리하는 반면,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자체적인 성과관리체계가 부재했다. 마지막으로 학습과 성장의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전문성 함양보다는 공직자 역할 및 행정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보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재외한국문화원의 재정자립도, 접근성, 인력구성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코리아센터의 확대 운영과 재외한국문화원의 총괄기관인 해외문화홍보원의 콘트롤타워의 기능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황명환,민진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출제 범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 과목과 하위영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고 문항반응이론을통해 한국문화 영역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영역의 적정 출제 범위는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 역사, 현대한국사회 과목 및 그하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안된 적정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문항 출제 경향성을 파악한 결과, 현대한국사회 관련 문항의 출제 빈도는 한국의 현대문화 및 한국역사 관련 문항 출제 빈도보다 극히 적게 확인되었다. 셋째,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결과, 극단적 난이도와 변별도 출현이 다수 목격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확보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차봉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한국학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해외 한국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유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을위해 우리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민중문화적 요소가 콘텐츠로 활용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즉 민중문화의개념, 역사, 문학, 어문, 사상과 종교와 관련된 광범위한 요소를 한국학 교육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한국학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한층 더 깊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문과 문화에 내재한 민중의 속성을 활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역사와 사상에 기반한 학제 간 교육콘텐츠의 개발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안하였고, 교육콘텐츠 개발의 모델 제시를 위해 해외 한국학의 현황 분석과 현시점의 한국학 수요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중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콘텐츠 개발의 실례로 ‘민중문화와 한국어 속담’교과목의 강의 구성안 제시하였다. 특히 이 교과목은 MOOC 강좌를 전제로 구성안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해외 한국학 수요자 대상의 K-MOOC 강좌 개발의 모델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의 문화예술 메세나 활성화 방법 연구 :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조나리(NA-RI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8 No.6
인간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문화 예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문화예술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문화예술은 예술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문화예술은 자신감과 창조력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이며, 본질적으로 삶의 희극과 비극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원동력이다. 따라서 문화예술의 보다 나은 발전을 위해 메세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국내 메세나의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활동도 다양해지고 있다. 울산 문화예술 메세나는 산업도시인 울산지역사회 발전, 울산시민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선순환을 통해 소외계층에게 까지 문화예술의 다양한 혜택으로 공공성을 가지며 기업의 메세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The improvement of human standard of living shows great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leisure time and educational standards caused by the five-day workweek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cultural and artistic arts. Culture and art are not just for those who want to be artists. It is affecting our lives emotionally a lot. Cultural arts are essential to developing self-confidence and creativity, and are essentially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tragedies and tragedies of life. Therefore, messages and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Domestic messages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more diverse. Ulsan Culture and Art Messages meet the needs of the industrial city of Ulsan,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citizens of Ulsan, and through virtuous cycles they are also studying to have the public interest as various benefi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underprivileged.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사례 연구 - 정체성을 중심으로
박소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문화적 자의식 교육’의 측면에서 정체성에주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정체성에 대한 성찰적인 접근으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호문화인식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정체성의 속성, 그리고 언어와 정체성, 문화 간 의사소통과 정체성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체성의 복수성, 상대성, 역동성, 가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적 구성 요소로 작용하는 사회적 정체성들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개인의 발화에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정체성 고찰이 지닌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예비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방안을 정체성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차별점이 있다. 특히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이론적 측면에 머물지 않고 실천적 의미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박카스 광고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 수업 방안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신정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본고는 박카스 브랜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박카스 광고에 드러난 가치 항목 중 규범문화, 서열문화, 건강과 가족, 우리 문화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대상은 중국인 중급 수준의 학습자이다. 따라서 한국의 가치 문화 일부를 접하는 것으로 문화적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광고를 시청한 뒤 내러티브 구성에 따른 문화 교육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학습자 역할로 제시되었다. 학습자는 광고의 내러티브를 통해 첫째, 가치문화의 대상을 알고 둘째, 가치문화의 방법을 알고, 셋째, 가치문화에 대한 이유를 아는 것으로 한국 가치문화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광고 매체를 활용한 가치문화 수업이 한국인의 의식에 침투된 다양한 가치문화를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나아가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이나 한국 생활의 적응에도 긍정적 결과가 있음을확인하였다.
