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에서의 뇌 단일광자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

        이동우,이명철,정준기,이동수,곽철은,이재성,조경형,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연구 목적 :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의 Tc-HMPAO SPECT영상 소견을 정상 대조군, 인지기능장애가 없는 우울증 환자군 및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과 비교함으로써 노년기 우울성 가성치매의 병태생리의 일부를 알아 보았다. 연구 방법: 9명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 7명의 인지기능장애가 없는 우울증 환자군, 7명의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 4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증 환자군은 DSM-III-R의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되었고,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은 DSM-III-R의 진단기준과 NINCDS-ADRDA의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되었다. 모든 대상자가 해밀턴 우울증 척도 및 MMSE-K에 의해 평가되었다. 모든 대상자에 대해 99m-HMPAO SPECT를 시행하였고, 각 대상군의 영상을 Friston의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 방법을 이용, 매 복셀(voxel) 단위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2) 우울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좌측 전두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3)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측 측두엽과 좌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4)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우울증 환자군에 비해 우측 측두엽과 양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결론 :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측두-두정엽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고, 이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유사한 소견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성 가성치매가 초기의 원발성 치매 환자군을 포함한다는 가설을 지지해준다. 0bjects : Through comparison of the Tc-HMPAO SPECT image of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with those of control group(depression group free from cognitive impairment)and DAT(Dementia of Alzheimer's type). we tried to see part of pathophysiology of she depressive pseudodementia of the elderl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9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DAT group),7 patients with depression free from cognitive impairment(depression group),7 patients with depressive pseudodementia(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and 4 normal controls. De-pression patien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 111-R DAT patients were diagnosed by DSM 111-R and N1NCDS-ADRDA criteria of DAT. All were rated with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and Mini Mental State Exam. All underwent 99m-HMPAO SPECT scan. The images of each group were analysed using SPM of Friston, which compares the images on voxel-by-voxel basi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A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erebral blood flow (CBF) compared with controls in the right frontal regio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both temporal regions(p<0.05). 2) De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in the left frontal region(p<0.05). 3)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compared with controls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the left parietal region(p <0.05). 4)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compared with depression group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both parietal regions(p<0.05). Conclusion :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decreased CBF in temporo-parietal region, similar to that of the DAT group.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depressive psuedodementia includes a subgroup of patients with early-stage primary dementia.

      • KCI등재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한 좌심실의 국소탄성률 평가방법 개발 및 재현성 평가

        이병일,이동수,이재성,강원준,정준기,이명철,최흥국 대한핵의학회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6

        목적: 게이트 심근 SPECT 영상에서 국소부피변화를 얻으면, 요골동맥 긴장도를 측정하여 얻은 중심 동맥의 압력 곡선으로부터 최대탄성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좌심실의 국소탄성률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국소탄성률 측정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게이트 Tc-99m MIBI 심근 관류 SPECT를 두 번 연속으로 시행한 환자 7명(남:여=5:2, 58±11.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소적 부피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CSA(Cardiac SPECT Analyz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부피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시간-압력 곡선과 국소 시간-부피 곡선을 이용하여 반복연산을 통하여 구한 국소 시간-탄성율 곡선에서 국소탄성률을 얻었다. 같은 SPECT 영상에 대해서 두 번 측정한 국소탄성률의 재현성과, 같은 환자에서 연속하여 두 번 얻은 SPECT 영상에 대해서 측정한 국소탄성률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국소탄성률은 15분할모델에서 3.36±3.38 mmHg/mL이었으며, 7분할모델과 5분할모델에서 각각 3.16±2.25 mmHg/mL, 3.11±2.57 mmHg/mL이었다. 국소탄성률의 조화평균은 전체탄성률과 일치하였다. 동일한 데이터에서 두 번 측정한 국소탄성률 값의 상관계수는 모든 모델에서 0.97이상이었고, Bland Altman 도표에서 차이의 2-표준편차는 각각 1.5%, 1.0%, 0.9%였다. 동일 환자에서 두 번 연속 촬영한 SPECT 데이터로부터 측정한 국소탄성률의 상관계수는 모든 모델에서 0.95이상이었으며, Bland Altman 도표에서 차이의 2-표준편차는 각각 2.2%, 1.0%, 1.2%였다. 결론: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한 좌심실의 국소탄성률을 측정하였으며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심근 SPECT를 이용하여 얻은 국소탄성률의 평가방법은 향후 임상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심기능 분석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Regional contractility can be calculated using the regional volume change of left ventricle measured by gated myocardial SPECT image and curve of central artery pressure obtained from radial artery pressure data. In this study, a program to obtain the regional contractility was developed, and reproducibility of regional contractility measurement was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male:female=5:2, 58±11.9 year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underwent gated Tc-99m MIBI myocardial SPECT twice without delay between two scans. Regional volume change of left ventricle was estimated using CSA (Cardiac SPECT Analyzer) software developed in this study. Regional contractility was iteratively estimated from the time-elastance curve obtained using the time-pressure curve and regional time-volume curve. Reproducibility of regional contractility measurement assessed by comparing the contractility values measured twice from the same SPECT data and by comparing those measured from the pair of SPECT data obtained from a same patient. Results: Measured regional contractility was 3.36±3.38 mmHg/mL using 15-segment model, 3.16±2.25 mmHg/mL using 7-segment model, and 3.11±2.57 mmHg/mL using 5-segment model. The harmonic average of regional contractility value was almost identical to the global contract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of regional contractility values measured twice from the same data was greater than 0.97 for all models, and two standard deviations of contractility difference on Bland Altman plot were 1.5%, 1.0%, and 0.9% for 15-, 7-, and 5-segment models,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 of regional contractility values measured from the pair of SPECT data obtained from a same patient was greater than 0.95 for all models, and two standard deviations on Bland Altman plot were 2.2%, 1.0%, and 1.2%. Conclusion: Regional contractility of left ventricle measured using developed software in this study was reproducible. Regional contractility of left ventricle will be a new useful index for myocardial function after analysis of the clinical data.

