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서혜애,박경희,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05년 기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산하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수는 총1,883명으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531명(28.2%)의 과학영재교육 교사는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서혜애·박경희, 2005)’에 응답하였으며, 응답한 교사의 교수방법 전문지식 수준은 최종학력, 연수이수여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지식 및 과학교육학 지식’과 ‘영재교육학 지식’은 영재교육 연수 이수 유무와 관련 없이 교사의 성별 및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과학영재교육과정 지식’은 교사가 어떤 영재교육 연수를 이수했는지, 어떤 학교급을 지도하고 있는 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 계발 지식’은 학교급,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과학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효과적 과학영재교육교사 연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수기관은 연수 대상 교사의 학교급에 따라 연수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달리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영재교육 교사 임용정책에서는 최종학력 조건을 강화하고 교사 전문성 계발의 동기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level of teaching the gifted in science. As of 2005, there were 1,883 teachers who teach at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ixtee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s in Korea. Research subjects include 531 out of 1,883 teachers (28.2%) and they responded to the 'Science Teacher Scale of Profession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Gifted' (Seo & Park, 2005).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gifted in terms of highest degrees earned, school level, completion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etc. It was also found that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and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varied along teachers' gender and highest degrees earned.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were varied along comple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chool levels.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first, host institution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are recommended to provide program contents in consideration with different schools levels of participating teachers. Second, policy makers may strengthen requirements of highest degrees earned for employing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서혜애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1

        과학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문제 해결력 등을 함양하여 21세기의 격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 적자원의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과학교육 목표에서 제시된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적 소양을 논의하고 21세기 현대 과학의 특징을 고찰한 후, 미래 첨단과학기술 사회 발전의 핵심 이 되는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 다. 논의한 바와 같이 과학적 소양에 기반을 과학적 창의성을 추구하는 과학 교육의 방향은, 첫째, 과학기술의 내용을 도입하며, 둘째, 통합적 과학 개념을 도입하고, 셋째, 개인․사회적 관점을 강조하고 넷째, 사회 문제 해결 중심의 탐구과정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영재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탁월한 과학적 창의성은 첫째, 구체화된 자료를 전체적 관점에서 상상력을 적용하여 해석하 고, 둘째, 과학적 과정에 예술적 관점을 적용하며, 셋째, 직관적 관점에서 과 학의 현상을 해석하고 넷째, 개인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데서 발휘된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이상과 같은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을 때 과학적 창의성 신장 과학교육과학영재교육이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The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 a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based on discussion about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are supposed to develop scientific attitude, inquiry skills,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learning, and be prepared for the 21st century of rapidly developing age. The paper introduces definition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and discuss their meanings within science education in general as well as for the gif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ienc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content of science related to technology, integrated science content, personal and social views, social inquiry for problem solving.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should emphasize students' holistic views in interpreting data, ability to connect artistic aspects to science process, intuitions to explain scientific phenomena and pursue of personal satisfaction. It may be said that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s realized whe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uch elements in their science learning.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들이 인식하는 과학자 연구활동의 특징

