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ocalization of Antigenic Sites at the Amino-terminus of Rinderpest Virus N Protein Using Deleted N Mutants and Monoclonal Antibody

        Kang-seuk Choi,Jin-ju Nah,Young-joon Ko,Shien-young Kang,Yi-seol Joo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of Antigenic Sites at the Amino-terminus of Rinderpest Virus N Protein Using Deleted N Mutants and Monoclonal AntibodyKang-seuk Choi*, Jin-ju Nah, Young-joon Ko, Shien-young Kang1 and Yi-seok Joo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480 Anyang, Gyounggi 430-824, Korea1Research Institute of Veterinary Medicin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48 Gaeshin-dong, Heungduk-gu, Cheongju, Chungbuk 361-763, KoreaReceived April 2, 2003 / Accept July 10, 2003J. Vet. Sci. (2003), 4(2), 167-173JOURNAL OFVeterinaryScience*Corresponding author: Kang-seuk Choi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480 Anyang, Gyounggi 430-824, Korea Tel: +82-31-467-1860, Fax: +82-31-449-5882 E-mail: choiks@nvrqs.go.kr

      • KCI등재후보

        Bromocriptine 과 Cyproheptadine 이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 로 자극된 ACTH 분비에 미치는 효과

        김진우,최영길,김영설,김광원,김선우,양인명,윤현구,우정택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1 No.5

        Our study was desinged to observe the ACTH response to ovine CRF in healthy men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bromocriptine or cyproheptine on ACTH and cortisol response induced by ovine CRF in healthy men. We have hypothesis that if hromocriptine or cyproheptatine inhibits the secretion of ACTH induced by ovine CRF, they decrease the secretion of ACTH in the pituitary level. The result were followings: 1) Plasma ACTH reached a peak of 1.5 and 1.6 times the basal level in response to ovine CRF at 10 min, and 30 min, respectively and decreased to the basal level at 90 min. 2) Cyproheptadine or bromocriptine did not inhibit the response of ACTH to ovine CRF. 3) We suggest that cyproheptadine or bromocriptine does not inhibit the ACTH secretion in the normal pituitary gland.

      • KCI등재후보

        고성능 액체석출분석기(HPLC)를 이용한 Prednisone 의 Prednisolone 전환에 대한 연구

        김진우,최성근,최영길,김영설,김광원,양인명,허선희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1 No.2

        To determine the effect of impaired liver function on conversion of prednisone to prednisolone,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PLC on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prednisone, the serum prednisone and prednisolo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the use of HPLC system in nine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eight healthy subjects after oral doses of prednisone(0. 3 mg/ kg)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HPLC system appears to be a sensitive, specific, and reproducible method which is devoid of cross-reactivity with endogenous steroid in the measurement of serum prednisone and prednisolone. 2) The conversion of prednisone to prednisolon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is impaired. 3) Prednisolone should be preferred to predniso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mpaired liver function.

      •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hioctic acid의 유효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철영,김영설,오승준,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1

        연구배경: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서 임상 증상은 가볍거나 없을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이나 무감각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이나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었다. 최근에 신경세포내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로 신경세포의 손상이 발생된다는 기전이 주목을 받으면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 항산화제인 thiotic acid를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관찰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의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thiotic acid를 경구 투여 후에 신경병증에 의한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모든 대상 환자에게 Thioctic acid 600㎎ 을 1일 1회 아침 식전 30분에 8주간 투여하여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SS의 개선여부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 및 이상반응, 내약성, 실험실적 지표의 변화를 통한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치료시작 전에 관찰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무감각, 작열감, 이상감각 순의 빈도를 보였다.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무감각증의 평균 TSS는 1차 방문시 5.8± 1.8, 2차방문시는 4.4±1.7, 3차 방문시는 3.1±1.1로 사용기판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또한 TSS의 개선 뿐만 아니라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및 무감각증 각각의 증상도 치료전과 치료 4주 후 및 치료 8주 후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TSS가 1차 방문 시와 비교했을 때 3차 방문시에 30% 이상 개선되었을 때(1차 방문시에 TSS 4인 환자는 2점 이상 개선되었을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반응으로 간주하고 계산한 반응률은 71.3%였다. 결론: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중 환자에 대해 항 산화제인 thioctic acid 600㎎ 경구 투여요법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완화에 유용하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treatment with the antioxidant α-lipoic acid (Thioctcid??) in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Methods: Thioctacid?? 600㎎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8 weeks in 61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Neuropathic symptom(pain, burning, paresthesia, and numbness) were scored before, and of 4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addition, neuropathy by the physician and patients at the end of treatment.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response role after 8 weeks treatment, defined as an improvement in the total symptom score of at least more than 30%. Results: Efficacy was evaluated among forty-four patients who had completely the study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safety was evaluated among all of 61 patients who had taken the study medication. The response rate after 8 weeks was 77.3%. The total symptom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of 8-week. All the individual scores for neuropathic symptom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at 8-week. Conclusion: These finding indicate that oral treatment with thioctacid?? at a dose of 600㎎/day for 8 weeks will improve peripheral poly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causing any serious adverse events.

