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척 모형실험에 의한 방음벽 보강용 수림효과 연구

        정성수,김용태,신수현,이용봉 한국물리학회 2004 새물리 Vol.48 No.5

        In order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noise barrier, we used a 1/10 scale model test to invest-igate a narrow woodland formed around a noise barrier. Pine trees in the model were assumed to con-sist mostly of foliage and forsy-thia was model for purpose of compariso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ascertained that a pine-tree woodland itself did not provide a significant noise reduction. Pine tre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noise barrier showed more noise reduction than behind the noise barrier. We also observed that the foliage acted as a noise amplifier in particular frequency bands. Finally forsythia had more advantages for sound absorption and transmission loss than pine trees. 방음벽을 환경친화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방음벽 주위에 수림대를 조성하여 소음저감 효과를 1/10 축척 모형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침엽수인 소나무를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개나리 나무의 음향 특성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수림만으로는 충분한 소음저감을 가질 수 없었으며,방음벽 전면에 소나무를 설치하는 것이 후면에 설치하는 것 보다 효과적이었다. 투과음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나무가 있는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소음이 더 크게 증폭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개나리 나무의 경우 흡음성과 차음성 모두 소나무보다 좋게 측정되었다.

      • KCI등재

        볼밀링한 WO<sub>3</sub>-CuO 나노복합분말의 조성에 따른 수소환원 거동

        정성수,강윤성,이재성,Jung Sung-Soo,Kang Yun-Sung,Lee Jai-Sung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3 No.3

        The effect of Cu content on hydrogen reduction behavior of ball-milled $WO_3$-CuO nanocomposite powders was investigated. Hydrogen reduction behavior and reduction percent(${\alpha}$) of nano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thermogravimetry (TG) and hygrometry measurements. Activation energy for hydrogen reduction of $WO_3$ nanopowders with different Cu content was calculated at each heating rate and reduction percent(${\alpha}$). The activation energy for reduction of $WO_3$ obtained in this study existed in the ranging from 129 to 139 kJ/mol, which was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energy for $WO_3$ powder reduction of conventional micron-sized.

      • KCI등재

        영아기에 실내 반려동물의 노출이 소아의 동물 항원 감작과 천식에 미치는 영향

        정성수,노수란,이소연,윤지선,조현주,김영호,서동인,양송이,권지원,장광천,선용한,우성일,윤유숙,박강서,이은,조화진,국명희,이혜령,정혜리,김자형,김형영,정진아,우향옥,홍수종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9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7 No.2

        Purpose: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ndoor pet exposure is either a risk or protective factor developing sensitization to pet allergens or asthma.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indoor pet ownership entails a risk for the development of asthma and sensitization in childhood. Methods: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s a general-population-based birth cohort study that recruited 2,078 mother-baby dyads in Korea between April and July of 2008. Among 1,577 children who were followed up in 2015, 559 underwent skin prick tests, spirometry and bronchial provocation tests using Provocholine. Having a cat or a dog and the prevalence of asthma were evaluated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physicians’ medical records. Results: During infancy, the rate of dog ownership was 4.5% (71 of 1,574) and that of cat ownership was 0.5% (8 of 1,574). Of the subjects, 7.9% (n=109) currently had at least 1 dog and 2.5% (n=34) had at least 1 cat. Pet ownership during infancy was associated with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djusted odds ratio [aOR], 4.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13.98), wheezing within 12 months (aOR, 5.56; 95% CI, 1.65–18.75) and current asthma (wheezing episode in the last 12 months+diagnosed asthma by physicians) (aOR, 6.36; 95% CI, 1.54–26.28). In contrast, pet ownership during the last 12 months was not associated with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or current asthma. Conclusion: Indoor pet exposure during infancy can be critical for developing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nd asthma in childhood. Avoidance of pet exposure in early life may reduce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nd development of asthma.

      • KCI등재

        경추부 골절환자의 후방인대군 손상

        정성수,이종서,정호원,김지형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경추 골절 환자에서 경추 후방 인대 복합체 손상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추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40명의 환자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과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손상 기전과 유형을 분류하였고 이 중 후방 또는 전ㆍ후방 수술을 이행했던 25명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수술 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후방 인대 복합체 손상은 전체 40명 환자 중 75%(30명)에서 발견되었으며, 신연ㆍ굴곡 손상 20명 중 90%(18명)에서, 압박ㆍ굴곡 손상 15명 중 73%(11명)에서 후방 인대 복합체 손상이 발견되었고, 수직ㆍ압박 손상 4명 중에서는 25%(1명) 만이 발견되었으며, 신연ㆍ신전 손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완전 척수 손상 환자 23명 중 96%(22명)에서 후방 인대복합체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완전 척수 손상을 받지 않은 17명의 환자 중 (15명은 불완전 척수 손상, 2명은 척수 손상이 없었음) 47%(8명)에서 후방 인대 복합체 손상이 발견되었다. 후방 또는 전ㆍ후방 수술을 시행했던 25명에 대해 자기공명 영상 소견과 수술 소견을 비교 평가한 결과 수술 소견과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소견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 경추 골절에서 후방 인대 복합체의 손상은 신연ㆍ굴곡 손상과 완전 척수 손상에서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손상 소견은 자기 공명 영상 촬영으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경추 골절 환자에서 후방 인대 복합체 손상시 자기 공명 영상은 수술 소견과 비교하여 민감도, 측이도,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검사법으로 사료되며 치료 방법의 설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defin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injury of the posterior ligament complex of the cervical spine using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Forty patients with acute cervical spine fracture who underwent surgery were examined with MR imaging and plain radiography. Twenty-five patients underwent posterior fusion. The MR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surgical findings, clinical findings. and plain radiographs. Results : Posterior ligament complex injury was detected in 75%(n=3O) of all patients. Of the 20 patients with distractive-flexion injury. 9O%(n=18) had posterior ligament complex injury (p<0.05). Of the 15 patients with compressive-flexion injury. 73% (n=11) had ligament injury. Of the 4 patients with vertical compression injury. 1 patient (25%) showed ligament injury. One patient with distractive-extension injury did not show ligament injury. Of the 23 patients with complete spinal cord injury. 96% (n=22) showed ligament tear (p<O.05). Of the 17 patients without complete cord injury (15 incomplete injury, 2 no cord injury), 47%(n=8) had ligament injury. Surgical findings were well correlated with MR imaging in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urgery (p<O.05). Conclusions : Injury of the posterior ligament complex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e fracture was most common in patients with distractive-flexion injury and was more frequent with complete cord injury. MR imaging could reliably reveal such injuries.