        서혜애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9 과학영재교육 Vol.11 No.3

        The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who enrolled in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in 2019. The research subjects of 118 students were grouped into six major classes of math,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and IT-integrated math. For the research method,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tool was employed to ask for perceptions of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The responses from 106 students (male 70.8%; 7th graders 81.1%)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s results, first, science gifted students recognized 12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They perceived mainly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as questioning, establishing hypothesis, designing and conducting experiments, collec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drawing conclusions in sequences. They further recognized as observing nature, reflecting on theories and laws, collaborating with others, using math, reviewing results with others, writing research papers, and applying to other domains. For differences, science gifted students of all of six majors focused on designing and conducting experiments, whereas students of math, chemistry, and biology recognized observing nature more than other students, and students of physics and earth science stressed more about reflecting on theories and laws than others. It was foun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and IT-integrated math were cognizant of collaborating or discussing with others, while students of math were not at all. They also differ in the level of perceptions of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among three groups of naive, transient, and balanced. The naive group with simple and biased perceptions mainly recognized designing and conducting experiments, and the transient group with partially balanced perceptions understood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as integrated inquiry elements of establishing hypothesis, designing and conducting experiments, collecting results, and drawing conclusions. The balanced group with widely ranged perceptions recognized most of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s well as collaborating with others, writing research papers, and applying to other domains. and others. In consequences, it is concluded that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with elaboration of integrated inquiry elements into systematic research stages and expansions of perceptions associated with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cooperation. 본 연구는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학영재들의 과학자의 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019학년도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및 IT수학융합의 6개반에 등록한 중학교 1,2학년 11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에서는 과학자의 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을 질문하는 개방형 문항의 조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06명(남학생 70.8%; 1학년 81.1%)의 응답내용을 질적 및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과학자의 연구활동의 특징별 12개 항목으로 인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과학자의 연구활동을 의문제기, 가설설정, 실험설계수행, 실험결과수집, 결론도출 위주의 통합탐구 요소의 항목들을 순차적으로 인식하는 특징을 보였다. 나아가 과학영재들은 자연을 관찰하기, 이론에 근거하기, 다른 사람과 협력하기, 수학을 활용하기, 다른 사람과 결과를 검토하기, 논문을 작성하기, 다른 영역에 응용하기 등의 항목들을 추가적으로 인식하였다. 전공별 차이에서는 모든 전공의 과학영재들이 공통적으로 실험설계수행을 중점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수학, 화학, 생물반 과학영재들은 자연을 관찰하기 항목을, 물리, 지구과학반 과학영재들은 이론과 법칙에 근거하기의 항목들을 다른 전공에 비해 더 강조하였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및 IT수학융합반 과학영재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거나 토론하는 항목을 인식하였으나 수학반 과학영재들은 이 항목에 대해 전혀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의 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의 수준별 차이를 상위, 중위,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하위집단은 실험설계수행을 단순편향적으로 인식하는 한편, 중위집단은 가설설정, 실험설계수행, 결과수집 및 결론도출의 통합탐구 요소를 부분 균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외 항목들도 포함하여 부분 복합적으로 인식하였다. 상위집단은 협력연구, 논문발표, 타 영역 응용 등을 포함하여 균형, 복합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영재들이 과학자의 연구활동에 대해 통합탐구기능 요소들을 체계적 연구단계로 인식하고 학문적 특성 및 전문적 협력과 연계하는 확장된 인식을 강화시킨 과학영재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 경기도 과학인재 양성방안 연구

