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체 없는 국민의 건강과 혐오 - 현대 한국의 ‘정치위생학’ 비판

        김항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1 No.-

        이 논문은 1960-70년대의 공중위생 담론과 제도,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소설, 그리고 유신헌법 상 통일주체국민회의의 헌법학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독해함으로써 현대 한국의 ‘정치위생학’의 전개 양상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 이래 본격적으로 시작된 현대 한국의 공중위생 담론과 제도는 물리적 환경, 생활관습, 공중보건, 식품, 우생학 등이 상호 연동되는 장으로서 위생 문제를 자리 매김 한다. 이는 감각적 혐오를 야기하는 원초적 쾌/불쾌를 특정 대상에게 투사하여 질서를 유지하는 정치위생학 패러다임의 본격적 전개를 알린다. 이 때 투사적 혐오의 대상이 되는 것은 ‘우리 안의 과거’와 ‘여성의 몸’이다. 우리 안의 과거는 일소되어야 할 나쁜 혈통으로 표상되어 온갖 병균의 온상으로 표상되었으며, 여성의 몸은 모자보건법을 통해 건강한 모성과 반사회적/우생학적 귀태의 처리장소로 분할된다. 이렇게 우리 안의 과거와 여성의 몸을 투사적 혐오의 대상으로 삼은 정치위생학은 1970년대 이래 본격화되는 아파트 보급을 배경으로 하여 일상 속에 스며들면서 수행성을 획득한다. 아파트는 비위생적인 과거를 일소하는 물리적 경험과 공간적 표상을 제공했으며, 여성을 건강한 모성=정상적 주부와 더러운 성적 욕망으로 분할하는 장치였다. 이러한 정치위생학이 도달한 하나의 관념적 완성은 유신헌법의 국민 규정 속에서 이뤄진다. 유신헌법은 그 어떤 분열과 갈등도 없는 탈정치화된 민주주의를 하나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 때 국민은 육체를 버릴 것을 요구받는다. 육체는 분열과 갈등의 원천이 되는 욕망과 분노의 거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위생학은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스스로를 굳건하게 유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adigm of ‘the political hygiene’ in contemporary Korea by reading the public hygiene discourses and institutions, novels dealing with apartment in 1960s-70s, and an interpretation of Yushin-Constitution. The agenda of public hygiene began to be regarded as a venue where natural and material environment, conventions in everyday life, public health, food, and eugenics were complicatedly intertwined. This means that the paradigm of the political hygiene which consisted of the projective disgust that a group of people was hated and excluded from social space by being projected primordial disgusting object. The body of women and the past in ourselves were the object of the projective disgust. The one was split in healthy maternal body and a disposal facilities of disgusting stuff, and the other was represented ‘the bad blood’ which was thought of as a dwelling place of virus and, thus, should be eliminated from our milieu of everyday life. Apartment, main form of housing since 1970s, accelerated the political hygiene practice in the level of everyday life and performance. It was represented as a futuristic space where any kind of dirty thing from the past never took place in and any kind of primitive sexual desire or behavior should not be permitted. In apartment, ‘normal’ housekeeper women lived with extreme hygiene and industrial stuffs. Yushin-Constitution was an ideal perfection of such kind of political hygiene because it defined the sovereign people without any bodily trait which could infected by various virus. And this paradigm of the political hygiene has sustained itself even after so called democratization.

