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이미숙,이수정,신항수,장근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재외 한국학교에서 보다 내실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국외에서도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한국학교 학생 수가 점증하고 있는 오늘날 매우 중요 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의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초등 과정에 초점을 두어 총 22개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을 분석하고 교원 전수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326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 였다. 첫째, 재외 한국학교의 모든 학년군의 수업 시수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준 시수를 큰 폭으로 순증하여 편성되었고 학교 교육의 방향으로 세계 무대에 서기 위한 언어 구사 교육을 표 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을 주목할 때, 교과 수업 시수 증배의 상한선을 정부 지침으로 제한 하기보다는 학교 자율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화의 수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도덕과 같은 특정 교과 교육에 정체성 교육을 직결시키 려는 접근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 및 교과 외 교육 등으로 그 실천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재외 한국학교 교원들이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해 교원 연수에 대한 정책 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주목하고 한국학교 교원으로 선발되는 교원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집중적 연수를 받고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Quality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students through the substantiality of operating school curriculum has very important meaning regarding today’s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overseas Korean school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level, analyzed the stat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responses from the total 326 teachers by a survey of teachers in all overseas Korea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regarding that the instructional hours of all levels of overseas Korean elementary schools were highly increased beyond the standard instructional hours provid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trend of overseas Korean schools is to focu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the global world, it is recommended that schools have autonomy to decide the extent of increasing the instructional hours rather than the government sets an upper limit on the increase; second, identity education as Korean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s of overseas Korean schools’ education, should be actualized by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education of related subjects and activities rather than limited to education of particular subject such as morals; and thir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to in-service teachers working for overseas Korean schools through changing the program into the suitable type for the overseas Korean schools’ situations and also to future teachers appointed to those schools.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overseas Korean schools' curriculum focu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foreign country is required in follow-up study. Also,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overseas Korean schools should be focused on the learning by meaningful involvement of students regarding the work load of students.

      • KCI등재

        독일의 5, 6학년 역사교육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배지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의 역사과 교육과정 및 코넬젠(Cornelsen) 출판사의 5, 6학년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의 지방자치 성격이 강한 독일에서는 국가 즉 연방 차원이 아닌 16개 주(洲) 정부의 교육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주요 출판사에서는 주 단위로 다른 버전의 역사 교과서를 제공한다. 인문계와 실업계 중등학교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도 구분되어 개발되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독일의 학교급은 대체로 초등 4년, 중등 8년으로 구성되어 한국과 달리 5, 6학년은 중등학교의 1, 2학년에 해당되지만 학생 연령은 한국의 초등 5, 6학년과 같다. 따라서 본 글은 주로 한국의 초등 역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염두에 두고 독일 중등 역사교육의 저학년 부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의 2016 역사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역사 학습 과정상의 역량을 강조하며 이를 각 학년군에서 다루는 시대사 내용과 통합하여 안내하였다. 둘째, 해당 지역의 인문계 중등학교* 제1저자 및 교신저자, Bae@stud.uni-heidelberg.de 1) 흔히 유럽의 학교 교육제도를 복선형 학제, 이에 비해 한국의 학교 교육제도를 단선형 학제라 본다. 물론 두 지역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관계없이 개인의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수 있는 단선형 학제인 기본 의무교육을 하고 있으나 인문계와 실업계의 선택을 비교적 빨리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위와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실업계가 아닌 독일 인문계 중등학교의 1, 2학년 교육내용을 단선형 학제 하에서의 초등 5, 6학년 교육내용과 비교할 수 있는 대등한 범위의 내용으로 간주하였다. 용 역사 교과서 중 코넬젠 출판사의 역사 포럼(Forum Geschichte) 5/6학년 교과서는 ‘역사와의 첫 만남’이라는 역사 학습에 대한 개념 형성을 돕는 도입 단원이 있다. 단원은 두 페이지에 하나의 소주제를 다루는 옴니버스식 구성을 취하며, 각각의 소주제는 설명글·사료·역량확인문제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역사과목의 학습방법을 별도로 소개하는 코너도 있다.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국 초중등 역사교육의 역할분담에 대한 논의, 다원적 사고를 지향하는 학습 방향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교육과정에의 역사 연구 역량의 구체적인 적용, 역사교과서 내용의 질적 양적 개선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for 5th and 6th graders and the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Cornelsen. In German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generally composed of 4 and 8 grades. Therefore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secondary school, while in South Korea,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last two year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6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emphasizes the historical competences of History Learning process to improve pupil'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concretely represents them to the related chronological history contents. Second, the 5 and 6th grade textbook has an introduction unit called 'First Meeting with Histor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istory subject. The units are composed of various topics in the Omnibus format on every two pages. Each topic consists of three elements: Descriptive Text, Historical Sources, and Competency Checking. The history textbook also includes Methodology segments which elaborate various ways to study history with different types of historical sources and media. This research proposes a discussion to allocate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in South Korea, the necessity of a redirection of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towards a Pluralistic Identity, an application of the historical competencies to the curriculum, an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history textbook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내용 분석: 핵심개념 ‘발달’을 중심으로

