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의 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임상경과의 차이

        김희정 ( Hui Jeong Kim ),정명호 ( Myung Ho Jeong ),윤현주 ( Hyun Ju Yoon ),김용철 ( Yong Cheol Kim ),손석준 ( Seok-joon Sohn ),김민철 ( Min Chul Kim ),심두선 ( Doo Sun Sim ),홍영준 ( Young Joon Hong ),김주한 ( Ju Han Kim ),안영근 대한내과학회 2020 대한내과학회지 Vol.95 No.6

        목적: 좌심실의 구조적 변화는 심혈관계 이환율과 사망률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와 그 형태적 분류에 따라 임상경과의 차이와 주요심장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National Institute of Health(KAMIR-NIH)에 등록된 환자 중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고 2년 동안 임상 추적 관찰이 되어 분석 가능한 환자 852명(남:여 = 603:249)을 대상으로 하였다. 좌심실의 형태적 구조에 따라 정상군 470명(62.4 ± 12.8세, 남자 389명)과 좌심실비대군 382명(67.1 ± 12.1세, 남자 214명)으로 분류하여, 양군 간의 임상적 특성, 혈액 검사 특성, 심장초음파 및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 및 MACE를 비교·분석하였다. 좌심실 비대군은 좌심실 벽의 상대적 두께(relative wall thickness, RWT)와 좌심실 질량지수(left ventricular mass index, LVMI)에 따라 동심성 재형성군(concentric remodeling; RWT ≥ 0.42, LVMI ≤ 115 g/m<sup>2</sup> in male, ≤ 95 g/m<sup>2</sup> in female), 동심성 비대군(concentric hypertrophy; RWT ≥ 0.42, LVMI > 115 g/m<sup>2</sup> in male, > 95 g/m<sup>2</sup> in female) 및 편심성 비대군(eccentric hypertrophy; RWT < 0.42, LVMI > 115 g/m<sup>2</sup> in male, > 95 g/m<sup>2</sup> in female)으로 세분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를 21 ± 7.8개월간의 임상적 경과 관찰 중에 MACE는 173명(사망 55명, 재발성 심근경색증 26명, 재입원 34명)에서 발생하였다. MACE의 발생은 좌심실 비대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16.0% vs. 25.5%, p = 0.001),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이용한 사망률 분석 결과에서 좌심실 비대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생존율이 낮았다(p = 0.008). 좌심실 비대군의 형태적 분류에 따른 MACE의 분석 결과에서는 편심성 비대에서 MACE의 발생이 유의하게 많았다(동심성 재형성 vs. 동심성 비대 vs. 편심성 비대; 11.2% vs. 15.5% vs. 22.1%, p = 0.046).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는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었으며, 좌심실 비대 중 편심성 비대를 동반한 경우에 예후가 가장 불량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를 보이는 경우, 특히 편심성 비대를 동반한 경우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Aims: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not clea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normal left ventricular geometry on clinical outcomes in Korean patients with AMI. Methods: A total of 852 consecutive patients with AMI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left ventricular geometry (n = 470; 389 males) and LVH (n = 382; 214 males) group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were defined as cardiac death, recurr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rehospitalization. Results: During the clinical follow-up period of 21 ± 7.8 months, MACEs developed in 173 patients (20.0%), and the rate was higher in the LVH than normal left ventricular geometry groups (25.5% vs. 16.0%, respectively, p = 0.001). According to Kaplan-Meier survival curves, the MACE-fre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VH group than in the left ventricular geometry group (p = 0.008). The rates of MACEs and all-cause mortality differed among the AMI with concentric remodeling, concentric hypertrophy, and eccentric hypertrophy subgroups (11.2% vs. 15.5% vs. 22.1%, respectively, p = 0.046). Eccentric hypertrophy was a predictive factor of MACE according to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 (hazard ratio 1.804, confidence interval 1.034-3.148, p = 0.038). Conclusions: LVH is a predictor of poor outcomes in patients with AMI, and eccentric hypertrophy is associated with a worse prognosis compared with concentric remodeling and concentric hypertrophy. Therefore, Korean patients with AMI and LVH, especially eccentric hypertrophy, require more careful observation and intensive treatment. (Korean J Med 2020;95:387-397)

      • SCIE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원저 : 비만 환자에서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의 진단

        홍진숙 ( Jin Sook Hong ),박경희 ( Kyung Hee Park ),박지회 ( Ji Hoe Park ),송홍지 ( Hong Ji Song ),백유진 ( Yu Jin Paek ),조정진 ( Jung Jin Cho ),조규종 ( Gyu Chong Cho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4

