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중문화 기반 한국학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

        차봉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한국학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해외 한국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유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을위해 우리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민중문화적 요소가 콘텐츠로 활용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즉 민중문화의개념, 역사, 문학, 어문, 사상과 종교와 관련된 광범위한 요소를 한국학 교육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한국학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한층 더 깊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문과 문화에 내재한 민중의 속성을 활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역사와 사상에 기반한 학제 간 교육콘텐츠의 개발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안하였고, 교육콘텐츠 개발의 모델 제시를 위해 해외 한국학의 현황 분석과 현시점의 한국학 수요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중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콘텐츠 개발의 실례로 ‘민중문화와 한국어 속담’교과목의 강의 구성안 제시하였다. 특히 이 교과목은 MOOC 강좌를 전제로 구성안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해외 한국학 수요자 대상의 K-MOOC 강좌 개발의 모델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주한해외문화원과의 비교를 통한 재외한국문화원의 개선방안 - BSC 조직분석법을 바탕으로 -

        이주빈,김선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모범적 사례로 꼽히는 독일, 프랑스, 영국의 해외문화원과 비교 분석을 통해 재외한국문화원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으며, 비교분석모형으로는 균형성과표(BSC)를 차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무적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주한해외문화원에 비해 재정의 자립도가 매우 낮았다. 둘째, 고객(이용자)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전반적으로 주한해외문화원에 비해 현지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졌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지와의 추가협력사업 발굴이 필요했다. 셋째, 내부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의 관리체계는 문화원장 1 인이 단독으로 인력을 관리하는 반면,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자체적인 성과관리체계가 부재했다. 마지막으로 학습과 성장의 관점에서 재외한국문화원은 전문성 함양보다는 공직자 역할 및 행정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보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재외한국문화원의 재정자립도, 접근성, 인력구성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코리아센터의 확대 운영과 재외한국문화원의 총괄기관인 해외문화홍보원의 콘트롤타워의 기능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황명환,민진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출제 범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 과목과 하위영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고 문항반응이론을통해 한국문화 영역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영역의 적정 출제 범위는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 역사, 현대한국사회 과목 및 그하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안된 적정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문항 출제 경향성을 파악한 결과, 현대한국사회 관련 문항의 출제 빈도는 한국의 현대문화 및 한국역사 관련 문항 출제 빈도보다 극히 적게 확인되었다. 셋째,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결과, 극단적 난이도와 변별도 출현이 다수 목격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확보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문화예술 기반 융합교육의 성과와 과제

        홍병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문화예술이 융합교육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최근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예술융합교육’이국내 외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문화예술 관련 융합교육은 21세기 창의 산업 인재상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의 정서를 계발하고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문화예술 기반융합교육에서 비롯된다고 했을 때, 그 교육 역시 현대 예술이 갖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상력 함양을 위한 그 교육적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시대적 흐름에 맞는 인재양성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융합교육의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문화예술에서 창의성함양을 위한 학제간 융합교육의 근거와 함께 그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 KCI등재

        한국 풍류정신문화의 차이성과 창조적 변용성

        나채근,김덕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7

        한국 풍류정신문화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현재의 한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신과 자연과 공동체와의합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느낌을 발현시켜왔던 문화였다. 그 과정에서 풍류문화는 내재적으로인간 공동체와 신과 자연을 하나로 연결시키려는 조화와, 조화의 경계너머 정신적 자유와 심미적 가치를 내재하는 일탈(멋)과 신명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즉 한국 풍류문화는 조화, 멋, 신명을 그 내재적특성으로 하며 한류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문화적 차이성을 형성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멋과 조화, 신명(神明)과 한(恨)이라는 내재적 차이성을 지닌 한국 풍류정신(idea)문화가 어떻게 예술(art)문화적·행동(act)문화적 특성으로 변용되어 왔는가를 탐색함으로써 풍류정신문화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From the ancient Jecheon ritual to the current Korean Wave,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has expressed the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that the Korean people experience in unity with God, nature, and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Pungryu culture has inherently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Harmony, which seeks to connect the human community with God and nature, and deviation(Mut) and Shinmyoung(神明), which embody mental freedom and aesthetic value beyond the boundaries of harmony. In other words, Korean Pungryu culture has harmony, Mut, and Shinmyoung as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has formed the cultural differences that form the basis of Hallyu cultu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by exploring how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with its inherent differences of Mut and Harmony, Shinmyoung and Han(恨), has been modified into art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

        윤종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7 No.12

        연구는 유럽 40개국 269개 정당의 성향을 조사한 결과인 C hapel H ill Expert Survey 2014를 이용하여 좌파 정당과 우파 정당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성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좌파 정당과 우파 정당을 구분하는 기준은 경제적 가치인데, 이에 대해서는 Ingleh art and N orris(2016)를 따랐다. 또한 문화적 가치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변수는 총 9개이었으며, 실증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tree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의 정당은 경제적 가치만으로 분류할 수 없으며,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 두 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회귀분석tree이 추정결과에 따르면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1그룹이 가장 좌파적인 정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법질서유지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고 종교적 가치에 대해 비판적인 성향을 지닌다. 5그룹이 가장 우파적인 정당인데, 개인의 자유보다 법질서유지를 옹호하고 이민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하며 농촌거주자보다 도시거주자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좌파 정당이 선호하는 문화적 가치는 개인의 자유이고, 우파 정당이 선호하는 문화적 가치는 법질서의 옹호 그리고 소수인종 지지이다. 좌파 정당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개인의 자유에 대해 비판적이지만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매우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우파 정당은 그 반대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우파와 좌파 모두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에 대해 정반대의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 기업의 문화예술 메세나 활성화 방법 연구 :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조나리(NA-RI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8 No.6