      • KCI등재

        게이트 심근 SPECT 분석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좌심실 수축 기능 평가

        이병일,이동수,이재성,정준기,이명철,최흥국 대한핵의학회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2

        목적 : 게이트 심근 SPECT 영상 데이터에서 좌심실을 분할하고 단위영상 각각의 심실부피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얻은 구혈률을 상용 소프트웨어QGS (Quantitative Gated SPECT)에서 산출한 값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게이트 심근 SPECT를 시행하여 구혈률 15%-80%, 확장기말 부피는 46 mL-293 mL, 수축기말 부피는 8 mL-250 mL인 40명의 영상데이터를 사용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CSA (Cardiac SPECT Analyzer)로 구혈률과 부피를 산출하여 QGS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같은 영상을 CSA로 두 번 분석하여 구혈률과 부피가 같은 값이 나오는지 보고, 26명의 환자에서 같은 자리에서 두 번 이어서 얻은 게이트 SPECT 영상을 CSA로 분석하여 편차를 조사하였다. 결과 : CSA 측정과 QGS측정의 상관성은 상관계수가 구혈률, 확장기만 부피, 수축기말 부피 각각 0.97, 0.92, 0.96이었고 Bland Altman 도표에 치우침 없이 2표준편차가 구혈률의 경우 10.1%이었다. 같은 영상에 대한 CSA 2회 측정 결과의 상관은 0.96, 0.99, 0.99 이었고 구혈률의 2표준편차는 3.4%이었다. 두 번 연속 촬영한 영상으로 CSA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는 0.89, 0.97, 0.98, 이었고 변이계수는 8.2%, 5.4mL, 8.5mL, Bland Altman 도표 2표준편차는 구혈률의 경우 10.6%이었다. 결론: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얻은 영상으로 구혈률을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로 얻은 구혈률, 확장기말 부피, 수축기말 부피는 정확하며 정밀하였다. 구혈률의 2표준편차는 10.6%이었다. Objectives : A new software (cardiac SPECT Analyzer CSA) was developed for quantification of volumes and ejection fraction on gated myocardial SPECT. Volumes and ejection fraction by CSA were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ose quantified by Quantitative Gated SPECT (QGS)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Gated myocardial SPECT was performed in 40 patients with ejection fraction from 15% to 85%. In 26 patients, gated myocardial SPECT was acquired again with the patients in situ. A cylinder model was used to eliminate noise semi-automatically and profile data was extracted using Gaussian fitting after smoothing. The boundary points of endo- and epicardium were found using an iterative learning algorithm. Enddiastolic (EDV) and endsystolic volumes (ESV) and ejection fraction (EF) were calculated.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by QGS and the same gated SPECT data was repeatedly quantified by CSA and variation of the values on sequential measurements of the same patients on the repeated acquisition. Results: From the 40 patient data, EF, EDV and ESV by CSA were correlated with those by QGS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7, 0.92, 0.96. Two standard deviation (SD) of EF on Bland Altman plot was 10.1%. Repeated measurements of EF, EDV, and ESV by CSA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with the coefficients of 0.96, 0.99, and 0.99 for EF, EDV and ESV respectively. On repeated acquisition, reproducibility was also excellent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9, 0.97, 0.98,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8.2%, 5.4mL, 8.5mL and 2SD of 10.6%, 21.2mL, and 16.4mL on Bland Altman plot for EF, EDV and ESV. Conclusion: We developed the software of CSA for quantification of volumes and ejection fraction on gated myocardial SPECT. Volumes and ejection fraction quantified using this software was found valid for its correctness and precision.