        연구배경: 비만 환자에 있어서 심전도 검사는 전흉부 전극과 좌심실 사이의 피하지방 증가로 인하여 심전도 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비만이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의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심전도 진단 방법들의 유용성을 서로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심장내과 외래에 내원하여,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 받은 성인 159명을 체질량지수 25㎏/㎡을 기준으로 비비만군과 비만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심초음파 검사에 의한 좌심실 질량지수를 이용한 좌심실 비대 진단을 gold standard로 하여 심전도 검사에서 Sokolow-Lyon법과, Romhilt-Estes point scoring법, 그리고 Cornell법 등으로 진단한 좌심실 비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했다. 결과: Sokolow-Lyon 진폭은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비비만군: 27.7±10.8㎷, 비만군: 23.2±8.9㎷, P=0.004). 심초음파로 측정된 좌심실 질량 지수와 각 심전도 진단법의 지수들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는 Sokolow-Lyon 방법이 비만군에서 더 낮았으며 (비비만군: 50%, 비만군: 17.6%) Cornell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민감도가 오히려 비만군에서 더 높았다 (비비만군: 26.9%, 비만군: 32.4%). 결론: 심전도로 좌심실 비대를 진단할 때, Sokolow-Lyon 방법은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가 매우 낮았으며, Cornell 방법은 비만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비만 환자의 경우, Sokolow-Lyon 방법은 좌심실 비대를 저평가 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 선별검사 시 피검자의 비만여부에 따라 다른 방법의 판정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Obesity may limit sensitivity of ECG voltage criteria for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because of increased distance of exploring electrodes from the left ventricle. So we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obesity on the diagnostic value of electrocardiographic criterions for detecting LVH. Methods: From June 2003 to march 2004, 159 consecutive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cardiology of one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chocardiographic LVH used as gold standard was defined by left ventricular mass indexed to body surface area and height(2.7). The accuracy of the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Romhilt-Estes point scoring criteria, and Cornell criteria were examined and compared according to obesity. Results: The amplitude of Sokolow-Lyon voltage in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obese group and less correlated to left ventricular mass index than Cornell voltage or Romhilt-Estes point score. Compared with the sensitivity in normal-weight patients, the sensitivity of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in obese patients was markedly decreased (non-obese: 50.0%, obese: 17.6%). The sensitivity of Cornell voltage in obese group was not lower than that in non-obese group (non-obese: 26.9%, obese: 32.4%). Conclusion: Using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can underestimate the presence of th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obese patients, whereas Cornell criteria appears less dependent on body statu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clinical and epidemiologic implications for detecting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obese person.

      • KCI등재

        원문 : Dexamethasone 및 전기 자극 처치 시 근세포로부터 유발된 exosome의 항 근위축 및 근비대 관련 microRNA 및 단백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정석 ( Jeong Suk Kim ),박소영 ( So Young Park ),윤정수 ( Chung Su Yoon ),박대령 ( Dae Ryoung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골격근 세포에 dexamethasone (Dex) 및 전기 자극(ES) 처치 시 발생하는 microRNA(miR)가 각각의 자극에 따라 어떠한 profile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exosome을 골격근 primary cell에 처치 시 근위축 및 근비대 관련 인자의 인산화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C2C12 세포주에 Dex 및 ES를 처치하여 골격근 세포로부터 유리된 exosome의 miR의 profile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진 exosome을 골격근 primary cell에 재처리하여 골격근 세포에서의 근위축 및 근비대 관련 인자의 인산화 변화를 관찰하였다. C2C12 세포주에 Dex 혹은 ES를 처치한 결과, 근위축 관련 miR인 miR-1, miR-206, miR-322와 근비대 관련 miR-23a의 발현 양상이 유의하게 차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세포에서 얻어진 exosome을 골격근 primary cell에 처치한 결과, Dex를 처치한 세포에서 얻어진exosome은 근위축 관련 인자인 FOXO와 MuRF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에 비해 ES를 처치한 세포에서 얻어진 exosome은 근비대관련인자인 mTOR와 p70S6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신호체계에 의해 발생되는 골격근내 exosome이 세포의 신호전달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exosome에 의한 miR의 전달이 근위축 및 근비대와 관련된 신호단백질의 인산화를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xamethasone (Dex) treatment and electrical stimulation (ES) on skeletal muscle cell derived exosome`s microRNA (miR) profile and its effect on skeletal muscle signal protein expression. Exosom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C2C12 cell were treated with Dex or ES. Then we profiled exosome`s miR expression and atrophy related miR-1, miR-206, miR-32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X however, hypertrophy related miR-23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ES. Further we treated two different types of exosome to Dex treated skeletal muscle primary cell and two types of exosome differently regulated atrophy related protein (FOXO/MurF) and hypertrophy related protein (mTOR/p70S6K) phosphorylaton.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trophy or hypertrophy signal induces different exosome including different profile of miR and it plays important role in skeletal muscle atrophy and hypertrophy.