      • KCI등재후보

        총과 법전의 동맹 -인민의 갈채와 현대 한국의 포퓰리즘-

        김항 참여연대 2019 시민과세계 Vol.- No.35

        This article examines populism and nationalism in Korea focusing on Han Taeyeon’s Constitutional theory. Han is one of the most eminent Constitutional theorist in Korea whose works dealt with actual issues of political situations in terms of public law. He also took a part in Park Junghee regime as an ideologue to legitimate the regime legally. His main theme was how people as sovereign could be established in undeveloped Korea, which was critical and urgent agenda for Constitutional theory. He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and legal system in 1950s in this respect, and advocated, by the concepts and languages of public law, May 16 coup d’état in 1961 as a decisive step to redeem people’s sovereignty and legal system. Since then to Yushin regime, Park’s populist regime was legitimated under the ideal of actual people’s sovereignty by Han. These academic practices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1930s Japanese populist total mobilizing, and should be reconsidered under the genealogy of contemporary democracy for which it is impossible to be understood without populism. 이 논문은 원로 헌법학자 한태연의 지적 영위를 중심으로 현대 한국의 포퓰리즘과 민족주의의 착종을 헌법학과의 연루 속에서 검토한다. 한태연은 이승만 체제에서 유신체제에 이르는 기간 동안 헌법학의 테두리 내에서 정치문제를 비판적으로 논구해온 헌법학자로, 5·16쿠데타와 유신헌법에 이르는 기간 동안 박정희 정권의 이데올로그로 활약했다. 하지만 이런 그의 활동은 어용학자로 비판되기보다는, 헌법학자가 스스로의 과제를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현실을 전유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그에게 평생의 과제는 주권의 담지자로서의 인민이 어떻게 존립할 수 있는가의 문제였으며, 독재와 혁명과 쿠데타로 점철된 1950~70년대의 한국 정치는 인민주권을 둘러싼 투쟁이었다. 그는 이승만 정권과 4·19 이후 등장한 민주당 정권이 진정한 인민주권에 기반하지 않은 체제임을 비판했고, 뒤이어 등장한 5·16쿠데타 세력을 인민주권의 수호자로 합법화하는 논리를 제공했다. 5·16쿠데타가 위기에 직면한 주권 그 자체를 수호하기 위한 결단이었다는 것이다. 이후 유신헌법에 이르기까지 통치 기구 모두를 직접 통치에 동원한 박정희의 관제 포퓰리즘은 인민주권의 진정한 존립이라는 관념 아래 변증된다. 이런 그의 지적 영위는 1930년대 일본의 민족주의적 포퓰리즘과 글로벌한 총동원체제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는 과학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현대의 민주주의와 포퓰리즘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으로 성찰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탈근대의 철학, 반근대의 정치: 박종홍의 한국사상과 민족주의

        김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이 논문은 박종홍의 한국사상 연구와 그의 민족주의 및 정치참여 사이의 내적 관계를 추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이 때 박종홍에게 한국사상이란 실존주의와 과학철학이라는 아포리아에 봉착한 서구 현대철학을 초극하는 대안이었으며, 그런 한국사상에 기초한 민족주의는 법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합리적 근대정치를 부정하는 정치적 원리로 귀결되었다. 따라서 그의 유신정권 참여는 독재정권에 대한 협력이기 이전에 자신의 철학적 논리 전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도출된 것이며, 박종홍은 누구보다도 자신이 세운 철학적 원리에 충실했던 철학자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박종홍에게 민족주의는 한국사상이라는 혈맥 속에서 꽃피어날 수 있는 반근대적 정치원리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nal relations between Park Jong Hong's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and his participation to Park Jung Hee's totalitarian regime. For Park Jong Hong, Korean philosophy w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an aporia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which has been divided into existentialism and epistemology. Based on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he could found his own nationalism which denied the priciples of modern politics which has in its core legal and rational way of governing. Although his participating to totalitarian government has been blamed for collaboration, his political action was not a simple collaboration but a result of 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This sort of philosophical inquiry and political action could be named as 'philosophy of overcoming modernity' and 'politics of anti-modernity.'

