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UV Sensitive Mutant in Aspergillus nidulans

        한동민,최용원,강현삼 한국유전학회 1983 Genes & Genomics Vol.5 No.3

        A new UV sensitive mutant, UVS 4 was isolated and analysed, UVS 4 complemented to UVS 1 or UVS 2, was recessive to wild type, had no epistatic relationship with UVS 1 or UVS 2 and had a mutation on the linkage gruop VIII. Sensitivity of UVS 4 to UV light was increased as dormant conidiospores proceeded germination while that of UVS 1 or UVS 2 was decreased. UVS 4 showed normal photoreactivating ability and was not recovered by liquid holding in dark. Reversion of choline auxotrophy to prototrophy was induced by UV in UVS 4 as well as in wild type.

      • KCI등재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한용운의 『乾鳳寺 事蹟』

        한동민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4 No.-

        1928년 강원도 건봉사는 건봉사 사적(乾鳳寺 事蹟) 이라는 寺誌를 간행하였다. 만해 한용운이 편찬한 이 책은 1927년 안진호의 奉先寺誌 를 뒤이어 간행됨으로써 일제강점기 本末寺誌 편찬이라는 큰 흐름을 이끌었다. 이는 조선 불교계를 30본산으로 규정한 사찰령 체제 아래 각 본산을 중심으로 하는 본말 체제의 강화를 보여주는 실례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사지 편찬의 대표자였던 안진호와 특징있는 사지편찬을 했던 포광 김수영 등과 더불어 만해 한용운의 건봉사 사적 은 일제 강점기 본말사지 편찬의 새로운 기원과 도전이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본말사지가 편찬되는 계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한용운의 건봉사 사적 은 봉선사지 와 이후의 다른 사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소략한 형태의 寺誌라 할 수 있다. 이는 본말체제에 대한 한용운의 비판적 의식과 합리적이고 역사적 사실에 충실한 사료만을 선택하려는 태도와 1878년 건봉사 화재로 인한 자료의 일실에 따른 것이다. 또한 일제 총독부 당국의 검열에 따른 누락과 소략한 서술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측면도 있었다. 또한 건봉사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萬日會 서술 등이 소략하고 邑誌 등 다양한 자료를 광범하게 참조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연도표기 방식에서 일본 연호를 사용하지 않은 점, 일제의 불교정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寺刹令 관련 서술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점은 만해 한용운의 편찬 의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건봉사 사적 의 편찬방식이 연표식 정리방식과 짧은 편찬기간 그리고 1878년 화재로 인한 자료의 일실과 편찬자의 입장을 배제하려는 述而不作의 태도에서 연유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만해 한용운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건봉사 사적 편찬에 대한 자부는 30년이 채 되지 않아 여실히 증명되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건봉사를 비롯하여 양구 심곡사와 양양 명주사 등 사찰들이 불타면서 사지편찬이 왜 필요한가를 웅변적으로 증명하였던 것이다. 한편 만해 한용운은 불교유신론 의 발간으로 당대 불교개혁을 주창하는 불교계 인물로 부각되었고, 시집 님의 침묵 의 발간으로 민족적 시인으로 거듭나게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더하여 건봉사 사적 을 편찬함으로써 일제강점기 불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1928, Gangwondo Geonbongsa Temple published a temple magazine Geonbongsa Sajeok (乾鳳寺 事蹟) . The book published by Han Yong-Woon led a large flow which was compilation of Bonmal temple magaz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ith Ahn Jin-Ho’s Bongseonsaji in 1927. It is a real case showing the strengthening of Bonmal system in the center of each Bonsan under the system of Buddhist Temple Act prescribing Joseon Buddhist world as 30 Bonsan. With Ahn Jin-Ho, a representative of temple magazine compilation, and Pogwang Kim Soo-Young who compiled characteristic temple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nhae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was a new origin and challenge of compilation of Bonmal temple magaz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made diverse Bonmal temple magazines compiled. Nevertheless,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is a temple magazine in relatively a simple form in comparison with other temple magazines including Bongseonsaji . It was caused by Han Yong-Woon’s critical mind of Bonmal system, his attitude to select only data faithful to reasonable and historical facts and loss of data due to a fire of Geonbongsa in 1878. In addition, he could not help making omission and simple description because of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is description of Manilhoi showing features of Geonbongsa well was simple and he didn’t refer to diverse data such as Eupji extensively. However, considering that he didn’t use Japanese era name in the way of year indication and minimized description related to Buddhist Temple Act, a core of Japanese Buddhist policy, the study could see that they showed Han Yong-Woon’s intention of compilation well. Such a limit was caused by a way of arranging year mark in the way of compilation of Geonbongsa Sajeok , its short period of compilation, loss of data by a fire in 1878 and his attitude of ‘Describe, but don’t draw’ to exclude the compiler’s position. However, Han Yong-Woon’s pride for compilation of Geonbongsa Sajeok based on historical facts was proved right now after 30 years. A lot of Buddhist temples including Geonbongsa, Simgoksa in Yanggu and Myeongjusa inYangyang were burn by the Korean War in 1950, which proved why it was necessary to compile temple magazines. On the other hand, Han Yong-Woon was distinguished as a character in the Buddhist world arguing Buddhist reformation by publishing Korean Buddhist Theism and as a racial poet by publishing collection of poems Silence of You . In addition, Han Yong-Woon was appreciated that he opened a new prospect in the research on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compiling Geonbongsa Sajeok