맥락 이론 관점에서 본 관광지 텍스트 비교 연구 -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대한 한국어, 중국어와 영어 텍스트를 중심으로 -
유일범,홍정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특별1
본 연구는 한국 대표 관광지, 즉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관광지의 한국어, 중국어와 영어 소개를 탐색하여 고맥락(HCC)과 저맥락(LCC)의 표현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본고는 ‘정보 제공 방식’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두 가지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통해 고맥락에 속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저맥락에속한 영어권 국가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광 텍스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측면에서 고맥락 국가의 커뮤니케이션특징을, 영어의 관광 텍스트에서는 저맥락 국가의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같은 고맥락 문화라도 한국어보다 중국 관광 텍스트에서 좀 더 고맥락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중국어, 영어의 관광 텍스트 모두 각 목표 문화권에 익숙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정교하게 반영하여 생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compare whether and how Korean, Chinese, and English tourist texts reflect the high-context culture(HCC) and low-context culture(LCC) communication styles by exploring the Korean, Chinese, and English introduction of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wo distinctive features of communication styles - ‘how to provide information’ and ‘what to convey’ - this paper analyz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 the high context culture and English-speaking countries in the low context culture.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and Chinese tourist texts have communication features specific to high-context culture, and English tourism texts have distinctive communication features to low-context culture. Moreover, while in the same high-context culture, Korean and Chinese texts show differences, suggesting that the tourist texts are produced to precisely reflect the communication styles familiar to each target culture.
메타버스 젭(ZEP) 기반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영어 학습 모형 개발 - 한국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이현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와 한국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인 영어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대부분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아시아권 국가출신이므로 대학에서는 이러한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특화된 영어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어 학습 모형은 한국의 놀이 문화, 한국의 대중음악과 춤, 한국 사회와 문화유산, 한국 전통 악기와 한복을 주제로 K-팝과 K-드라마를 활용하여 4개의 모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수업 모형은 메타버스 젭(ZEP)을 기반으로 게임, 토론, 동영상, 발표 등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영어 학습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를 영어 학습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어 능력과 함께 한국 문화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증가하는 외국인 학생을 위한 새로운 영어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glish learning model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by implementing Korean cultural content in the metaverse. Since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re from Asian countries, it is important to offer specialized courses for them. The English learning model consists of four modules for one semester, which use Korean cultural content to cover Korean gaming culture, Korean pop music and dance, Korean society and cultural heritage,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costumes. In addition, the Metaverse ZEP encourages student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game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Popular Korean cultural content, which is most preferred by international students, is used in the learning model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and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The study will provide new insights for developing customized English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한승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이 연구는 한류와 한국문화교육 및 한국어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2003년 이후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고, 텍스트마이닝의 LDA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 논문들의 잠재된 주제를 도출하고 범주화한다. 이를 통해 한류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고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과 관련한 논문의 추이가 꾸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한류, 한국, 문화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나며, 연구들은 ‘대중문화, 경제 효과, 교육과 한국어, 문화 콘텐츠, 가치관과 정체성’으로 요약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주제로범주화된다. 이 연구는 한류와 한국문화교육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primarily analyzes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Hallyu,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it analyzes research papers published since 2003 and categorizes the latent topics in these papers using the LDA technique of text mining. This reveals that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Wave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and that the trend of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s consistent. Notably, 'Hallyu', 'Korea', and 'culture' appear as major keywords, and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popular culture, economic effects,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al content, values and identity'.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Wave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explore development possibilities.
나채근,김덕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7
한국 풍류정신문화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현재의 한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신과 자연과 공동체와의합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느낌을 발현시켜왔던 문화였다. 그 과정에서 풍류문화는 내재적으로인간 공동체와 신과 자연을 하나로 연결시키려는 조화와, 조화의 경계너머 정신적 자유와 심미적 가치를 내재하는 일탈(멋)과 신명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즉 한국 풍류문화는 조화, 멋, 신명을 그 내재적특성으로 하며 한류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문화적 차이성을 형성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멋과 조화, 신명(神明)과 한(恨)이라는 내재적 차이성을 지닌 한국 풍류정신(idea)문화가 어떻게 예술(art)문화적·행동(act)문화적 특성으로 변용되어 왔는가를 탐색함으로써 풍류정신문화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From the ancient Jecheon ritual to the current Korean Wave,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has expressed the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that the Korean people experience in unity with God, nature, and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Pungryu culture has inherently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Harmony, which seeks to connect the human community with God and nature, and deviation(Mut) and Shinmyoung(神明), which embody mental freedom and aesthetic value beyond the boundaries of harmony. In other words, Korean Pungryu culture has harmony, Mut, and Shinmyoung as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has formed the cultural differences that form the basis of Hallyu cultu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by exploring how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with its inherent differences of Mut and Harmony, Shinmyoung and Han(恨), has been modified into art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