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재돈,박병열,이현동,이효녕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education on gif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were 68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2020. Th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15 different subjects was conducted for 90 hou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the preandpost-test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online gifted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using the university’s existing LMS system, while also reducing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both students-students and students-instructor within the classroom. Second, online gifted education was effective in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science motivation, however, the effect size was relatively small. Third,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s’ systems thinking were affected by the district of residence and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Therefore, gifted educa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ional disparitie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uture fast-changing society.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의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및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0학년도 초등과학 영재학생 68명이며, 원격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총 15개의 주제로 90시간동안 교육이 진행되었다. 교육 효과 검증을 위해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를 영재교육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과학영재교육은 기존의 대학 LMS 시스템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모둠활동 축소, 교수-학생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이 줄어드는 등의 한게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은 시스템 사고와 과학 동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그 효과의 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변화는 이전 영재교육 경험의 유무와 거주지역의 차이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근 지적되고 있는 국내 인구구조 변화 및 지역별 격차에서 비롯된 문제를 고려한 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해낼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 관련 논문의 주제 분석 : 1980년부터 2008년까지

        권언근,김윤경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과학영재교육의 질적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해 1980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연대별로 정리하였다. 국내과학영재교육의 도입기라 할 수 있는 1980년대에는, 교육개발영역에 대한 연구가주를 이루었으며 영재교육에 대한 기초연구와 영재아에 관한 연구도 다수 병행되었다. 국가적지원이 강화된 1990년대에는, 영재아에 대한 연구와 교사영역에 대한 연구가 큰 폭 상승하였다.2000년대에는, 다양한 정책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구 분야에도 다양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전반적으로, 학부모 및 영재아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기초연구에 대한 부진현상도 극복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실정에 맞는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근본적인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영재아와 그 부모를 포함하는 다방면의 연구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 본연구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전문적인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권위적인 학술지의 등장이라는제도적인 변화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연구 : 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김성춘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입학하는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개인적 욕구, 기관⋅강사⋅수업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여 현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과 방법을 고찰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편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 결과, 학생 및 학부모 공통으로 영재들에게 우수하고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을 가장 기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실험 위주의 수업 확대, 창의성 훈련 및 개별 관심에 대한 심화 학습의 욕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재교육에 대한 정의나 교육 대상, 교육 기간, 강사 자질, 원하는 수업 내용 등에 있어서 학생 및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욕구 차이가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학생 및 학부모, 과학영재교육원간의 지속적인 소통 및 교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격수업을 경험한 과학영재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와 반응 분석

