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문직 기자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신문기자가 페이스북을 취재와 뉴스 유통에 활용하는 실태를 중심으로-
문소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6 東西言路 Vol.39 No.-
인터넷의 도입으로 올드 미디어인 신문사 등 인쇄매체에 대한 소비자들 의 외면이 심화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이 붕괴하면서 신문사 기자들은 취재와 기사 작성, 유통에서 더 확실하게 디지털에 적응하고 빠르게 전환 할 것을 내부와 외부에서 압력을 받고 있다. 인터넷이 도입된 이후 뉴스 콘텐츠 생산 영역에서 인터넷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추적한 연구는 적지 않다. 본 논문은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뉴스 콘텐츠 의 확산되는 시대에 올드 미디어인 신문사의 기자들이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지를 파일럿 프로젝트로 연구했다. 10년의 주니어 기자부터 30년차 간부 기자 등 모두 6명에게 심층 인터뷰 로 취재와 뉴스 콘텐츠 유통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을 어떻게 활용하는 지를 연구했다. 이를 통해 2010년 이래 신문사들이 ‘디지털 퍼 스트’ ‘모바일 퍼스트’를 강조하지만, 이 흐름이 확산되지 않고 지지부진 한 이유를 진단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올드 미디어’인 신문사에서 전문 직 저널리스트로 훈련받은 기자들이 자기 기사나 자사의 기사, 타사의 동 료나 선⋅후배가 작성한 기사들을 소셜 미디어에서 어떻게 유통시키거나 공유하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유통⋅공유하는 이유는 물론, 이를 거부한 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신문사 편집국의 문화와 환경 차원에서 분석하 려고 했다. 이 논문은 뉴스 콘텐츠 생산이 아니라 뉴스 유통에서 전문직 기자들의 소셜 미디어의 활용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타의 논문들과 차별성이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printed news has been gradually disregarded by news users, because it’s regarded as an old medium. Since then, most old business models collapsed, and journalists are, inwardly and outwardly, suffering from the demands to adapt themselves quickly to the digital world for news-gathering/writing and circulating, And we have already a lot of studies on how to produce contents with the Internet. At the first, this thesis, as a sort of pilot project, deals with how the desk journalists accept the arrival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Age. For that, I ha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journalists, from juniors of about 10 years to seniors of 30 years working, and asked how they use Facebook as a social media to gather news and to circulate news contents. I am able to draw from the interviews why, although news offices have insisted on since 2010, "Digital First" and "Mobile First" movements go forward just sluggishly. It also analyzes the cultures and circumstances of the news desks by asking how and why the journalists, trained professionals, do or don’t share and circulate the articles they or others produce.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theses in that it studies and analyzes the usages of social media by professional journalists, not only in the area of content production but also of its circulation.
자폐범주성장애 학생 또래관계 증진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문소영,홍주희,김유리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peer rel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and to analyze the quality of research using CEC quality indicator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is purpose,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6 to 2015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a total 29 studies were identified. The 29 studies(22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studies and 7 of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setting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CEC quality indicator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of studies were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for social-related support was social skill training and peer interaction training. Also, most of the studies measured social interaction skills(initiating, responding, maintaining). In terms of analysis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only 4 of 29 studies has relatively high quality level, addressing more than 80% of a total score. Overall, studies using group experimental design have much higher level of quality than on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에게 또래관계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연구 및 집단연구의 최근 10년동안의 연구동향과 CEC 질적지표를 활용하여 연구의 질적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외에서 발표된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관련 중재를 실시한 연구를 수집하여 발표연도,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독립변인,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질적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CEC 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폐범주성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중재는 주로 사회성기술 중재, 또래 상호작용 훈련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러한 중재의 결과로서 많은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시작하기, 반응하기, 유지하기)의 향상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80%이상 충족을 보인 연구는 29편의 분석논문 중 8편(단일대상연구 4편, 집단연구 4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연구의 경우 단일대상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질적지표 충족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또래관계 중재와 관련된 논의와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수평반고리관성 양성체위성현훈: 97예의 임상 양상 분석
문소영,최광동,박성호,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 2004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2 No.3
Background: Horizontal canal benign positional vertigo (BPV) is characterized by direction-changing nystagmus beating to the lowermost ear (geotropic) or to the uppermost ear (apogeotropic) induced by head turning while the patient is lying down. The clinical features of horizontal canal BPV has rarely been studied in a large group of patients in Korea. Methods: Ninety-seven patients with horizontal canal BPV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2000 to August 2003. The diagnosis of BPV was based on the typical nystagmus concurrent with vertigo elicited by positioning maneuvers. The type was divided into geotropic or apogeotropic. The demographic features, spontaneous nystagmus, positional nystagmus, results of head thrusting and head shaking, and nystagmus induced by lying down were analyzed. 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68 (70.1%) women and 29 (29.9%) men.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1±13.8 with no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They were divided into 54 (55.7%) geotropic and 43 (44.3%) apogeotropic types. The horizontal nystagmus was also provoked by Hallpike maneuver in 15 cases. Horizontal nystagmus was also induced by lying down from sitting to supine position in 7 patients; 3 apogeotropic and 4 geotropic. The nystagmus was ipsilesional in 2 of apogeotropic cases and contralesional in 2 of geotropic cases. Conclusions: In horizontal canal BPV, horizontal nystagmus may be induced by Hallpike maneuver or lying down as well as head turning in supine position. The direction of nystagmus induced by lying down may help deciding the side of the canal inv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