      • KCI등재

        주권의 표상 혹은 공백의 터부: 미시마 유키오의 텐노와 미

        김항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iterature and political performance by Mishima Yukio as a performing arts. Mishima Yukio killed himself by cutting off his stomach(kappuku) at HQ of Japanese Self Defense Army in 1970, shouting that JSDA must become the army of Tenno. His performance has been regarded as an extreme rightist’s insane action. However, this performance could be thought of as a performing arts by which his lifelong artistic work since 1945 was finished. Just after the defeat of the Japanese Empire in WWII, Mishima romanticized the wartime as a space of erotic fulfillment, and conversely defined the postwar era as a dull stage viewed from long-distanced seats. Based on this kind of perspective, he started his career as a writer and wrote several works in which he argued that authentic beauty could never be accomplished in postwar Japan, so it was only possible for artists to make artificial constructions. He tried to reconsider the wartime attackers who killed himself for Tenno as representer of romantic and authentic beauty since 1960s. He regarded them as extreme romanticists who destroyed their minds and bodies not for Tenno himself but for accomplishing the romantic ideal of beauty. He made a kind of parody by killing himself in JSDA HQ and criticized the stuation of postwar Japan where authentic and romantic beauty was primordially impossible. This critical and cruel performance, however, was deeply captured by a sort of legacy of modern Japanese culture, because Tenno which Mishima used as a tool for his performance was a symbol of modern Japan who formed and attained her self-identity between lost and gain. 이 논문은 일본의 문학작가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의 문학작품 및 파국적인 정치행위를 일종의 ‘행위예술 (performing arts)’로 파악하여 그 의미를 독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1970년 미시마 유키오는 일본 육상자위대 이치가야 주둔지에서 자위대 동부방면 총감을 감금한 채 자위대가 텐노의 군대로 거듭나야 한다며 일장연설을 한 뒤 할복으로 삶을 마감했다. 이런 그의 행위는 망상에 사로잡힌 극우파의 극단적 행동으로 간주되어왔으나, 이 극적인 장면은 1945년 패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미시마 유키오의 예술적 영위의 종지부를 찍는 퍼포먼스였다. 패전 직후 미시마 유키오는 전쟁 시기를 ‘에로스로 충만한 시대’로 낭만화하고, 패전 이후의 세계를 ‘삼등석에서 보는 따분한 연극’으로 치부했다. 이런 시대 파악 위에서 그의 예술적 영위는 시작하는데, 그의 예술은 패전 이후의 일본 사회에서는 그 어떤 진정성이나 아름다움도 불가능함을 고발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작품은 자연과 사회로부터 극단적으로 분단되어 인공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것임을 표현하는 일이었다. 이런 관점 하에서 1960년대 이후 미시마는 텐노를 위해 죽은 특공대에 주목하면서 일련의 작품을 발표한다. 이 작품들 속에서 미시마는 특공대의 죽음이 전쟁에서의 승리라든가 텐노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을 위한 것이 아님을 설파하면서, 그 죽음은 어디까지나 스스로의 목숨을 건 궁극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퍼포먼스였음을 형상화했다. 즉 특공대의 죽음을 극단적인 낭만화를 통해 승화시켰던 셈인데, 미시마는 그런 낭만적이고 자기파괴적인 죽음이 패전 후 일본 사회에서 진정으로 아름다움을 체현할 수 없음을 인지했다. 미시마의 전략은 이런 근원적 불가능성 속에서 텐노를 무대장치로 내세워 특공대의 자기파괴를 모방함으로써 인공적인 낭만성과 아름다움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미시마의 퍼포먼스는 근대 일본 자체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이자 거부였지만, 이 때 텐노가 소환되었다는 것은 미시마조차도 근대 일본에 강력하게 주박된 존재였음을 증명하는 일이었다. 왜냐하면 텐노는 자기 정체성의 상실과 획득 사이에서 분열된 근대일본의 금기이자 강박을 응축한 존재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우리-내-존재 In-dem-Uri-sein라는 철학적 전회: 박종홍과 하이데거