        서혜애,정현철,손정우,최경희,하봉운,박지은,성영조 경기연구원 2006 위탁연구 Vol.2006 No.5

        2003년 우리나라 최초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KSA)가 설립된 이 후 고등학교급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서 제2, 제3 과학영재학교의 설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도와 같이 인구밀도와 교육열이 높은 시 도는 과학영재학교를 설립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면화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제2 과학영재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신설 과학영재학교의 설립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KSA와 싱가포르 및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며, 경기도내 관계자 대상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전문가 및 관계자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학교 설립의 필요성은 국가차원 고급 과학기술인력 양성에 두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기반 산업사회에서의 국가 경쟁력은 얼마나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인력을 얼마나 많이 확보하는 가에 좌우될 것이다. 현 정부가 국정과제인 ‘과학기술중심사회구축’과 ‘제2의과학기술입국’을 구현하고자 한다면,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이들에게 질 높은 과학영재교육을 제공하여 고급 과학기술인력으로 양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영재학교 설립의 필요성은 기존 과학고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에 두고 있다. 과학고는 초기 과학영재교육의 설립취지와는 달리 조기졸업, 대학입시 등으로 인해 교육과정을 파행적으로 운영하여, 의도한 과학영재교육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과학영재학교는 이러한 과학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학입시 등의 관련 정책들을 수립 실천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고가 과학영재학교로 전환 설립됨으로서 과학고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경기도에 과학영재학교가 설립될 필요성은 과학영재교육의 현황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점에 두고 있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치열한 과학고 입학 경쟁률을 보였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요구 수준 상승률도 전국적으로 최고 수준이다. 그 외에도 경기도는 첨단 과학기술연구소 및 교육기관이 위치하는 지역으로서, 과학영재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인 연구중심 학습활동을 위한 교육인프라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즉 과학영재교육의 요구가 높고 질 높은 과학영재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학영재학교 설립의 필요성에 따라 신설될 과학영재학교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신설 과학영재학교의 설립취지 및 교육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이끌고, 미래 차세대 과학자 공동체 형성의 중심 역할을 할 세계 수준의 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과학 분야의 영재들을 조기에 발굴하고,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과학영재교육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삶을 열정적으로 사랑하는 세계 수준의 과학분야 전문가로서 지역사회, 국가 및 인류공영에 이바지하는 인도주의자의 상을 추구한다.’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 목표는 개인적 차원의 자아실현, 전문가 차원의 창의적인 과학적 연구능력 개발 및 세계적 차원의 인 류공영에 이바지하는 지도력 개발로 구분하여 구체화하였다. 둘째, 신설 과학영재학교의 학생 선발은 과학 영재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특정분야 재능을 발굴하고자 영역별로 모집한다. 다단계 선발과정으로 수학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동기와 열정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선발정원의 10%를 해외학생으로 선발하여 세계화 의식 및 지구촌 리더십을 함양한다. 국내학생 선발정원의 일정비율은 신설 학교 소재지의 학생들을 우선 선발하는 정책을 도입하여 지역단위 지원을 유도한다. 셋째, 신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방법은 전공영역 구분을 통한 선택과 집중으로 3개 전공학과를 운영한다. 첨단 과학기술 간련 연구소 산업체 기업체와 연계된 멘터십 및 R&E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가 수준의 연구능력을 강화한다. AP 및 PT제도 도입을 통해 개별 학습자 맞춤식 교육을 제공한다. 다양한 특별활동을 통해 정의적 사회적 영역을 균형있게 발달시킨다. 지역봉사 및 국제교류활동을 통해 세계화 의식과 지구촌 리더십을 함양한다. 넷째, 신설 과학영재학교는 계약제 교원을 임용하여 높은 수준의 교사 전문성을 확보한다. 과학, 과학교육학 등의 전문영역 박사학위 소지자를 67%수준으로 확보한다. 임 용 후에도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계발하는 국내외 연수 및 교류기회를 제공한다. 교사 대학생 수는 1:4로 설정하여 총 학생 수 312명을 위해 교사 78명을 임용한다. 다섯째, 신설 과학영재학교는 정부부처와 각종 기업체 산업체로부터 고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재원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의도한 학교 설립취지와 과학영재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과학영재라면 경제적 여건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든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는 확보된 재원으로 바람직한 교육 시설 및 설비를 갖추어 운영할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등록금 면제 및 장학금 혜택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신설 과학영재학교는 KSA와는 차별화되는 학교이면서, 과학영재교육의 모범사례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선도연구학교로서 과학고를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신설 과학영재학교는 이와 같은 역할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을 주도하면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는 최고의 과학영재교육기관으로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 개발

        서혜애,박경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과학교사의 영재교육 교수방법 관련 전문지식의 구성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과학교사의 교수방법 관련 전문지식의 구성요인을 찾아내고, 여기에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특징을 결합하여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의 전문지식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개발했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서 사전 검사, 예비 검사, 본 검사를 거쳐서 개발된 측정 도구의 문항분석을 통한 신뢰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내용 타당도,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한 구인 타당도, 그리고 과학 교수방법 효능감 측정 도구(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Riggs & Enochs, 1990)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준거 타당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관련 전문지식의 구성요인들을 4개 항목으로 구분하고 ‘과학내용 및 과학교육학 지식’, ‘영재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관련 지식’, ‘일반교육학 지식’, ‘교사 전문성 계발 관련 지식’으로 명명했다. 둘째, 과학영재교육 교사의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최종 측정도구는 4요인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가 매우 높고, 과학영재교육 교사의 교수방법 전문지식을 측정하는데 좋은 문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교수방법 효능감(STEBI)과의 준거 타당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 도구는 과학영재교육 담당하는 교사들의 교수방법 관련 전문지식의 수준 및 이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의 입학생 선발과정과 학업성취도 상관 분석