      • KCI등재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한국탁,이규승,이은경,이용재,고광용,원동준,이정원,권순덕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3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6종의 채소류 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00건의 분석시료 중 농약이 검출된 시료의 비율은 46.0%이었고, 잔류허용기준 초과비율은 6.0% 이었다. 검출비율이 높은 시료는 상추(85.0%), 깻잎(80.0%), 오이(60.0%) 순이었고, 상추 3건, 깻잎 3건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제는 dicar-boximide계, 유기염소계, azole계 농약,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농약이 많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procymidone, chlorpyrifos, chlorothalonil, cyper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 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과, 허용기준을 초과한 깻잎의 bitertanol, triflumizole, iprobenphos가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각 농산물의 식이섭취량이 적어 ADI에 대한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0.46%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Pesticide residues in some vegetables collected at Noeun wholesale market in Daejeon were surveyed and assessed their risk In 100 samples, the detection rate of pesticide was 46.0% and the rate exceed MRL was 6.0%. Commodities showing high detection rate were lettuce(85.0%), perilla leaf(80.0%) and cucumber(60.0%). Dicarboximide, organochlorine, and azole fungicides and organophosphorus and pyrethroid insecticides were detected. Detection frequency of pesticide was in the order of procymidone, chlorpyrifos, chlerothalonil, cypermethrin and EPN. When the estimated intake amount of the pesticides were compared with ADI to assess their risk, bitertanol, triflumizole and iprobenphos in perilla leaf were higher rate than the other vegetables. However the total amounts of intake of pesticides were estimated to less than 0.46% of ADI.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KCI등재

        확률 뇌 지도를 이용한 뇌 영역의 위치 정보 추출

        김진수,이동수,이병일,이재성,신희원,정준기,이명철 대한핵의학회 2002 핵의학 분자영상 Vol.36 No.6

        목적: SPM 기법을 이용하여 뇌 영상을 분석할 때 Talairach 뇌 지도를 찾아 해부학적 정보를 추측함으로 생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계적 확률 뇌지도(SPAM)을 이용하여 뇌 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위치와 확률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몬트리얼 신경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MNI152 표준지도에 기반한 SPAM을 이용하였다. SPM 분석 결과로 주어진 x, y, z 좌표 값을 입력하면 SPAM의 해당 좌표에서 0이 아닌 확률 값을 갖는 영역의 이름 및 확률을 추출하여 출력하게 하였으며 가장 높은 확률을 갖는 영역의 SPAM표준지도 위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IDL 및 자바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향후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기존의 SPM 결과보고형식과 이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적인 검증을 위하여 활성화되는 영역이 국소화되고 또한 그 영역이 잘 알려져 있는 기억 활성화 PET 실험 분석에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보았다. 결과: 기존의 SPM 분석한 결과는 MNI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만을 보여주나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 좌표에 대한 확률적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기억 실험 결과 유의한 활성화를 보인 영역에 대해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좌측해마구성체일 확률이 80% 이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이 영역이 기억기능을 담당한다는 기존의 널리 알려진 사실과 잘 부합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NI 좌표에 대한 해부학적 위치와 확률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어서 뇌영상 분석에 유용할 것이다. Purpose: The use of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program has increased for the analysis of brain PET and SPECT images. Montreal Neurological Institute (MNI) coordinate is used in SPM program as a standard anatomical framework. While the most researchers look up talairach atlas to report the localization of the activations detected in SPM program, there is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MNI templates and Talairach atlas. That disparity between Talairach and MNI coordinates makes the interpretation of SPM result time consuming, subjective and inaccu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provide objective anatomical information of each x-y-z position in ICBM coordinate. Materials and Methods: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the anatomical information for the given x-y-z position in MNI coordinate based on the Statistical Probabilistic Anatomical Map (SPAM) images of ICBM. When x-y-z position was given to the program, nam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with non-zero probability and the probabilities that the given position belongs to the structures were tabulated. The program was coded using IDL and JAVA language for the easy transplantation to any operating system or platform. Utility of this program was show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program to those of SPM program.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this program to the analysis of PET brain activation study of human memory in which the anatomical information on the activated areas are previously known. Results: Real time retrieval of probabilistic information with 1 ㎜ spatial resolution was archived using the programs. Validation study showed the relevance of this program: probability that the activated area for memory belonged to hippocampal formation was more than 80%. Conclusion: These programs will be useful for the result interpretation of the image analysis performed on MNI coordinate, as done in SPM program. (Korean J Nucl Med 2002;36;317-24)

