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8 TPD급 고정층 반응기에서 비성형 고형연료의 가스화 특성

        박동규,정법묵,김동주,윤영식,박수남,박영수,구재회,오종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지난 10년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폐기물 에너지화(WtE, Waste to Energy) 기술은 매년 5% 이상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폐기물 처리방식에 따라 물리적, 열화학적, 생물학적 기술로 분류되며 그중 하나인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폐기물의 고부가가치 연료화 및 온실가스 감축 증대의 효과로 최근 더욱 각광받고 있다. 공급된 폐기물 내 탄소 및 수소 성분은 가스화 반응을 통해 CO, H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되고 생산된 합성가스는 메탄올, 디젤류, DME 등 다양한 화학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가스엔진 등 발전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을 기반으로 제조된 비성형 고형연료를 대상으로 8 TPD급 고정층 가스화 반응기에서 합성가스의 생산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반응기는 가스화제 주입을 Down-draft 및 Up-draft의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가스화 반응 영역 후단에 Gas Chamber를 두어 추가적인 타르 크랙킹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공기 가스화의 경우 공기 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활성 물질인 질소의 공급량이 많아 생산가스 내 합성가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활용측면에서 발전부분에 국한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공기비(ER, Equivalent Ratio)와 더불어 순산소의 추가 공급으로 산소부화율을 제어하여 발생되는 합성가스의 주성분인 CO, H2의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생산 가스의 열량 및 냉가스 효율 등 고품질의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었다.

      •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전대장 내시경 검사의 임상적 의의

        박동규,박재홍,김영선,오용열,박철희,진윤태,이홍식,전훈재,이상우,엄순호,최재현,김창덕,류호상,현진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4 No.4

        Background/Aims: Pulmonary tuberculosis may coexist with intestinal tuberculosis even in the abs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define the colonoscopic findings of early lesions of intestinal tuberculosis, incidence of asymptomatic intestinal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response after standard anti- tuberculosis chemotherapy. Methods: We examined 59 Korea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ho had no gastrointestinal symptoms. Patients underwent diagnostic total colonoscopy up to terminal ileum for evaluation of intestinal tuberculosis. Follow-up total colonoscopy was also done in 1∼3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Results: Intestinal tuberculous lesions were found in 54% of patients. The common locations of lesion were terminal ileum (84%) and cecum (69%). The combination of circumferential ulceration, hyperemic mucosa and erosions of the colon was the most common finding (37.5%), the combination of hyperemia and ulceration occurred in 34.4% of patients and hyperemia with/without erosion in 12.5%. The direction of ulceration was transevere in relation to long axis of the colon but occasionally longitudinal. Although most ulcers were multiple in number and various in size but some paitents had isolated single ulcer with erosion. All of the lesions regressed within 1∼3 months of treatment. Conclusions: During screening total colonoscopy, if there are nonspecific hyperemia, erosion or shallow ulcer on colon or terminal ileum, it is necessary to check up chest X-ray for rule out tuberculous lesion,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a high prevalence of tuberculosi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4:193-199) 목적: 장결핵은 폐결핵 환자에서 잘 동반되나 위장관 증상이 없는 장결핵의 빈도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장결핵의 동반 빈도를 살펴보고, 이 때 관찰되는 장결핵의 대장 내시경 소견과 표준 항결핵 치료 후 나타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내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 중 위장관 증상이 없는 59예(남자 39예, 여자 20예)를 대상으로 전대장 내시경 검사와 PCR법을 시행하여 장결핵의 유무를 진단하였다. 또한 진단된 장결핵 환자들은 항결핵 제제를 복용하기 전, 약물 복용 1개월, 3개월에 각각 추적 전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치료경과를 관찰하였으며 완치되지 않은 경우는 9개월 내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 59예 중 32예(54%)에서 장결핵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남자 21예, 여자 11예로 평균 나이는 33세였다. 32예의 환자들 중 20예(62.5%)에서 조직학적으로 육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5예에서는 건락성 변화를 보이고 나머지 12예(37.5%)에서는 비특이성 만성 염증소견만을 보였다. 또한 32예 중 25예에서 조직 PCR법을 시행하였고 장결핵 양성은 3예(12%)에서 나타났다. 장결핵 환자 32예의 발생 위치는 회장말단부 27예(84%), 맹장 22예(69%), 상행결장 12예(37.5%)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으나 직장 단독 또는 대장 전체를 침범한 경우는 없었다. 초기 장결핵의 전대장 내시경 소견은 나타나는 빈도순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궤양, 미란, 그리고 점막충혈이 동반된 경우로 전체 환자의 37.5%가 포함되었으며 두 번째는 궤양과 점막충혈이 동반된 경우로 34.4%를 나타냈고 세 번째 유형은 점막충혈과 미란이 동반되거나 점막충혈만 관찰되는 것으로 12.5%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환자는 표준 항결핵 제제에 잘 반응하였으며 약제 투여 1~3개월 후에 시행한 추적 전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병변이 소실되었다. 결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전대장 내시경을 시행하였을 때 우연히 대장 점막의 궤양, 충혈, 미란 등의 병변이 발견되면 반드시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호흡기 증상 등이 동반된 경우 흉부 X-선 검사를 확인하여 폐결핵의 침윤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초기 장결핵의 치료는 표준 항결핵 요법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10 MJ급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축열 및 방열 특성