      • KCI우수등재

        한국인 당뇨병 및 비당뇨병 환자에서의 뇌혈관 질환 유무에 따른 PAI-1 촉진자 유전자형과 인슐린저항성에 관한 연구

        오승준,김영설,박철영,김덕윤,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팽정령,정경천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연구배경 : 혈전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서는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이 높은 활성도를 보이는데, PAI-1 치는 당뇨병, 심근경색증, 비만 등에서 높다고 밝혀진 바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의 합병증의 주요한 병인은 죽상경화증으로 혈전현상이 특징인 질환에서 증가하는 PAI-1이 당뇨병 환자에서 높다. 목적 : 정상인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의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관찰하고, 당뇨병 및 뇌혈관 질환 환자군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측정하여 정상인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당뇨병 환자군에서의 혈장 PAI-1 치와 인슐린 저항성, 전구 인슐린 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인슐린저항성과 대혈관질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대상으로는 정상인 76명, 제2형 당뇨병 환자 56명, 뇌혈관질환이 동반된 제2형 당뇨병 환자 48명, 뇌혈관질환 환자 51명을 선택하여, 환자의 혈액에서 인슐린, 공복시 혈당, 전구인슐린,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기타 생화학 검사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DNA를 채취하여 전사개시 -675bp를 포함하는 대립형질 특이 시발체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여, 그 유전자형을 판독하였다. 결과 : 정상 대조군 76명 (46.4±11.1세), 2형 당뇨병 환자 56명 (58.3±12.6세), 뇌경색증 환자 51명 (63.1±13.2세) 대상으로 하였다. PAI-1 촉진자 유전자형의 (4G/4G, 4G/5G, 5G/5G)빈도는 정상 대조군이 각각 23.7%, 75.0%, 1.3%, 뇌경색 환자군이 19.6%, 66.7%, 13.7%, 뇌경색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군이 33.3%, 58.3%, 8.3% 였다. (X2=12.6, p=0.05). 이러한 사실은 서구인에 비해 4G/4G, 5G/5G 동형 유전자형이 낮은 결과였다. 각 군별 혈장 PAI-1 농도는 정상 대조군 13.4, 1.8 ~ 65.2 ng/mL (중앙값 , 범위 ) 2형 당뇨병 환자군 14.4, 2.9 ~ 47.8 ng/mL, 뇌경색 환자군 21.9, 6.2 ~ 154.7 ng/mL , 뇌경색이 동반된 2형 당뇨병 환자군 28.8, 3.2 ~ 139.3 ng/mL 로 차이를 보였다 (p=0.000). 전체 대상에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에 따른 PAI-1 활성도와 항원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AI-1 활성도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인슐린, 체질량지수와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0, p=0.000 and p=0.005). 결론 : 결론적으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은 뇌경색증의 지표는 아니며, PAI-1 활성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유전적 요인보다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 인슐린, 체질량지수와 같은 대사적 요인으로 생각된다.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is known be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several components of the large vascular disease. Notably, the high frequencies of diseases such as coronary heart disease or stroke are related to type 2 diabetes complications. We studied to find out whether the PAI-1 promother genotype could be a marker for cerebral infarction in type 2 patients. Subject patients were; 56 type 2 diabetics (age 58.3±12.6), 51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3.1±13.2), 48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4.8±9.3) , and 76 healthy control (age 46.4±11.1). The 4G/5G genotype of PAI-1 promoter was evalu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donuclease digestion. PAI-1 promoter genotype frequency (4G/4G, 4G/5G, 5G/5G) was 23.7%, 75.0% and 1.3% in healthy control, 17.9%, 67.9% and 14.3% in type 2 diabetes patients, 19.6%, 66.7% and 13.7%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33.3%, 58.3% and 8.3% in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X^2=12.6, p=0.05). This finding is lower in frequency of 5G/5G homozygote than that reported in Caucasians. The plasma PAI-1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disease were 13.4, 1.8 ~ 65.2 ng/mL (median, range) for healthy control, 14.4, 2.9 ~ 47.8 ng/mL for type 2 diabetes, 21.9 6.2 ~ 154.7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 and 28.8, 3.2 ~ 139.3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with type 2 diabetes (p=0.000). In the all subjects, PAI-1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PAI-1 promoter genoty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AI-1 activit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 plasma proinsulin and BMI (p=0.000, p=0.000 and p=0.005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PAI-1 genotype is not a marker for the cerebral infarction ; however, the genotype is related to PAI-1 concentration , and therefore it seems to be that metabolic factors such as triglyceride level or plasma proinsulin or BMI are more in relations with determining the PAI-1 concentration than the genotype.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