      • KCI등재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Tc-99m-MIBI 정량 게이트 심근SPECT를 이용한 관상동맥우회로술 후 심근 기능 회복 예측

        이동수,김유경,천기정,팽진철,이명묵,김기봉,정준기,이명철 대한핵의학회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5

        목적: 생존심근 진단에 있어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Tc-99m-MIBI 게이트 심근SPECT의 진단성능을 휴식/지연재분포 Tl-201 심근SPECT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명의 관상동맥질환에서 Tl-201휴식/디피리다몰 부하 Tc-99m-MIBi 게이트/ 지연재분포 Tl-201 심근SPECT를 시행하였다. 이 때 게이트SPECT 시행 후 니트로글리세린 0.6mg을 설하 투여하고 연이어 그 자리에서 게이트 SPECT를 1회 더 반복 시행하였다. 환자들에서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하고 3개월 후 게이트 심근SPECT를 추적검사로 시행하였다. 20 분절 모델을 이용하여 각 분절에서 휴식, 지연재분포, 기저상태와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후의 심벽운동 및 수축기비후화 등을 정량하였다. 정량화된 생존심근 예측지표들 중, (1) 휴식기 Tl-201 섭취, (2) Tl-201 지연재분포, (3) 기저상태의 수축기비후화, (4)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후의 수축기비후화, 네 가지의 예측성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총 100개의 분절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66개(66%)의 분절이 재관류 후 기능 회복을 보였다. 최적 기준점인 5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ROC 곡선 분석에서 휴식기 Tl-201 섭취와 Tl-201 지연재분포의 민감도, 특이도는 각각 79%와 44%, 그리고 82%와 44%였다. 또한 15%를 기준으로 하여, 기저상태 수축기비후화와 니트로글리세린 투여후 수축기비후화의 민감도, 특이도는, 각각 49%, 50%와 64%, 65%였다. ROC 곡선의 AUC는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후 수축기비후화가 기저시 수축기비후화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4). 결론: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Tc-99m-MIBI 정량적 게이트 심근SPECT는 기능이상 심근에서 기능 회복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The performance of nitroglycerin-challenged Tc-99m-MIBI quantitative gated SPECT for the detection of viable myocardium was compared with rest/ 24-hour redistribution TI-201 SPECT. Materials and Methods: In 22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rest Tl-201/ dipyridamole stress Tc-99m-MIBI gated/ 24-hour redistribution TI-201 SPECT were performed, and gated SPECT was repeated on-site after sublingual administration of nitroglycerin (0.6 mg). Follow-up gated SPECT was done 3 month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For 20 segments per patient, perfusion at rest and 24-hour redistribution, and wall motion and thickening at baseline and nitroglycerin-challenged state were quantified. Quantitative viability markers were evaluated and compared;(1) rest thallium uptake, (2) thallium uptake on 24-hour redistribution SPECT, (3) systolic wall thickening at baseline, and (4) systolic wall thickening with nitroglycerin-challenge. Results: Among 100 revascularized dysfunctional segments, wall motion improved in 66 segments (66%) on follow-up gated myocardial SPECT after bypass surgery. 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rest and 24-hour delayed redistribution TI-201 SPECT were 79%, 44% and 82%, 44%, respectively, at the optimal cutoff value of 50% of Tl-201 uptak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ystolic wall thickening at baseline and nitroglycerin-challenge were 49%, 50% and 64%, 65% at the optimal cutoff value of 15% of systolic wall thickening. Area under the ROC curve of nitroglycerin-challenged systolic wall thickening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baseline systolic wall thickening (p=0.004). Conclusion: Nitroglycerin-challenged quantitative gated Tc-99m-MIBI SPECT was a useful method for predicting functional recovery of dysfunctional myocardium.

