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면 활성화 처리가 비정질 규소 박막의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

        이의석,김영관 한국결정성장학회 1999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규소 박막의 결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표면 활성화 처리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표면 활성화 방법으로는 습식 연마법(Wet Blasting)과 Nd:YAG 레이저의 빔을 사용하였고, 700~$800^{\circ}C$에서 관상로 열처리를 행하여 고살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결정화 정도의 기준으로는 XRD 분석을 통해 얻은 (111) 피크강도를 이용하였으며, 결정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해 Raman 분석을 행하였다. 결정화의 표면 형상에 대한 관찰은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 결과 표면 활성화 처리는 비정질 규소박막의 결정화를 촉진하고, 결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습식 연마법(Wet Blasting)의 경루 2 Kgf/$\textrm{cm}^2$의 압력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레이저의 에너지는 100~200mJ/$\textrm{cm}^2$가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표면활성화처리를 통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strain energy가 형성되어 결정화에 필요한 엔탈피에 영향을 미친 효과 때문으로 예상된다. The effect of th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on the crystallization of the amorphous silicon film was investigated. The amorphous silicon film was deposited on the silica substrate with LPCVD technique. Wet blasting with silica slurry or exposure with Nd:YAG laser beam was applied on the amorphous silicon film before annealing for the crystallization. For the analysis of the crystallinity, XRD, Raman, and SEM were employed. In this investigation, the prior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like silica wet blasting or Nd:YAG laser beam exposure before annealing for the crystallization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enhancement of the crystallization. It is believed that these treatment lower the activation energy required for the crystallization of the amorphous silicon film.

      • 백서의 두개골 결손부에서 제대혈 유래 간엽줄기세포의 골재생에 관한 연구

        이의석,장현석,권종진,이진용,임재석,서병무,윤정현,임재형 대한통합치과학회 2013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2 No.1

        It has been suggested that umbilical cord blood (UCB) contains multipotent stem cells. Some authors suggest that within UCB are cells with potential for differentiation down mesenchymal lineages and UCB is one of the readily available sources of stem cells that may be used for bone regenera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cells has been accomplished in some centers.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down multiple lineages has been documented. The use of UCB derived stem cells was investigated in this animal studies. Polycaprolactone‐20% tricalcium phosphate (PCL‐TCP) polymers allow for cellular adherence and differentiation and are adequate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in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MSCs from UCB seeded onto PCL‐TCP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MSCs were isolated from UCB. MSCs from UCB seeded onto PCL‐TCP scaffolds were then implanted in calvarial bone defect of the athymic mouse. As a control, in each mouse was treated with scaffold only. At six and twelve weeks post‐implantation,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MSCs from UCB with PCL‐TCP scaffolds did not exhibited bone regeneration in calvarial bone defects in athymic mouse. Histological examination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regenerated bone of the defect. MSCs from UCB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applications in tissue‐engineered bone regeneration.

      • 겔화제를 이용한 모델 단백겔의 제조

        이의석,셉지드,류관모,장현호,박수진,홍순택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04

        최근 평균 수명 증가 및 고령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식생활 분야에서 고령에 따른 저작 능력 및 연하곤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겔화제(전분, 한천, 검류 등) 종류 및 농도에 따라 고령친화용 모델 단백겔을 제조하여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두유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두유액(170g)에 겔화제를 첨가한 후 80°C, 20분간 호화시켜 성형틀에 성형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방냉하고 4°C 냉장고에서 24시간 저장시킨 후 Texture ananlyzer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분(5~15%) 및 한천(1-5%)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델 단백겔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각 최대 6.25×104 N/m2, 3.93×105 N/m2을 나타냈다. 또한, 2가지 겔화제(Gellan, LBG=9:1~4:6, 두유액 대비 6%)를 혼합비율로 첨가시 Gellan 함량이 감소하고 LBG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델 단백겔의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잔탄검을 고정하고 다른 겔화제(κ-carrageenan, LBG, konjack) 종류에 따른 경도변화를 알아 본 결과 κ-carrageenan, LBG 및 konjack 첨가시 각각 3.45×103 N/m2, 11.70×103 N/m2 및 4.4×104 N/m2 경도를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겔화제 종류 및 농도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고령자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식품의 경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단계로 조절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성견에 있어서 치조제보존술을 위한 치아뼈이식재의 효과