      • Aspergillus nidulans에서 NSD 돌연변이주의 분리 및 분석

        한동민,한유정,김지현,장광엽,정윤신,정재훈,채건상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 Vol.17 No.-

        Several mutants which never underwent to sexual development(NSD) of Aspergillus nidulans were analyzed genetically and physiologicall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itics of asexual development after release from aeration block. The mutants in first group proceeded asexual development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aeration block, while those in second group did 10 hours or more later. The NSD mutants were separated into 4 complementation groups, nsdA, nsdB, nsdC and nsdD. The nsdA and nsdD genes were linked to AcrA1 on linkage group II and pabaA1 on linkage group I, respectively. The mutant alleles were all recessive to wild type allele in heterokayon state. The mutants did not developed cleistothecia on any of carbon sources, except NSD208 which developed cleistothecia on lactose.

      • Aspergillus nidulans에 있어서 무성포자 생성의 억제조건과 이를 이용한 유성포자생성결손 돌연변이주의 분리

        한동민,장광엽,채건상 전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89 遺傳工學硏究所報 Vol.2 No.1

        In order to find an useful condition under which the mutants defective in sexual development could be isolated, the effects of several cultural conditions on the developments of Aspergillus nidulans were examined. Among the several conditions found to restrict the asexual sporulation but enhance the sexual process, the interference of aeration by sealing the plates with sealing film was the most useful one for the purpose of mutant isolation. Sealing at any time before 20 hours from inoculation prevented both sexual and asexual processes. When the seal was removed after 24 hours from inoculation, however, the mycelia developed only to sexual organs. Using this propertiy, the early morphogenic process of sexual development could be observed and several mutants that showed some defects in the process could be isolated. The mut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SD(never in sexual development), BSD(block in sexual development) and ASD(abnormal in sexual development). NSD mutants never developed either the Hulle cells or cleistothecia and they produced the asexual organs even when the aeration was restriced. BSD mutants were blocked in any process of the Hulle cell, cleistothecium, crozier, ascus or ascospore formation. ASD mutants had defects in the amount of clestothecia maturation or color of ascospores.

      • Aspergillus niduans에 있어서 無成分化의 抑制條件과 이를 利用한 有性分化缺株의 大量分離

        한동민,한유정,이영훈,장광엽,장승환,채건상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 Vol.14 No.2