        인간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문화 예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문화예술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문화예술은 예술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문화예술은 자신감과 창조력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이며, 본질적으로 삶의 희극과 비극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원동력이다. 따라서 문화예술의 보다 나은 발전을 위해 메세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국내 메세나의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활동도 다양해지고 있다. 울산 문화예술 메세나는 산업도시인 울산지역사회 발전, 울산시민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선순환을 통해 소외계층에게 까지 문화예술의 다양한 혜택으로 공공성을 가지며 기업의 메세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The improvement of human standard of living shows great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leisure time and educational standards caused by the five-day workweek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cultural and artistic arts. Culture and art are not just for those who want to be artists. It is affecting our lives emotionally a lot. Cultural arts are essential to developing self-confidence and creativity, and are essentially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tragedies and tragedies of life. Therefore, messages and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Domestic messages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more diverse. Ulsan Culture and Art Messages meet the needs of the industrial city of Ulsan,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citizens of Ulsan, and through virtuous cycles they are also studying to have the public interest as various benefi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underprivileged.

      • 문화융합의 도구로써의 관용의 효용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문화충돌의 상황에서의 관용의 종교적, 정치적 모델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모색

        박준웅(Jun Woong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9 No.6

        본 연구는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집합인 문화 간의 충돌의 상황에서 관용의 효용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요소들의 차이가 문화 간의 충돌의 전제조건이 된다는 일반적인 상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이 충돌의 요소들을 오히려 역전하여 평화와 공존의 전제 조건으로 간주하는 관용의 효용을 몇 가지 과정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 과정은 크게 두 가지 단계를 거쳤다. 첫째, 관용의 정의를 통해 관용이 문화 충돌의 조건이라 여겨지는 상이한 문화적 요소들이 어떻게 문화들 간의 상호 관용의 전제 조건이 되는가를 보이고자 시도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논자 문화 간의 충돌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의 조건이 되는 문화 간의 차이라는 현실에 관용이 얼마나 효율적인 도구가 되는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둘째로, 상이한 요소들의 집합체로서의 문화가 어떠한 맥락에서 상호 관용의 관계로 진입할 수 있는가를 두 가지 관용의 모델들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이 두 가지 관용의 모델들은 종교적 관용의 모델과 정치적 관용의 모델이다. 종교적, 정치적 관용의 모델을 제시한 이유는 문화 충돌이라는 현실이 충돌하는 문화들의 요소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하며, 그로인해 다양한 해법을 요구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즉, 문화 충돌이라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관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관용의 다양한 모델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various components consisting up culture. Religious beliefs, historical traits of political struggles against enemies, political ideology, sets of moral rules, etc., can be the components. And specific culture produces the specific normative rules for the people who live in the culture as the result of the mixture of those components. Historical changes in the religious way of living, geographical change, the moral doctrines produced or imported from other nation, etc. are idiosyncratic of the culture. In this sense, it is quite obvious that the presence of plural cultures illustrates the presence of plural normative rules for specific people. And the presence of plural normative rules for peoples instructing how to live, what is the correct way to worship god or gods, what is the good and bad, etc., foresees the conflicts between various normative rule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resence of ‘differences’ between rules seem to demand to resolve the differences. Thus, as the representative of normative rules, culture implicitly includes the danger of destructive confrontation of cultures.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suggest the practice of toleration as a very effective tool for restraining the possible conflict between cultures. In order to defend that effectiveness, firstly, I will introduce the concept of toleration proving that the practice of toleration treats the presence of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oleration, not as the thing needed to be resolved. Secondly, I will try to suggest several distinguished models for toleration with the hope to enhance and expand the utility of toleration in various situation.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들의 글쓰기 활동을 통한 문화 리터러시 교육

        배윤정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문화 리터러시 능력은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의 올바른 상호작용을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능력 중에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외국인 학부생들의 문화 리터러시 교육 목적을 표면적문화 이해가 아닌 심층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두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실제 수업 사례를제시하였다. 문화 리터러시 수업 단계마다 문화 교육과 글쓰기 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이 수업 모형의 특징인데, 이는 글쓰기 활동을 통해 타문화를 접하며 점차 변화해 가는 학습자들의 인식을 가시적으로 점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해 보면, 수업 모형의 첫 단계에서는 대상 문화에 대한 자문화 중심의 해석이강했는데, 문화 리터러시 수업이 진행될수록 정확한 접근법을 기반으로 관련 문화에 대한 인식을 정교화 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문화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마련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