      • SCOPUSKCI등재

        H₂^(15)O PET을 이용한 뇌혈류 파라메트릭 영상 구성을 위한 알고리즘 비교

        이재성,이동수,박광석,정준기,이명철 대한핵의학회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5

        목적: H_(2)^(15)O PET의 정량화를 위하여 1-조직 구획모델이 쓰이며, 뇌혈류와 조직/혈액 분배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nonlinear least squares (NLS) 방법이 사용되나 계산 시간이 긴 등의 문제로 파라미터를 각 화소마다 구해야 하는 파라메트릭 영상 구성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NLS 문제점을 극복하여 파라메트릭 영상을 빠르게 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파라미터 추정 알고리즘들을 구현하고, 이 방법들의 통계적 신뢰도와 계산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서 이용한 방법들은 linear least squares (LLS), linear weighted least squares(LWLS), linear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linear generalized weighted least squares (GWKS), weighted integration (WI), 그리고 model-based clustering method (CAKS)이다. 노이즈 정도에 따른 각 파라메트릭 영상법의 정확성 및 통계적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Zubal 뇌모형(brain phantom)으로부터 동적 PET 영상을 모사하고 포아송노이즈를 더한 후 각 파라메트릭 영상 구성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정상인 16명에 대하여 얻은 실제 자료에 대하여 이 방법들을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뇌혈류와 분배계수에 대한 평균 오차는 방법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모든 방법이 뇌혈류 및 분배계수 추정에 있어 무시할 만한 바이어스를 보였다. 파라메트릭 영상의 정성적 특성 또한 유사하였으나 CAKS 방법의 계산 속도가 월등하여 NLS 방법의 약 1/500, LLS 방법의 약 1/25의 계산시간을 보였다. 결론: 뇌혈류 파라메트릭 영상 구성을 위한 빠른 파라미터 추정 알고리즘들 중에 보다 개선되어 제아노딘 LWS, GLS, GLWS, CAKS 방법들이 단순하고 빠른 LLS, WI 방법들에 비하여 통계적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하나 CAKS 방법은 계산 시간을 유의하게 단축시키므로 가장 적합한 파라메트릭 영상 구성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obtain regional blood flow and tissue-blood partition coefficient with time-activity curves from H_(2)^(15)O PET, fitting of some parameters in the Kety model is conventionally accomplished by nonlinear least squares (NLS) analysis. However, NLS requires considerable compuation time then is impractical for pixel-by-pixel analysis to generate parametric images of these paramet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veral fast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for the parametric image generation and compared their statistical reliabilit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Materials and Methods: These methods included linear least squres(LSS), linear weighted least squares (LWLS), linear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linear generalized weighted least squares (GWLS), weighted integration (WI), and model-based clustering method (CAKS). H_(2)^(15)O dynamic brain PET with Poisson noise component was simulated using numerical Zubal brain phantom. Error and bias in the estimation of rCBF and partition coefficient, and computation time in various noise environments was estimated and compared, In addition, parametric images from H_(2)^(15)O dynamic brain PET data performed on 16 healthy volunteers under various physiological conditions was compared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se methods for real human data. Results: These fast algorithms produced parametric images with similar image quality and statistical reliability. When CAKS and LLS methods were used combinedly, computation tin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less than 30 seconds for 128×128×46 images on Pentium III processor. Conclusion: Parametric images of rCBF and partition coefficient with good statistical properties can be generated with short computation time which is acceptable in clinical situation.

      • SCOPUSKCI등재

        측두엽 간질에서 F-18-FDG PET에 나타난 측두엽 내외측 부위별 대사의 차이

        이명철,이동수,정준기,김현집,송호천,이상건,여정석 대한핵의학회 1999 핵의학 분자영상 Vol.33 No.1

        Purpos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glucose metabolism of medial and lateral temporal lobes of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TLE) utilizing quantitative comparison of regional metabolic activities using asymmetric index.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9 pathologically proven mesial TLE and 25 lateral TLE patients. Lateral TLE patients were either normal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cryptogenic: n=14) or had structural lesions (lesional: n=11). Asymmetric index (ASI) was calculated as [(ipsilateral-contralateral)/(ipsilateral+ contralateral)]×200. Results: ASI of medial and lateral lobes of mesial TLE was decreased (-16.4±8.3 and -12.7±5.5, respectively). In cryptogenic lateral TLE, ASI of lateral temporal lobe was decreased (-11.8±4.7), whereas that of medial temporal lobe was not decreased (-4.6±6.3). ASI of medial lobe of lesional lateral TLE was -7.3±9.1,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esial TLE (p<0.05). Patients with lesional lateral TLE had evident metabolic d or decrease (ASI: -22±10.5) in lateral temporal lobe. While we could not find the difference of metabolic activity in lateral temporal lobes between cryptogenic lateral TLE and mesial TLE patients, the difference of metabolic activity was significant in medial temporal lobes which was revealed by ASI quantitation. Conclusion: Asymmetric decrease of metabolic activity in both medial and lateral temporal lobes indicates medial temporal epilepsy. Symmetry of metabolic activity in medial temporal lobe combined with asymmetry of that in lateral temporal lobe may give hints that the epileptogenic zone is lat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