        몇몇 배양조건이 유성 또는 무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성분화 결손 돌연변이주를 분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무성분화는 억제하며, 유성분화는 촉진시키는 여러조건중 Casein hydrolysate를 첨가한 최소배지에 밀봉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조건으로 선택되었다. 접종 후 20시간 이전에 밀봉하고 계속 배양하면, 유·무성분화 모두가 억제되나, 밀봉 후 20시간 정도 후에 밀봉을 해제하면 유성분화만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유성분화과정에 이상이 일어난 돌연변이주를 대량 분리해 냈었으며, 이들의 분화양상에 따라 크게 3group : NSD(never in sexual development), BSD(block in sexual development), ASD(abnormal in sexual development)으로 분류하였다. NSD 돌연변이주는 Hu¨lle cell이나 cleistothecia 등의 유성생식기관을 전혀 생성하지 못하였고, BSD 돌연변이주는 Hu¨lle cell, cleistothecia, crozier, asci 또는 ascopore 형성 중 어느 과정에서 중단되어 분화가 끝까지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ASD 돌연변이주는 유성분화의 최종단계까지 진행은 되지만 유성생식 기관의 생성시기나 양이 야생형과 현저하게 차이를 보였다. In order to find an useful condition under which the mutants defective in sexual development could be isolated, the effects of several cultural conditions on the developments of Aspergillus nidulans were examined. Among several conditions found to restrict the asexual sporulation but enhance the sexual process, the interference of aeration by sealing the plates with sealing film was the most useful one for the purpose of mutant isolation. Sealing at any time before 20 hours from inoculation prevented both sexual and asexual process. When the seal was removed after 24 hours, however, the mycelia developed only to sexual organs. Using this properity, the early morphogenic process of sexual development could be easily observed and a number of mutants that showed some defects in the process could be isolated. The mut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SD(never in sexual development), BSD(block in sexual development and ASD(abnormal in sexual development). NSD mutants never produced either the Hu¨lle cells or cleistothecia and some produced the asexual organs even when the aeration was restricted. BSD mutants were blocked in the process of Hu¨lle cell, cleistothecia, crozier, asci or ascospore formation. ASD mutants had defects in the amount of cleistothecia, time of cleistothecial maturation or color of ascospores.