        이의석,주현중,장환용,이진용,임재석,장현석 대한통합치과학회 2014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istologic evaluation of autogenous and allogenous tooth material on bone-healing response in dog. Materials and Methods: Allogenous tooth biomaterial was grafted in the extraction socket of the premolar region in the left lower jaws and autogenous tooth biomaterial was grafted in the right side after 2 weeks. Three dogs were sacrificed after 4, 8, 12 weeks each for histological evaluation. Results: In the histologic analysis, there were no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1 (autogenous tooth bone biomaterial) and group 2 (allogenous tooth bone biomaterial) at 4, 8, 12 week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group 1 was more higher bone volume levels than group 2 at 4 weeks (P⁄0.05, Mann-whitney test). Group 2 showed more higher bone volume levels than group 1 at 8 weeks and group 1 more than group 2 at 12 weeks but tha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Mann-whitney test). Conclusion: Histologically, autogenous and allogenous tooth biomaterial reveals similar healing patterns in extraction socket in dog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ooth biomaterials could be useful materials for socket preservation.

      • 유지방구막 추출물로부터 얻은 인지질(Phosphatidylcholine, Sphingomyelin, Phosphatidylethanolamine) 분획물 제조에 관한 연구

        이의석,빈국현,홍순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유지방구막 추출물로부터 다량의 분획물 phosphatidylcholine(PC), sphingomyelin(SM)및 phosphatidylethanolamine(PE)의 제조에 관한 연구이다. 한외여과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버터밀크로부터 유지방구막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에 에탄올 농도별(100, 60, 30%, 추출물:에탄올=1:20 비율)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과 하등액의 인지질 종류별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의 경우 100% 에탄올 농도에서는 상등액에 대부분 잔류하였으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상등액에서 농도는 낮아지고 하등액에 잔류하였다. LPC는 100% 에탄올 농도에서 하등액에 대부분 잔류하였으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상등액에서 농도는 높아지고 하등액에서는 낮아졌다. SM 및 PE는 에탄올 농도에 관계없이 상등액과 하등액에 유사하게 분포하였다.

      •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염증으로 인한 하치조신경 손상

        이의석,김충남,김규태,임호경,김수호,김민수 대한통합치과학회 2018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7 No.2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AN) is one of the branches of the mandibular division of the trigeminal nerve and innervates the mandible, mandibular teeth, gingiva of inferior alveolus, and lower lip. IAN dysfunction can occur during many dental surgical procedures and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 findings such as mandibular fractures, benign and malignant tumors, and osteomyelitis. We treated two patients with IAN injuries, caused by periapical and pericoronal lesions, by decompression via extraction and medication, and confirmed quantitative improvement. The aim of this article report was to review rare cases of successful treatment of IAN dysfunction following periapical and pericoronal lesions. 하치조신경은 삼차신경 중 하악분지이며, 하악, 하악치아, 하악치조골의 치은 및 하순의 감각을 지배한다. 하치조신경손상은 치과에서 시행하는 외과적 술식 중 일어날 수 있으며, 하악골 골절, 양성 및 악성종양, 골수염과 같은 병적소견과도 연관성이 있다. 본 병원에서는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병소로 유발된 감각이상에 대한 두 증례에서 발치술을 이용한 감압술 및 투약으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었고, 정량적인 방법으로서 호전양상을 평가했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처럼 드물게 발생하는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병소로 유발된 감각이상에 대한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A Case of Acute Necrotizing Fasciitis Following Internal Jugular Vein Thrombophlebitis: Lemierre's Syndrome

        이의석,박동석,장현석,김현준,Besana,임호경 대한통합치과학회 2017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6 No.2

        Lemierre’s syndrome is caused by preexisting oropharyngeal infection and characterized by internal jugular vein (IJV) thrombophlebitis. Frequently, this syndrome involves metastatic infection in areas such as the peritoneum, muscles, and spleen. The most common etiologic organism is Fusobacterium necrophorum. In this case, a masticatory space abscess that originated from a tooth caused the IJV thrombophlebitis. The patient had preexist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Parkinson’s disease. Blood culture revealed Streptococcus sanguinis, and the patient received antibiotics that were highly sensitive to mentioned bacterium; additionally, an anticoagulant was used. With the widespread use of antibiotics, Lemierre’s syndrome has become uncommon, and related mortality rates have noticeably decreased. This has led the public to forget about the disease, but it can still be potentially fatal without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