        김경민,송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현재 중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중 발달 핵심개념과 관련된 부분에서 교과 내용이 어떤 소재로 어떻게 조직되어 있으며 어떠한 교수‧학습방법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되어 출판된 총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 5종이다. 연구절차는 우선, 각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발달 핵심개념에 대한 내용과 단원 구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각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발달 핵심개념과의 관련성을 목표, 성취기준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대단원명을 ‘청소년의 발달과 이해’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발달’ 영역은 가정생활영역 대비 적게는 24.59%에서 많게는 31.1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단원 구성을 도입, 전개, 마무리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삽화나 사진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5종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중 자신의 발달에 대한 이해, 긍정적 자아정체감 형성, 관계형성 능력 및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의 목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 및 체험활동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5종의 교과서에서는 협동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과서 분석을 통해 기술‧가정 교과서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편을 위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aling with the core concept ‘Develop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5 textbooks from the twelv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xtbook used ‘Adolesc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as a chapter name. Second, each unit structure has various picture, graphs and activities to make interesting class to students. Finally, 5 textbooks include goals of self understanding, positive self-identity, relationship building and problem-solving. Also, various activities help students accomplish achievement standard 2015 revised curriculum oriented. And cooperation focuse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used the mos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nd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refor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analysi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최유현,강경균,유태명,문대영,최지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연구한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영역 및요소에 기반하여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고 전략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역량의 관점에서 2007년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과 특수 역량으로 핵심 역량 영역 중 문제해결능력은 실천적 문제해결과 기술적 문제해결이 하위요소로 추출되었고, 의사소통의 하위요소로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이 추출되었다. 자기관리능력은 생활역량과 가족생활과 일의 조화능력, 합리적인 소비와 자원 활용이 추출되었고, 기초학습능력에는 도구사용능력과지식의 적용능력이 추출되었다. 시민의식은 기술적 소양이 추출되었고, 진로개발능력은 직업윤리가실과(기술․가정)교과의 특수 핵심 역량 하위요소로 추출되었다. 둘째, 핵심 역량 기반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수준, 교사 수준,통합 수준으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 별로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B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교사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아울러 통합수준에서는 교육과정 수준과 교사수준을 통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A + C안)이다. 또 하나의 통합방안으로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별로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방안(B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B + C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o restructure model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by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ies as well as key competencies and factors requir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o make it strategic. Concerning the way to restructure key competencie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62 experts . The result analysis was as follows:Among key competencies areas,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bility, prac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chnology problem solving were extracted as sub-fact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media was extracted as sub-factor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self-control ability, life ability, harmonizing ability between family and work and reasonable consumption and resource use were extracted. Meanwhile, ability to use instruments and ability to adapt knowledge were extracted as basic learning ability. Technological knowledge was extracted in civil consciousness. In terms of ability to pursue career, work ethics was extracted as the sub-factor of special key competency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restructure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from the curriculum,teacher and integrated level. In terms of curriculum level, the study came up with two methods: (Method A) reflecting and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document system ; (Method B) reflecting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document system according to contents domains and restructuring them ; (Method C) from the teacher's level, reflecting key competencies of class strategy aside from curriculum document system and designing and conducing class. Furthermore, the level of curriculum and teacher can be combined from the integrated level. More specifically, it was the combination of Method A and Method C. Another way to integrate was to combine Method B and Method C.

