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중심의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on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7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improves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s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test, a 12-session treatment(each session lasting 50 min.), and a posttest. Treatment effects were measured using the PACI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K-MBRS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CBRS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child’s efficacy scale, and parenting efficacy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focused sand play therapy improve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At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uch improvement. Second,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program improved children’s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At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uch improvement. This study proved that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improves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s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test, a 12-session treatmen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improves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s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test, a 12-session treatment(each session lasting 50 min.), and a posttest. Treatment effects were measured using the PACI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K-MBRS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CBRS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child’s efficacy scale, and parenting efficacy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focused sand play therapy improve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At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uch improvement. Second,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program improved children’s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At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uch improvement. This study proved that communication-focused sand play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child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양희,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3 이정은, "커플모래놀이치료가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연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우울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태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영란,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순영,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백인순,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영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박혜준,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의사소통향상을 위한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 효과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1 이양희,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3 이정은, "커플모래놀이치료가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연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우울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태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영란,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순영,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백인순,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영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박혜준,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의사소통향상을 위한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 효과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11 최경희, "정신역동적 상담이론을 적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연구" 1999

      12 김아영, "자기효능감의 측정" 51-64, 1996

      13 유효현,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14 Bandura, A.,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교육과학사 1999

      15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김경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현문사 2006

      17 정유진, "이혼가정 모-자간 의사소통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18 한금선,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2008

      19 예서현,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장미경,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배현주,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위축아동의 모-자녀간의 행동변화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22 박정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언어통제유형"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7

      23 송미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6

      24 정해진,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이 양육태도 및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5 김금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6 김혜경,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7 홍성임,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8 최형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22 (22): 1-15, 2001

      29 윤미애, "아버지-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0 이순자,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1 이양숙,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 의 관계분석"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32 김민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3 장경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4 정나영, "아동의 행동문제·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 및 적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9

      35 박영미, "아동의 모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6 이승미,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및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7 김영애, "사티어의 의사소통방법론" 김영애 가족치료센터 2006

      38 김효순, "사고양식·자기효능감·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39 공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특성이 아동의 상황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0 배문정,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41 서성훈,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42 김정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3 하미정,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일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8

      44 김정효, "부모와의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0

      45 임우경, "부모-자녀관계문제 유아와 일반 유아의 어머니 상호작용 특성 분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46 최승희, "부모-자녀간의 촉진적 의사소통" 7 : 73-105, 1991

      47 최연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2

      48 백경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9 이미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50 김정미,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평정척도(MBRS 및 CBRS)의 타당성 연구" 19 (19): 895-904, 2006

      51 이정자,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과정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52 Carey. L. J., "모래상자놀이-아동치료와 가족치료" 하나 의학사 2002

      53 김보애, "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54 권태은, "모래놀이치료가 형제관계에 미치는 변화 사례연구 : 의사소통 모래상자 중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5 김보애, "모래놀이여행" 카톨릭 출판사 2007

      56 차임숙, "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활동이 학령기 위축 아동의 모자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7 박영미,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8 김형일,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성 발달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59 고남희, "교류분석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0 박지은,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61 서유리안나,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2 De Domenico, G. S., "Vision quest into reality" Clemens Rd. 1991

      63 Ammann, R., "The sandplay as a garden of the soul" 4 (4): 46-65, 1994

      64 Bandura, A., "The Parental efficacy scale"

      65 Barbara A. Turner,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2009

      66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ature" The Gillford press 2000

      67 Colemand, P. K., "Self 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 and future applications" 18 : 47-85, 1988

      68 Bandura, A., "Self 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69 Bandura, A., "Self efficacy : The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215, 1982

      70 De Domenico, G. S., "Sandtray worldplay" 1988

      71 Dean, J. E., "Sandtray consultation: A method of supervision applied to couples’s therapy" 28 (28): 175-180, 2001

      72 Boik, B. L., "Sandplay: A step-by-step mannual for psychotherapists of diverse orientaions" W. W. Norton & Company 2000

      73 Bradway, K., "Sandplay in psychotherapy" 6 (6): 85-93, 1979

      74 Jung, C. G., "Psychological types. Collected works, 6" Routtledge 1971

      75 Satir, V., "People Making" Science And Behavior Book 1972

      76 Doraey, S., "Parenting self 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 The role of social support" 61 : 295-305, 1999

      77 Bernes, H. 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56 : 437-447, 1985

      78 Gordon, T., "Parent effectioness" New American Library 1974

      79 Gordon, T., "P.E.T(Parents Effectiveness Training): The tested new way to raise responsible children" American Library 1975

      80 Gerald Mahoney, "MBRS" University of Michigan, and Iris Finger, University of California-Los Angeles 1985

      81 Barns, H. 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82 Geurney, L, & B., "Child Relationship enhancement" 4 : 344-357, 1989

      83 Gerald Mahoney, "CBRS" University of Michigan, and Iris Finger, University of California-Los Angeles 1985

      84 Ginott, H. G., "Between Parent and Child" Macmillan 1965

      85 Frank, G. H., "A Study of process of psychotherapy : The verbal interaction" 26 : 135-138, 1962

      86 김옥순, "'적극적인 부모역할, Now!'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태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72 1.07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