        노현아(Noh, Hyeonah),최재혁(Choi, Jaehy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심화과정 과학반에 재학한 중학교 1학년 56명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와 원격수업으로 운영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종료한 시점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 과학영재교육원의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의견, 2020년 진행한 17개 수업 주제별 수업난이도 및 만족도(만족스러운 점/아쉬웠던 점)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주제별 난이도에 대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개방형 설문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학영재들은 원격으로 진행된 블렌디드 수업(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과제수행 중심수업,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에서, 직접 탐구를 통해 해결하는 과제수행 중심수업을 하기 위해 학생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제시된 사전 동영상을 반복하여 학습하였고 추가적인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하여 과학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려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해결한 과제는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확인하고 전문가 및 친구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이 하고자 하는 수업에 맞춰갔다. 둘째,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는 크게 학교나 학원에서와는 다른 심화된 수업, 전문가(교수)가 직접하는 수업(39.7%), 실험기기가 제대로 갖춰진 환경에서 다양하고 심화된 실험 활동(42.9%), 친구나 선생님과 대화를 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토론/토의(11.1%)이었다. 셋째, 원격수업 환경에서 과학영재들은 어려운 수업내용(23.7%), 과제수행 중 탐구 활동에 대한 어려움(15.7%),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험하지 못함(12.3%), 교수님과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부족(6.6%)을 아쉬워했다. 하지만, 집에서라도 탐구 활동을 할 수 있고(43.2%), 수업을 통해 지식을 얻고(45.8%), 실시간 수업을 통해 발표·토의활동을 할 수 있는 것에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수업, 실험, 상호작용 요인에 대해 과학영재들의 기대와 반응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cta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the responses to all programs operated by onlin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7th grade students in the science class in the secondary course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fter all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xpecta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opinions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n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satisfaction (satisfactory/dissatisfactory) for each of the 17 lessons. Excluding the questions on the difficulty level of each subject, it was produced as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for science-gifted to conduct a task-oriented lessons that is solved through inquiry in online class, students repeatedly learned the lecture video presented as a content-based class,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science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ey confirmed the tasks solv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online classes, and communicated with professors and friends. Second, the expectation for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was to have in-depth classes different from those in schools or academies (39.7%), lessons taught by university professors, various and sophisticated experiments in an environment well equipped with experimental equipment (42.9%), and conversation with friends and professors (11.1%). Third, while taking online classes,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difficult content (23.7%), difficulty with inquiry activities during assignment (15.7%), unable to experiment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12.3%), and lack of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friends (6.6%).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e expectations and respons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o the factors of instruction, experimentation, and interaction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consider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proces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서권수(Seo, Gwon-su),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은,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교육방향이며,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교육청 소속 영재교사들 중 의도적으로 표집한 93명(전체 524명 중 17.7%)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편 및 e-mail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개방형 설문문항에 응답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주요 항목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구성요소의 주요 범주에는, 발산적 사고 요소에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용성, 유연성, 합리성이, 정의적 행위에는 개인이 몰입하거나 호기심을 나타내는 내적 방향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 이타적으로 기여하는 것,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 결과적 행위에 사고하는 것, 실천적으로 만들거나 발명하는 것,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연결적 행위에는 기존에 없던 것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의 독립 발현과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것의 연결 발현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교사들은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 요소의 새로움, 개인적 차원의 몰입, 나아가 사회적 맥락의 가치 등을 포함하여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 교사들은 주로 영재교육원 소속이며 최종학력이 석·박사, 영재교육 연수를 심화 이상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후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reativity is a key educational direction emphasized in gif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how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perceive creativity. In this study, among gifted teachers belonging to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5, 93 teachers (17.7% of the total 524) were intentionally sampled and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 respond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by mail and e-mai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and categories of creativity, the main categories of creativ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vergent thinking elements, affective behaviors, performing behaviors, and connecting behaviors. The components of divergent thinking include originality, fluency, sophistication, usefulness, and flexibility. The components of affective behaviors include that an individual has inside directions to show task commitment or curiosity, or outside directions to cooperate with others, contribute altruistically, and pursue social values.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behaviors include thinking, making and inventing, and solving problems while the components of connecting behaviors include creating new and noble things and reorganizing existing things. It was found that some teachers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cluding novelty of divergent thinking elements, thinking or making behaviors, and even the value of social context. Teachers who perceive creativity in a balanced way mainly belong to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findings about perceptions of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uture.

      •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신희선,김선자,박종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0 과학영재교육 Vol.2 No.1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중 과학 분야 특수 목적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녀의 과학교육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 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9명의 학부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과학 관련 특목고 진학에 과학영재교육원의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과 우수한 동료들과의 교류가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다독 습관, 높은 문제해결력 등을 과학영재 특성이라고 생각하였고, 자녀 대부분은 초, 중학교 시절 친구 들과의 문제로 힘든 시기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녀들을 위해 심리적으로 많은 배려와 지원을 하였고, 다양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현재 원하는 진로 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자녀의 희망을 지지하였으며, 항상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정 분위 기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ho entered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GEC) for the Gifted view the SGEC and how the parents understand the SGEC and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and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29 parents, and the resulting are as follows: Parents thought that curriculums of SGEC, various programs that are uncommonly experienced,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from SGEC mostly influenced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It was discovered that the parents consider that their children’s habits on heavy reading, high abilities on solving the given problems and othe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s the most of children have had their hard times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peer groups in thei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All of the parents psychologically payed much attention and offered supply to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ir actual particip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parents were precisely understanding the courses their children wish to proceed, supporting them and leading their family atmosphere for the children to be always exposed to the science.