        김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0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열암 박종홍의 '우리=민족' 개념에 주목하여, 그가 당시의 민족주의 담론과 구분되는 '실존적 민족'을 철학적으로 기초지우려 했음을 논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박종홍은 하이데거를 철학적 사색의 출발점으로 삼았고, 하이데거적인 실존주의를 통해 마르크스주의와 민족주의를 넘어서려고 했다. 이러한 철학적 전회는 일본 철학자 미키 기요시(三木淸)에게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당대를 위기의 시대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주체적 대응을 요청한 미키의 철학을 박종홍은 '실존적 민족' 개념을 통해 수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박종홍의 철학적 전회를 '우리-내-존재'라고 명명했으며, 1950년대 이후 전개되는 박종홍의 철학적 민족주의의 고유성을 재조명하는 출발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examines Park Jonghong's philosophical elaboration on the concept of 'We, Uri' to reconsider his politico-philosophical discourses as 'existential nationalism'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dominant ideologies in 1930's in colonial Korea. By intensive reading of Heidegger, he tried to overcome both nationalism and Marxism through existentialism. This kind of philosophical turning originated from Miki Kiyoshi's thoughts. Miki, one of the most eminent philosopher in pre-war Japan, determined the situation of those times as a crisis, and argued that it could be overcome by existential Marxism. Under the influence of Miki, Park Jonghong reconsidered nation as an existential category in the legacy of Heideggerian philosophy. In this article, this attempt of Park Jonghong is named a philosophical turning to 'In-dem-Uri-sein,' to recast a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on of Park Jonghong's entire works in the 1950's~60's.

      • KCI등재

        양떼, 늑대 무리, 그리고 기민(棄民) ─ 포스트 ‘3.11’의 사회 풍경에 대한 소묘 ─

        김항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9

        이 논문은 포스트 3.11의 사회 풍경을 전후 민주주의와 시민 형상의 변화를 중심 으로 스케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증유의 파국적 경험인 3.11을 결정적 국면 으로 삼지 못하는 현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서이다. 우선 포스트 3.11 시공간의 최대 시민 봉기인 신안보법제 반대 데모를 전후 민주주의의 보편주의와 이상주의의 수호 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신안보법제가 적극적 평화주의란 개 념 아래 전후 민주주의의 이상을 계승한다는 사실, 비판자들은 이러한 주장이 역사 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사실, 그리고 그런 탓에 전후 민주주의의 이상주의와 보편주의가 끔찍한 폭력 위에서 성립 가능했음에 무지했음 을 비판한다. 그 뒤 마루야마 마사오의 민주주의론을 대조점으로 삼아 신안보법제 비판의 한계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루야마의 민주주의론을 타자적 연대론으로 전 유한 가라타니 고진의 논의를 바탕으로 야쿠자라는 극한의 형상을 범례로 삼아 근 대 일본의 개별사회에 주목한다. 개별사회란 전체사회와 달리 내부 규범과 배타적 결속력을 가진 집단으로서, 시민의 테두리 바깥이나 그 경계선에 자리한 타자들로 구성된다. 메이지 유신 이래의 근대화 속에서 개별사회는 국가 법질서의 경계를 넘 나들며 사회적 타자들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회집단으로 기능해왔다. 이런 논의를 전 제로 하여 포스트 3.11의 사회 풍경에서 시민들의 안전과 위생이라는 미명 아래 이 러한 개별사회가 철저히 말살되었는지를 소묘한다. 결론에서는 개별사회의 말살이 포스트 3.11의 사회 풍경 속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 성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the social landscape Post 3.11, focusing on the present situation of post-war democracy.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3.11, an unprecedented catastrophic experience, cannot be taken as a critical juncture. First,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New Security Law, the largest civil uprising in post 3.11, was critically reviewed in terms of protection of postwar democracy and idealism. Then, using Masao Maruyama's theory of democracy as comparison, the limitations of the new security legislation were extracted. Next, based on the discussion of Kojin Karatani, who inherited Maruyama's theory of democracy as another theory of solidarity, I focused on the middle social group of modern Japan whose extreme model was Yakuza organization. Unlike the society under regulation of legal order, the middle social group has exclusive bond with internal norms and consists of others outside the boundaries of citizens or on its boundaries. Furthermore, it was explained that how this middle social group was thoroughly wiped out under the guise of citizens' safety and hygiene in the social landscape Post 3.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