      • KCI등재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중심으로

        이주연,임유나,정영근,이경언,이민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innovativ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ts implementation for innovative school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a total of 1,992 responses from teachers working at innovative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nnovative schools followed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school curriculum well; furthermore, the opinions of members were reflect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a culture in which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ommunicate and negotiate. In addition, in the innovative school,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rojects with integrated subjects, classes with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nd learning- and growth-oriented evaluation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aspects of sharing,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better realized at the lower school levels.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in the curriculum of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는 초‧중‧고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향을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 혁신의 핵심영역인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방점을둔 전국단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혁신학교 교사 1,99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학교에서는 전반적으로 자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을 잘 공유하고 있었고, 교사, 학부모, 학생이상호 소통하고 협의하는 문화 속에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학교 교육과정에 원활하게 반영하는 양상을보였다. 또한, 혁신학교에서는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이루어졌고, 주제 중심 교과통합 프로젝트, 학생 참여와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수업, 배움과 성장 중심의 과정 평가가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공유, 참여, 소통, 협력의 양상과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행은학교급이 낮을수록 더 잘 구현되고 있었다.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원 측면에 있어서 교사들은담당 수업 시수 감축, 교과 학습 양과 수준의 적정화, 경쟁 중심의 입시제도 개선, 행・재정적 지원 강화,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자율성 확대 등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질적 성장을 위한 공공성의 가치 제고,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델의 다양화, 혁신학교 교육과정에 학교 인근 지역 및 마을의 지역성 반영, 교육활동 중심의 업무 체제 재구조화 및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 확대, 학교급에 따른 차별화된 혁신학교 지원 방안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김종윤,옥현진,조재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which is later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of the national languages. The CCM framework consists of a “competency code” that presents OECD competencies and a “content cod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degree of the competenci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in terms of the OECD perspective. The result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foundational literacies of Korean were similar to the international national language curricular. Second, in the competencies of skills, attitudes and values, “problem-solving” and “learning about learning”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n the OECD average, “critic thinking” was similar to, and “persistence” wa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Third, in terms of key concepts, both “student agency” and “co-agency”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urth, “creating values” and “solving dilemmas” in terms of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CM framework competency related to transformational competencies, the Korean Langu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member countries in terms of “creating new values” and “resolving tensions and dilemmas” were higher but “taking responsibilities” were lower than the OECD countries. Fifth, the competencies in the compound literacies were also compared. These comparison results provide as reference materials that describes the suit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ntributes to future revis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2030s. Key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OECD가 새롭게 제안한 Education 2030 역량틀을 비교하는 교육과정 매핑(curriculum mapping)을 통해 우리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로부터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교육과정 내용 매핑(CCM) 프레임워크에 반영된 국어과와 OECD 참여국의 자국어 교과의 역량 반영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소양은 국어과와 OECD 2030 역량 반영 정도가 유사하였다. 둘째, 기능, 태도, 가치 중 국어과는 ‘문제해결력’과 ‘학습에 대한 학습’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비판적 사고’는 유사하게, ‘끈기/회복력’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개념 측면에서 국어과는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에서 모두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았다. 넷째, 변혁적 역량에서 국어과는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와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책임감 가지기’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합 소양 반영 정도에서 국어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에서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기업가 정신, 금융 소양, 글로벌 역량,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양’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았다. 이러한 비교는 추후 국어과 적용(활용)의 적합성과 정합성을 검토할 근거 자료, 현장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타당성 근거, 타 교과와의 융합 교육을 실시할 때의 근거,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추구하는 인재상, 핵심역량, 목표와 내용(성취기준) 등을 구체화하여 문서화하는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한혜정,이주연,임유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일반고 교사, 직업 위탁기관의 하나인 산업정보학교 교사와 학생, 시‧도교육청의 일반고 직업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일반고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산업정보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5개 시‧도의 7개 산업정보학교 교사 15명, 학생 13명, 일반고 교사 6명, 시‧도교육청 담당자 4명, 38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 결과는 (1)일반고 학생의 직업 위탁과정 만족 및 중도탈락 요인, (2)일반고 직업 위탁과정 홍보 및 안내 실태, (3)일반고 직업 위탁과정 운영 실태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로 일반고 직업 위탁교육의 구체적인 실태에 근거한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들의 직업 위탁과정 만족 및 중도 탈락 요인이 일반고 직업 위탁과정의 홍보 및 안내 방식뿐만 아니라 실제 직업 위탁과정의 내용 및 운영 방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논의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곧, 일반고 직업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직업 위탁과정의 취지 및 목적을 명료히 할 것과, 이에 대한 홍보를 활성화하고, 원적교와 위탁기관 간 협력을 통해 위탁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며, 직업 위탁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고 전문성을 신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officials of the metropolitan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rom the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aim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larified. Second, the promo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done much earlier than in the end of the second year. Third, in voca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pen curriculum that reflects future industry rather than popular-oriented curriculum. Although it is important to study specialized subjects, practical studies of math and English is also important.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ird-year students involved in the vocational education need to be improved. Fifth, training needs to be carried ou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on the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 성취기준 비교