      • KCI등재

        나혜석과 불교 – 작가적 예술혼과 불교적 보리심 -

        한동민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39 No.-

        본 논문은 나혜석 소장 사진들을 통해 불교 관련 내용을 고찰하는데 있 다. 수원시립미술관에 기증된 나혜석 소장 <사진첩>에는 90여 장이 사진이 있다. 이러한 사진을 통해 나혜석을 보다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사진 들 가운데 불교와 관련한 것은 해인사 관련 4점, 불국사 관련 2점 및 승려 가 되기 전의 <김일엽 씨> 사진 등 6~7점이다. 이들 사진을 통해 나혜석과 불교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나혜석은 1930년 이혼을 하면서 불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해 수송동 각황 사(현 조계사)에서 불교 강연을 듣고 1933년부터 본격적으로 불교 신자가 되었다. 특히 김일엽이 승려가 되면서 그들의 관계는 더욱 밀접하게 되었 다. 나혜석은 1931년 일본 제국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면서 화가로서 자부심을 회복하였다. 나혜석은 불교 신자가 됨으로써 새로운 삶에 대한 활력을 얻 게 되었다. 이로써 나혜석은 ‘작가적인 예술혼’과 ‘불교적 보리심’을 자신의 삶의 두 기둥으로 삼았다. 나혜석은 전국의 명승과 사찰을 찾아 그림을 그리는 것을 일삼았다. 1931년 금강산 만상정, 1932년 해금강 총석정 어촌, 1933년 수덕사, 1934년 해인사 등지를 찾아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또한 최범술과 인연으로 1936~1937년 해인사를 찾았고, 임환경 스님 등 과 찍은 사진 및 불교계 비밀조직 만당(卍黨)의 주도 인물인 김상호 일행 과 해인사에서 함께 한 사진이 남아 있다. 이때 사진들은 법복을 입은 모 습으로 불교에 침잠된 삶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나혜석의 마지막 글이 「해 인사의 풍광」이라는 점에서 해인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셈이다. 특히 승려가 된 김일엽이 머물렀던 예산 수덕사 인근 수덕여관을 자주 찾았다. 나혜석은 1938년부터 1944년 12월 해방 직전까지 수덕여관을 근거 지로 삼아 치열하게 그림을 그리는 ‘화가 나혜석’으로 살았다. 이때 장욱진 과 이응로, 김태신 등을 만났다. 따라서 나혜석의 후반기 생애는 ‘예술혼과 보리심’을 키워드로 하는 붓 을 뜬 화가이자 불교 신자로서 비승비속의 대승적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Rha Hye-seok’s <Photo Album>, which was donated to Suwon Museum of Art, has about 90 photos. Through these photos, Rha Hye-seok can be interpreted in more various ways. Among the photos, there are six to seven photos related to Buddhism, including four about Haeinsa Temple, two about Bulguksa Temple, and one photo of Kim Il-yeop before becoming a Buddhist monk. Through the photos, we can find the Buddhist relationship with Rha Hye-seok. After her divorce in 1930, she began to accept Buddhism and took a Buddhist lecture at Gakhwangsa Temple (currently Jogyesa Temple) in Susong-dong and became a Buddhist in earnest from 1933. Then, as Kim Il-yeop became the monk, they were more closely connected. Rha Hye-seok restored her pride as a painter when she was selected for Japan’s Imperial Academy of Fine Arts Exhibition in 1931. She gained vitality in her new life by becoming a Buddhist. As a result, she made the ‘artistic spirit’ and the ‘Buddhist Bodhicitta’ the two pillars of her life. Rha Hye-seok visited scenic spots and temples across the country all the time to paint. She visited these places to paint and write: Mansangjeong Pavilion in Mount Geumgang in 1931, the fishing village of Chongseokjeong Pavilion in Haegeumgang in 1932, Sudeoksa Temple in 1933, and Haeinsa Temple in 1934. In particular, Rha Hye-seok frequently visited the Sudeok Inn near Sudeoksa Temple in Yesan, where Kim Il-yeop, the Buddhist monk, stayed. Here, she met Jang Wook-jin, Lee Ung-no, and Kim Tae-shin. She lived as a ‘painterRha Hye-seok’ who painted fiercely from 1938 to December 1944, just before the liberation. In addition, Rha Hye-seok visited Haeinsa Temple from 1936 to 1938 due to her connection with Choi Beom-sul, and there are photos taken with Buddhist monk Lim Hwan-gyeong, with Kim Sang-ho who was the leading figure of Mandang, a secret Buddhist organization, and with Mandang Party at Haeinsa Temple. In addition, Rha Hye-seok is closely related to Haeinsa Temple in that her last writing was 「Scenery of Haeinsa Templ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econd half of Rha Hye-seok's life was about being a painter with a brush and being a Buddhist, living a Mahayana Buddhist life of Neither Monk Nor Layman.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신상완(申尙玩)의 독립운동