      • KCI등재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문희남(Hee Nam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상자 본인이 지각하는 하부요로 증상과 질병관련 특성이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 U시 소재 종합병원 비뇨의학과 외래에 내원하는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을 받은 남성으로, 설문지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4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예측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 시행 결과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로 하부요로 증상(β=-.65, p<.00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예측인자로는 수면시간(β=.17, p<.008)으로 확인되었다(Adjusted R2=.57). 결론 본 연구 결과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하부요로 증상과 수면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전립선 비대증 낭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하부요로 증상 관리를 위한 중재와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하부요로 증상 완화 및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증상, 질환 예방에 대한 자가관리 역량 향상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confirm the predictive factors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subj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en with Benign prostate hypertroph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3 patients aged 45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prostate hypertrophy at a general hospital urology out patient department in U-si, Gyeonggi-do, who could understand, respond to, and communicate with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3.0. Results As a result of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ubject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65, p<000) as a predictor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en with Benign prostate hypertroph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leep time (==.17 p<008). It was identified as (Adjusted R2=.57).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en with prostate hypertrophy were investigated a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sleep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ostate hypertrophy cyst, it is believed that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mprovement of self-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prevention of symptoms and diseases of prostate hypertrophy men who help alleviate and improv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 KCI등재

        A clinical study of masseter muscle hypertrophy treated by aesthetic contouring of mandibular angle

        이재휘(Jae Hwy Lee),황병남(Byung Nam Hwang),이정근(Jeong Keum Le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1 No.4

        교근 비대증은 교근의 크기 증대와 함께 하악골 우각부의 골성 팽창으로 인해 안모의 비대칭 혹은 사각형의 안모를 야기시키는 비교적 드문 양성 병변으로서 편측성 또는 양측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교근 비대증의 가장 주된 증상은 수개월 혹은 수년간에 걸쳐 하악골 우각부에 서서히 커지는 무통성의 종창으로 환자는 주로 심미적인 문제의 해결에 주된 관심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이에 대한수술의 목적은 심미적인 면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교근 비대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으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가설들이 제기되었으며, 그 가운데 부정교합, 꽉 다물기, 야간 이갈이, 불량한 저작습관 등으로 인한 과도한 하악운동으로 발생하게 되는 생리적 운동성 비대증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교근 비대증은 특히 편측성인 경우 임파종, 혈관종등의 하악골 양성 및 악성종양, 그리고 이하선 종양등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하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에 의해 비교적 쉽게 진단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는 주로 파노라마 및 정모 두부계측 방사선사진, 초음파 방사선사진, 전산화단층 방사선사진, 그리고 자기공명 방사선사진이 사용될 수 있다. 교근 비대증의 치료는 주로 외과적인 수술로 이루어 지는데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구내 접근법에 의한 교근과 하악골 우각부 절제가 수술방법이다. 교근 비대증으로 진단된 7명의 환자를 구내 접근법에 의한 하악골 우각부 절제술과 함께 교근 절제술을 시행하는 하악 우각부 미용 성형술을 통해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교근 비대중의 원인, 외과적 수술기법 및 절제된 조직편의 조직학적 소견등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7 patients of masseter muscle hypertrophy were operated on for aesthetic contouring of the prominent mandibular angle and/or resection of hypertrophic masseter muscle because of a cosmetic reason.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9 to 30 years involving 4 females and 3 males and a follow-up period from 2.5 to 1.2 years. Masseter muscle hypertrophy is the physiologic condition which increases the size of the masseter muscle with bony enlargement of the mandibular angle. The most frequent complaint is asymptomatic swelling that has slowly enlarged over several years, especially a cosmetic problem. Clinical examination usually suggests palpable painless swelling in the mandibular angle. Radiographic examination, such as panoramic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ultrasonography, and Ctor MRI shows a hypertrophic masseter muscle and prominent mandibular angle. The cause of masseter muscle hypertrophy is not clear, although several theories have been advanced. Masseter muscle hypertrophy is mainly is mainly treated surgically for the purpose of aesthetic oontouring. In this article, a surgical mathod via an intraoral approach in facial bone contouring through the curved osteotomy of the prominent mandibular angle for correcting the prominent mandibular angle that is caused by a posterior projection and lateral flaring of the gonial angle.