        강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의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을 지식과 인지과정으로 이원 분석할 수 있는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 2022 개정 『생명과학』,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의 성취기준이다. 모든 분석 대상 교과에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형태로 제시한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다.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개념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적었다. 인지과정 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교과에서 ‘이해하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에는 ‘창안하기’가 제시된 점이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에서도 ‘평가하기’와 ‘창안하기’의 비중이 다소 높아진 점은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영역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변화가 더욱 강화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성취기준 설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area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In this study, Bloom’s revised taxonomy that can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in two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as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 I』 and 『Life Science II』, the 2022 revised 『Life Science』,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achievement standards. In all analysis subj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form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ere the most common. When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detail,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the lea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ing' occupied the most weight in all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the suggestion of ‘creating’ was a positive change. In addi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evaluating' and 'creating' has increased somewhat can be seen as a positiv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gn of learning objectives so that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reflect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lif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방향 탐색: 교사와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기반으로

        정영근,민용성,이병천,권점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고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정 체제 변화를 위한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 교육전문직 대상의 설문조사, 교사와 교육전문직을 포함한 교육 관계자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관 수준과 의사결정 참여 구조, 교육과정 요소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3차원적 구도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와 교육전문직은 국가교육과정이 관료 및 전문가 독점의 거버넌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포함한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자율성과 시·도교육청의 권한 확대 필요성에 대한 동의 정도가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참여 협력적 거버넌스와 국가-교육청-학교 간의 관계에서는 분산적 거버넌스 구축에 둘 필요가 있다. 다만 지역 간 교육과정 수준과 범위의 격차 및 단위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교육청의 관리·통제 강화 가능성에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산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위해 교육내용(성취기준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권을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 이동시킬 것인가의 정책적 검토와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 모색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추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한 시·도교육청의 지역교육과정 개발의 기반 조성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Korean school curriculum govern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participants on curriculum governance were analyzed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urriculum governanc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governance composed of institutional level, participation structure of decision-making, and curriculum elements was derived.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recogniz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was governed exclusively by bureaucrats and expe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nsent to the need to expand the initiatives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school in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was very high.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curriculum governance in Korea needs to be plac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establishing de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 KCI등재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이윤경,조미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petency-bas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y restructuring artistic high school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ased on specialized dance competence(SDC). To accomplish this goal, three researche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ly, confirmation of conformity between SDC and 2015 revis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secondly, exploring the needs to improve the specialized dance education reflecting the meaning of SDC, thirdly, restructuring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ased on SDC.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written survey, interview, F.G.D, and expert meeting based on Walker’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is study restructu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area of the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to enhance SDC. Through this study, the subject and content area of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to enhance SDC has been restruct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tructur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led to the dynamics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totally linked structure, and this structur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In addition, the essential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the content and application method to be supplemented from the viewpoint of curriculum improvement were derived. In order to realiz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arts high school's specialized dance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peration system of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dance teacher for professional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무용역량에 기반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여,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문무용역량과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과목 간 적합성을 확인하고, 둘째, 전문무용역량의 의미를 반영한 교육현장 개선요구를 탐색하였으며, 셋째, 전문무용역량 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워커의 교육과정개발모형을 토대로 문헌고찰, 서면조사, 면담, F.G.D, 전문가회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무용역량 대범주 및 역량요소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및 내용영역이 재구조화되었다. 재구조화된 전문무용교육과정은 역량의 특성이 반영된 총체적 연계 구조를 통해 교육과정의 역동성을 이끌어내었다. 그리고 전문무용교육과정의 본질적 의미와 실천방향이 강조되었으며, 교육과정 개선의 관점에서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적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하여,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및 전문무용교육과정 운영체계 점검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