        한동민 대각사상연구원 2010 大覺思想 Vol.13 No.-

        신상완은 수원 용주사(龍珠寺)가 배출한 걸출한 독립운동가 가운데 한 명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불교계를 대표하는 만해 한용운 스님과 연결하여 불교학교인 중앙학림(中央學林, 현 동국대학교 전신)의 청년승 려들을 이끌고 직접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이후 청년승려들을 통한 만 세시위를 전국적으로 조직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신상완은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한 이후 임시정부와 연결하여 국내 불교계의 동지 획득과 독립자금을 모금하는데 노력하였다. 이에 국내에 <혁신공보(革新公報)>를 배포하여 독립사상을 고취하였고, 국제연맹(國際 聯盟)에 제출하기 위하여 일본의 한국 침략의 부당함과 한민족이 독립해 야하는 정당성을 역사적으로 밝힌 자료집 발간에 참여하였다. 자료집에 실명을 직접 쓴 논설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금강산 승려 신상완’의 이름 으로 일제의 불교탄압을 지적하는 글은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이는 신 상완이 상해에서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부각되었음을 뜻하며, 동시 에 일제 사찰령(寺刹令)에 대한 가장 논리적인 비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상완의 역할과 위상은 1919년 11월 15일 승려들의 독립선언 서인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大韓佛敎聯合會宣言書)>의 기초자로 추정 하게 만든다. 특히 독립선언서 발표 다음날 신상완은 여운형․최근우와 더불어 일본 정부의 초청으로 동경을 다녀왔다. 두 달간 신상완은 여운 형과 더불어 제국주의 일본의 중심에서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는 활 동을 펼쳤다. 한편 불교계의 단결과 독립운동을 강화하기 위해 1920년 1월 승려들로 구성된 군대, 즉 의용승군(義勇僧軍) 조직안을 만들었다. 전국적으로 승 려들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펼치겠다는 원대한 꿈이다. 신상완은 이러 한 승려들의 조직화를 위한 큰 뜻을 품고 국내에 들어와 독립운동 자금 과 승려들의 근거지 마련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 또한 상해 임시정부의 강원도 특파원으로 철원 애국단(愛國團)의 독립운동을 지원, 고무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신상완의 활동은 궁극적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한 독립운동 역량 강화와 상해 임시정부를 위한 연락업무였다. 동시에 불교 계에 처지에서 보면 외적의 침입에 맞섰던 역사적 전통을 지닌 승군(僧 軍)의 조직을 위한 노력이었다. 이러한 승군의 조직화를 위한 불교계의 통일과 단결을 위한 활동을 하던 중 1920년 4월 일제에 체포되어 5년형 을 받았다. 1923년 5월 출옥 이후 신상완의 사회적 활동은 찾아보기 어렵다. 독립 운동선상에서 일정하게 거리를 두고 생활했으며, 불교계에서 특별한 활 동을 하지 않고 채 은둔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불교계의 내부 분열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더불어 당대 불교계를 대표했던 스승 강대련의 친일 적 행태에 대한 소극적인 저항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신상완은 3․1운동 전후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주도적인 활동을 펼쳤던 인물이었다. Shin Sang-wan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independentista from Yong-ju temple in Suwon. Sangwan joined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with the monk Han Yong-un, a Korean Buddhist, Leading the young monks at The Joong-Aang-Haek Lim, the Buddhist school (the predecessor of the present Dong-Kuk University), in league with the monk Yong-woon, who represents the Korean Buddhist at that time. After the movement, Sangwan took a central part in organizing independent cheering movements in the whole country by the young monks. When Sangwan Sin was refugee in Shanghai, China, Sangwan tried hard to raise money and to gain members in Korean Buddhists for the independence, working with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urthermore, Sangwan inspired the independence’s spirit among Korean by distributing <革新公報> widely in Korea. Not only that, Sangwan also participated publishing the materials that historically prove the injustice in Japan invading Korea and reasons why Koreans should become independent to present to the League of Nations. It has an important meaning that Sangwan rarely marked his real name in his dissertations which criticized Japanese government oppresses Buddhism in Korea. This fact indicates that Sangwan was stood out as a representative for Korean Buddhist in Shanghai and that he did not ordered the Korean monks to fight over the Japanese government. These Sangwan Sin’s role and social status cause us to assuming that the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 the Independent declaration by Buddhists in November 15th, 1919 was based on Sangwan. Especially, the next day of the declaration, Sangwan and his fellows Woonhyeung Yea and Kenwoo Choi visited Tokyo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invitation. During the two months Sangwan was invited, he was actively engaged as an independentist, being companied with Woonhyeung Yea in Japanese corecity, Tokyo. In other han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in Korean Buddhist and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Sangwan framed a plan, forming an army that is made up with monks in January, 1920. It was an ambitious vision that country-widely arranged monks work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the monks’ systematization, Sangwan sneaked into Korea and raised fund to have headquarters for the monks and the Korean independence. In addition, Sangwan supported and encouraged 철원 patriots as a Kangwon state’s correspondent of Shanghai Korean Provision Government. In the point of view of Shanghai Korean Provision Government, Sangwan’s behaviors ultimately were concreting people’s the capacity for Korean independence and contacting works to the Shanghai Korean Provision Government. At the same time, in the point of Korean Buddhism, Sangwan’s conducts were an effort as a jingo monk that is to resist the foreign invasions. While Sangwan was establishing the fighting monks’ army, the Japanese government arrested Sangwan in Aprill 1920 and sentenced him for five years in jail. Later then he was released in May 1923, it is hard to find out Sangwan’s social activities. Sangwan kept distance to independence movements and to the Korean Buddhism as well. It could be analyzed that Sangwan had a condemning view toward Korean Buddhism’s internal divisions and his honored teacher’s taking turn to pro-Japanese whose name is Dearean Ka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