      • KCI등재

        편도절제술 후 구개편도비대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말운동 기능 및 조음음운 특성 비교

        송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1차 연구에서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이 더 길고, 자음정확도가 더 낮으며, 음운변동을 더 다양하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절제술 6주 후 결과에서도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술후 7개월이 흐른 후 이 변인들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초기 평가 7개월 후, 선행연구에참여하였던 구개편도비대 아동 27명과 일반 아동 29명을 대상으로 길항반복운동과 아동용 발음평가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 여전히 지체된 자음정확도를 보인 아동 세 명을 대상으로 조음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편도절제술 7개월 후 아동들은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 자음정확도, 음운변동에서 일반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음 치료 후 두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였으나, 한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편도절제술 후 7개월이면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의 수준을 따라잡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특성상 이 시기에도 지체된 아동이 있으며, 치료 후 특성도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구개편도비대가 말소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편도절제술 후에도 일부 지속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편도절제술 시기 및 조음 치료의필요성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Speech Motor Function,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Palatine Tonsil Hypertrophy: A Follow-Up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Yunkyung Song(송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1차 연구에서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이 더 길고, 자음정확도가 더 낮으며, 음운변동을 더 다양하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절제술 6주 후 결과에서도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술 후 7개월이 흐른 후 이 변인들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초기 평가 7개월 후, 선행연구에 참여하였던 구개편도비대 아동 27명과 일반 아동 29명을 대상으로 길항반복운동과 아동용 발음평가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 여전히 지체된 자음정확도를 보인 아동 세 명을 대상으로 조음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편도절제술 7개월 후 아동들은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 자음정확도, 음운변동에서 일반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음 치료 후 두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였으나, 한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편도절제술 후 7개월이면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의 수준을 따라잡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특성상 이 시기에도 지체된 아동이 있으며, 치료 후 특성도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개편도비대가 말소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편도절제술 후에도 일부 지속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편도절제술 시기 및 조음 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In a previous study, the diadochokinesis (DDK) and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of children with palatine tonsil hypertrophy (T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produced phonological processes (P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 than in T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CC and PP at 6 weeks after tonsillectom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lues (DDK, PCC, PP) in children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AT) and TD. Methods: Twenty-seven AT and 29 TD were measured for DDK and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An independent t-test and χ2-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ree children who had lower PCC than their peer group were given individual speech therap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DK, PCC, and PP between AT and TD. Except for one child, the children improved in PCC and PP after speech 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T can catch up with TD. Bu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PCC and PP at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and after speech therapy. It is necessary for a follow-up study to examine the timing of tonsillectomy and necessity of speech therapy after tonsillectom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이 소아의 수면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상에 미치는 영향

        안현웅,황보영,권영준,정희연,백병준,이치규,심세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4

        Objectives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one of the principal causes associated with snoring, sleep apnea, and restless sleep. These sleep-disordered breathing (SDB) is associated with hyperactivity, rebellious behavior, aggressiveness, enuresis, inattention, social withdrawal, and learning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adenotonsillar hypertroph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and sleep-related symptoms in children by standard tests. Methods Children aged 5 through 15 years old, a total of 65 who were scheduled fo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were studie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0 healthy children of the same age. In both groups,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as evaluated by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The degree of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sleep-related symptoms was evaluated by Korean ADHD Rating Scales (K-ARS), ADHD diagnostic system (ADS) and pediatric sleep questionnaire. The K-ARS and sleep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Results Acording to K-SADS-PL, 23 subjects out of 65 subjects in the patient group and 2 subjects out of 30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diagnosed with ADHD. According to sleep questionnaires, the pati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more problems tha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cumulative questionnair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cumulative score of sleep questionnaire was associated with inattention subscale scores, hyperactivity/impulsivity subscale scores and the total score of K-ARS, and also with the response tim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of ADS. In relation to ADHD, th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ADHD scores in K-ARS inattention subscale and significantly slower response time in A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mparing SDB children without ADHD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DHD by excluding ADHD children in both groups, SDB children without ADHD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ARS but did show significantly slower ADS response time. Conclusion Children with adenotonsillar hypertrophy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SDB and ADHD symptoms. Therefore they may need intensive treatment such as surgical intervention.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구조화되어 다른 검사자들에게도 통 용될 수 있는 K-SADS-PL를 통해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 대증 환아들이 정상소아에 비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증상에 더 많이 이환된다는 것을 도출해 내는 도구로 사용했다는 것 에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또한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 을 가진 소아는 일반 인구에 비해 수면호흡장애와 주의력 결 핍 과잉행동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수면설문지 및 객관적으 로 정량화된 평가방법인 K-ARS, ADS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를 통해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과 수면호흡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와의 관계에 대해 더 잘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