      •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의 상관분석-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생물과학반 학생 대상 -

        김순영,황덕준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2 과학영재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f 25 students of 7th and 8th grades who are enrolled in the biological science class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t Andong National University. We carrie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 Instrument”and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academic performance of 1 year.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average of motivation, and the goal orientation of motivation and the elaboration of recognition strategy turned out the welldeveloped relationship.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 is correlated with the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Therefore,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ould be improved with the support of the motivationenhanced program for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of middle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 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안동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교 1,2학년 생물과학반 영재학생 25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을 상관분석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은 1년간의 학업성취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수치화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동기차원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동기차원의 목표지향성과 인지전략의 정교화능력 사이의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동기차원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차원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중등 과학영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행수준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김호상,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betwe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a survey about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conducted with 272 sciencegifted students selected and educated b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eoul and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97 avera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was similar and over 90% of students received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was recognized as positive help to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of gifted students and school grades of average students. However, gifted students thought reading and in-depth learning in interested areas were more helpful in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than private education. Second, compared to average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low stress and low depression. Third, comparison of gifted students’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from private education showed the more hours were spent for private education, the lower selective well-being and the higher depression were. Four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that gifted students with high subjective well-being had lower 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을 비교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정서적으로 보다 더 이해하고 지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소재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과학영재 272명과 일반학생 97명이다. 연구를 통해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현황은 비슷하게 나타나 90% 이상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사교육이 과학영재의 영재교육기관 선발과 일반학생의 학교 성적에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높고 스트레스가 낮으며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시간에 따른 과학영재의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낮고, 우울 정도는 높았다. 넷째,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과학영재가 스트레스,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사업 비교와 발전 과제

        최호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가운데 14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제반 특성과 실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각 교육원의 운영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교육목표, 조직 구성원, 과학영재선발과 관리 방법, 교육 프로그램 구성 체계와 내용, 학습 성취도 평가 방법, 대학별 특별 추진 사업 계획 등 6가지 측면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그동안 과학영재교육원이 미친 사회적 영향과 교육적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해가야 할 발전적 실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과학 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정경화,정기주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7 과학영재교육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verseas science museum exploration camp at the university affiliated Education Center for the Science Gif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Science Gifted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who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round of document evaluation and the second round of interviews. These students, along with Japanese and Singaporea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4-days camp, where the students were put to a group investigation of exhibition at Nagoya Municipal Science Museum in Japan, visited the Momorial Museum of Nobel Prize winners at Nagoya University, attended school classes at the Nagoya University affiliated secondary school, and presented a free research project prepared in advance.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was very high, and the group research activities with foreign students conducted at the Science Museum not only led to a highe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rinciples of the exhibition, but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d global mind and the ability of collabor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However,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project prepared in advance by each country appears relatively unsatisfactory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other students, and needs improvement mea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해외 과학관 탐구 캠프에 참가한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학생 중 캠프 참가 희망자를 대상으로 1차 서류 접수와 2차 면접 과정을 거쳐 선발된 21명이다. 이들 학생들은 일본(80명), 싱가포르(10명) 학생들과 함께 일본 나고야시과학관 전시물 조별 탐구, 나고야대학교 노벨상 수상자 헌정기념관 견학, 나고야대학교 부설 중등학교 수업 참가 및 국가별로 사전에 준비한 자유탐구과제 발표 등 3박 4일 일정의 캠프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관에서 진행된 외국 친구들과의 조별 탐구 활동은 전시물의 과학적 원리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물론 글로벌 마인드 향상과 협업을 통한 국제교류능력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나라별로 사전에 준비해 온 탐구과제 발표는 상대 학생들의 이해부족으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개선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