        서혜애,박경희,최호성,손정우,박지은,정현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8 No.1

        The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the scores of the second phase of admission program in 2003 predict one-year academic achievement at Busan Science Academy. The sco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examination at the second phase and one-year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ubject matt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ith selected sixteen students and seven teachers at the Academy was employed. Among individual subject matter scores of the second phase of the admission program, there was a tendency that high achievers in mathematics present low scores in all areas of science, while high achievers in physics display high scores in chemistry and earth scie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sco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examination at the second phase can predict one-year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high achievers in mathematics and physics at the second phase of admission program were revealed to achieve high in one-year academic program over all subject matters. On the other hand, stud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terview expressed tha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examination at the second phase of the admission program are likely to ask questions characterized with multi-disciplinary,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nsequently, the questions are considered as appropriately designed for the admission program. In summary, the sco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examination at the second phase of admission program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ne-year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입학생 선발과정의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가 입학 후 학업성취도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자료 분석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자료 분석을 통해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특징을 분석하고, 2단계 검사에 선발된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특정 교과영역 우수집단 학생들의 점수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입학생 선발도구의 학업성취도 예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교사 및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해, 입학생 선발과정의 2단계 검사와 교육프로그램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는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검사도구로 분석되었으며, 교사 및 학생들도 그렇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수학, 과학 등의 우수집단 간에는 서로 다른 특성들이 나타났다. 특히 2단계 수학 우수집단의 수학 점수가 높을수록 모든 과학영역 점수는 낮아지는 반면 물리 점수가 높을수록 화학 및 지구과학의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수학 및 물리 점수는 1년간 학업성취도의 총점을 예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학영재학교는 입학생 선발과정에서 추구했던 학생들의 영역 영재성을 R&E프로그램, AP과정 등을 통해 계발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 KCI등재후보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서혜애,송방호,박종렬,권덕기,윤기순,김순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율성 높은 사이버 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사 대상 연수의 현황 및 행재정 지원체제를 분석했고, 사이버 연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탐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사이버 연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모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했다. 또한 한국-이스라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고, 이들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성장되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안)을 개발했으며, 시범운영과정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한 후, 최종 모형을 개발했다. 본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준비, 기초, 실습, 적용, 평가, 심화의 6단계로 구성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수자 중심 수업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문제 탐구중심학습모형과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새로이 참여하는 교사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도록 함으로서 학습자 공동체를 구축하고, 사이버 상 지속적 상호의견 교류 정보교환을 통해 온라인 학습자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이와 같은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존 연수의 비효율성을 극복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교사 연수 모형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창의력 계발 과학교육과 과학적 창의성

        서혜애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2 科學敎育硏究誌 Vol.26 No.-

        Creativity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made educational efforts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through school educa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theoretical background of definition and elements of creativity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models for fostering creativity in schools. In particular, the research discusses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and proposes meanings of scientific creativity which students would enhance during their science classrooms.

      • KCI등재

        포트폴리오 과학수업 모형 개발과 적용

        서혜애,김영학,윤세진,정은영 韓國生物敎育學會 2000 생물교육 Vol.28 No.2

        A lecture method has been known as a predominant teaching strategy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although many studies identified that the lecture method discourages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decreases student interest in science. The study aims to 1) introduce a teaching model using portfolios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2) examine student perceptions to the portfolio teaching model; and 3) analyze changes of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learning along the portfolio teaching model. Several features of the portfolio teaching model found from this study include; student initiations of lesson topics; project-based group activities; student presentation; frequent teacher-student interactions; student group discussions; self- and peer- evaluations. There are also various aspects of assessing student achievement; how many resources students collected; how students captioned about collected data and resources; how well students understand content; how actively students participated in classroom activities; etc. Among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1) Student interest in science was increased; 2) Student-centered learning opportunities were provided through the whole class period; 3) Student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enhanced; 4) Student concerns about social issues related science and technology wer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