      • Aspergillus nidulans의 유성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연구

        정성수,한갑훈,한규용,한동민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2000 基礎科學硏究誌 Vol.18 No.1

        사상성 진균류인 Aspergillus nidulans에서 분리된 유성분화 결손 돌연변이주 6종을 형태학적, 유전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모든 NSD(Never in Sexual Development) 돌연변이 주들의 성장은 야생형 균주에 비해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 돌연변이주들 중 NSD206, NSD207 그리고 NSD2100은 분생포자병(conidiophore)의 발생시기가 야생형과 거의 비슷하였다. 반면, NSD213과 NSD216은 야생형보다 늦어졌고, NSD113은 야생형보다 빨라졌다. NSD206의 돌연변이 유전자는 nsdA4, nsdB5 그리고 nsdD19 돌연변이 유전자와 각각 상보(complementation)되었다. 이 결과로서 NSD206의 돌연변이 유전자는 새로운 nsd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NSD206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nsdC6라 명명하였고, 이 유전자가 연관군 Ⅱ에 연관됨을 결정하였다. 한편 NSD113, NSD207, NSD213, NSD216 그리고 NSD2100의 돌연변이 유전자는 nsdD19 돌연변이 유전자와 상보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서 NSD113, NSD207, NSD213, NSD216 그리고 NSD2100의 돌연변이 유전자는 nsdD 유전자의 다른 대립 유전자(allele)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돌연변이 유전자들을 각각 nsdD13, nsdD213, nsdD16 그리고 nsdD10으로 명명하였다. 이 돌연변이주들 각각을 nsdD 유전자의 부분적인 ORF를 포함하는 DNA 절편들로 상보 실험을 수행하였고, 돌연변이주들 각각의 genomic DNA로부터 PCR을 수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서 돌연변이 부위를 결정하였다. 아직 돌연변이 부위를 결정하지 못한 nsdD13을 제외한 나머지 돌연변이들은 모두 ORF내에 발생한 돌연변이들로 나타났다. 이 돌연변이들로 말미암아 해독틀변경이 발생하여 해독틀내에 정지 코돈(non sense codon)이 발생한다. 이로서 nsdD7과 nsdD19는 86개, nsdD213과 nsdD16은 펩타이드(polypeptide)를 각각 만들어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돌연변이주들 모두 nsdD 유전자의 발현양상에 있어서 야생형과 비교하여 약 10배, 또는 그 이상의 발현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로서 nsdD 유전자는 negatively auto-regulation되며 C-terminus zine finger domain이 이 조절에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ix NSD(Never in Sexual Development) mutants were characterized for the morphogenetical and genetical properties. Growths of all the mutants were retarded in compare with that of wild type. NSD206, NSD207 and NSD2100 mutants developed conidiophores almost same time as that of wild type, NSD213 and NSD216 later and NSD113 faster. The mutant gene of NSD206 was complemented with any of nsdA4, nsdB5, or nsdD19 mutant allele, implying that it was novel nsd gene. The mutant gene of NSD206 was named as nsdC6 and revealed to locate on linkage groupⅡ.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utant genes of NSD113, NSD207, NSD213, NSD216, and NSD2100 were not complemented with nsdD19 mutant allele, we assume these mutant genes to be another allelic mutants of nsdD gene. The alleles were named as nsdD13, nsdD7, nsdD213, nsdD16 and nsdD10, respectively. Complementation assay with various fragments of nsdD ORF and DNA sequencing identified the mutation sites. The most mutations were revealed to occur within ORF, except nsdD13 which could not be identified yet, resulting in frame shift and occurrence of non sense condon on frame. The nsdD7 and nsdD19 were expected to yield polypeptide with 86 amino acids, the nsdD213 and nsdD16, 160 amino acids and nsdD10, 334 amino acids, respectively. All of these NSD mutants expressed nsdD gene more than wild type by about ten-folds or m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 was negatively auto-regulated, which required the C-terminus zinc finger domai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