        남기덕,김영설,박철영,오승준,김덕윤,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성호르몬과 상호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연령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등은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산인과 비교해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를 측정하고 연령에 따른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 환자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중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면역방사계측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Diagnostic System Laoratories, Wbster, TX, USA). 결과:1)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104.1±35.0 vs 25.7±3.5 mole×10??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p<0.001),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13.7±9.5 vs 13.6±6.5 ng/dL로 차이가 없었다. 2)연령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40로 중등고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01),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0.11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08,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0.17로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와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차이가 없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증가 폭이 의미있게 컸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변화가 없었다.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sulin lowers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there i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in women. However, in m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re avail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sex hormone on age and insul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ree testosterone,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ge in type 2 diabetic men and control subjects. Method: Age, body mass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on 89 type 2 diabetic men and 47 control subjects. The free testo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 (Radioimmunoassay). The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also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1)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ree testosterone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4, p <0.00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ree testosterone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in control sujects. 3) Fre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We observed increase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 in diabetes man, and was a positively related to 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insulin resistanc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J Kor Diabetes Asso 24:699~707,2000).

      • 배양된 쥐 인슐린종 세포에서 성장인자들에 대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

        김성운,양인명,김진우,김영설,김광원,최영길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89 遺傳工學論文集 Vol.1 No.-

        인슐린 유전자 발현의 실험실적 모델로서 쥐 인슐린종 세포(RINm5F cell;rat insulinorraceil)를 이용하여 몇 개의 성장인자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고 인슐린 유전자의 활성에 관여하는 상황을 이해하고자 인슐린 유전자의 mRNA를 조사하였다. RINm5F 세포는 glucose 와 EGF 등의 성장인자에 대해 세포분화 및 성장에 자극을 받으며 인슐린, IGF-Ⅰ IGF-Ⅱ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RINm5F TPVHSMS 생체내 췌도 베타세포의 기능을 대변하기는 어려웠으나 각종 성장인자의 세포내 활성양상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Insulin secretion of RINm5F cells can be stimulated by some of the growth factors, however, not in the same manner compared to pancreatic islet beta cells. We observed that insulin superfamily (insulin IGF-Ⅰ, IGF-Ⅱ) were not affected to insulin mRNA of RINm5F cells, but EGF (50ng/㎖) increased insulin mRNA levels, and dexamethasone (300ng/㎖) decreased insulin mRNA levels in RIAm5F cells. So some of growth factors regulated insulin gene at transcription level in RINm5F cells line.

      • KCI등재후보

        골아세포 MC₃T₃-E₁의 증식과 기능에 Insulin Like Growth Factor Ⅰ, Ⅱ 및 부갑상선 호르몬이 미치는 영향

        윤현구,정호연,양인명,김성운,김진우,김광원,김영설,최영길,서광식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1

        MC₃T₃-E₁골아세포군을 이용하여 IGF-Ⅰ과 Ⅱ를 투여하고 DNA합성과 골아세포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PTH에 대한 C-AMP반응정도,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GF-Ⅰ과 Ⅱ는 모두 DNA합성이 어느 농도까지는 증식효과를 나타내지만 그 이후에는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 2) PTH에 대한 골아세포의 C-AMP반응으로 증가되었지만 IGF-Ⅰ과 Ⅱ의 투여시 농도변화에 따른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3) 본 실험의 조건에서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증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C₃T₃-E₁ 골아세포에 IGF-Ⅰ과 Ⅱ는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PTH는 C-AMP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The effect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Ⅰ and Ⅱ on cloned MC₃T₃-E₁ cells that had osteoblastic activity was examined by [³H] thymidine incorporation into DNA, cyclic AMP responsiveness to parathyroid hormone (PTH),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GF Ⅰ and Ⅱ stimulated the growth and proliferation of osteoblastic cells at 20ng/㎖ and 50ng/㎖, respectively. We next examined the effect of IGF-Ⅰ and Ⅱ on the expression of osteoblastic activity. Adenylate cyclase response of PTH to IGF-Ⅰ and Ⅱ-treated cells showed maximal stimulation at 10 and 50㎚PTH, respectively, but IGF Ⅰ and Ⅱ induced limited activity of osteoblastic function. In conclusion, IGF-Ⅰ and Ⅱ were potent stimulators to the growth of osteoblastic cells but did not have an immediate effect on expression of osteoblastic function in this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