        박동규,김동주,구재회,김동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7 No.4

        The worldwide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 leads to a growing interest in the utilizationof unused waste heat generated by power plants and industries. In terms of recovery, storage, and reuse of the waste heat,thermal energy storage (TES) technology is considered one of the key technologies. In addition, a heat delivery systemusing a mobile-TES has been proposed and commercialized in several countries. In this study, heat charging anddischarging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a 10 MJ-scale TES unit based on the latent heat of phase change material (PCM). The unit, designed to develop the TES module, has a tube that is finned inside and outside to enhance the heat transfersurface. Docosanol was chosen as a heat storage material, and three types of heat transfer fluids were used: water, steam,and air. The results show that total heat storage using hot water and steam was 49 MJ and 17 MJ at rates of 9 kW and18 kW, respectively. Most of the heat stored in the TES unit can be discharged at a thermal efficiency of 87 ~ 88%, andhot air can be produced indirectly and directly with efficiencies of 78% and 86%, respectively. 없음

      • KCI등재

        Predi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in South Korea

        박동규,이수진,문영민,나덕렬,정지향,박경원,이윤환,임태성,최성혜,문소영 대한신경과학회 2018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We investigated predi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in patients withAlzheimer’s disease (AD) in South Korea. Methods In total, 2,470 patients with AD aged 74.5±7.8 years (mean±standard deviation,68.1% females) were enrolled from November 2005 to December 2013. The dates of institutionalizationwere identified from the public Long-Term-Care Insurance program in January 2014. We used a Cox proportional-hazards model to identify predictors for future institutionalizationamong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diagnosis in 2,470 AD patients. A similar Cox proportionalhazardsmodel was also used to investigate predictors among variables that reflected longitudinalchanges in clinical variables before institutionalization in 816 patients who underwent follow-up testing. Results A lower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hazard ratio (HR)=0.95, 95% confidenceinterval (CI)=0.92–0.97] and higher scores for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and Neuro-Psychiatric Inventory (HR=1.01, 95% CI=1.00–1.01) at baselin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institutionalization. The relationship of patients with their main caregivers, presence of the apolipoproteinE e4 allele, and medication at baselin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of institutionalization. In models with variables that exhibited longitudinal changes, larger annualchange in Clinical Dementia Rating Sum of Boxes score (HR=1.15, 95% CI=1.06–1.23)and higher medication possession ratio of antipsychotics (HR=1.89, 95% CI=1.20–2.97) predictedearlier institutional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among Korean patients with AD, lower cognitive ability,higher dementia severity, more-severe behavioral symptoms at baseline, more-rapid decline in dementiaseverity, and more-frequent use of antipsychotics are independent predictors of earlier institution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