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교 수학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과 적용

        권오남,박지현,김영혜,김미주,조형미,주미경,박정숙,오혜미,박윤근,김영기,박규홍,이재성,김지선,박상의,김유정,이상구,신준국,전철,박제남,장훈,김영록,오방실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국제학업성취도비교연구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상위수준을 차지하지만 정의적 측면에서의 성취는 하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및 2012년 수학교육선진화 방안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성 및 고등 수학적 사고력을 개발하고 수학의 유용성 및 실세계와의 관련성을 인식하여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탐색을 주장하고 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이러한 배경에서 Bruner(1986)의 네러티브 사고의 관점은 스토리텔링의 중요성과 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데 유용하다. Radford(2012)는 스토리텔링을 사건의 계열을 조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내러티브라고 정의하며 스토리텔링의 인식론적인 장점과 더불어 수학의 역사를 통해 수학의 발전 과정 자체가 스토리텔링이라고 설명하였다. 스토리텔링은 학습자가 제시된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역할에서 탈피하여 내적 탐험 및 존재론적 상호작용성을 촉진하여 몰입을 유도하는 교육적 효과를 갖는다. 특히 스토리텔링을 통한 몰입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활동의 소극적인 수요자가 아니라 적극성을 띤 학습의 자발적인 주체자로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를 끌고 상상력을 자극하여 간접적인 경험과 공감을 광범위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끝으로 공감대 형성에 따라 의미 충실한 이해를 돕는 효과가 있다. 학습자는 정서적으로 스토리 형태에 더 잘 끌리며, 낯설고 신비스러운 스토리일수록 학습자의 지적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박소화, 2012; 백조현 외, 2010; Egan, 1986). 이러한 효과는 수학교육에서도 유효하다 하겠다(Goral& Gnadinger, 2006; Hauscarriague, 2008; Schiro & Lawson, 2004; Wilke, 2006; Zazkis & Liljedahl, 2008).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창의재단의 연구과제로 이번에 개발된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는 스토리텔링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때 학생들의 동기부여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서 확장하여 스토리텔링이 갖는 내러티브적 사고를 반영하되 동시에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즉 교과서의 기능인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관한 교육공동체의 합의 및 그 변화를 보여주는 관점 반영의 기능을 가지며, 스토리텔링 교과서를 통해 교육과정에 추상적이고 포괄적으로 진술된 내용 요소를 구체화하여 보여주고, 교육내용을 해당 학년 학생의 교수·학습 상황에 맞게 해석하여 제시한다. 권오남 등(2012)은 이미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스토리텔링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태도 개선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토리텔링 교과서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계속적 해석 활동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수학적 경험을 구조화하고 소통하고, 궁극적으로 “스스로 수학 만들기”에 이르는 과정으로 개념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개발연구에서 지향하는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로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사탐구형, 의사결정형, 실생활연계형, 도구활용형, 학문융합형의 5가지 유형의 모델 교과서를 개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일부 학교에 적용하였다.

      • KCI등재

        물렁가시붉은새우(Pandalopsis japonica) 부화유생 사육을 위한 영양강화 알테미아, 바지락살 및 배합사료의 공급 효과

        권오남,임매순,박기영 한국수산과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5

        Larvae of pandalid shrimp Pandalopsis japonica are benthic, and may prefer bottom to planktonic food items. Threediets, enriched Artemia meta-nauplii (AR), clam meat (CM), and crumbled shrimp (CD), were evaluated as food forearly larvae in terms of biometric growth R:D ratios. Larvae fed AR and CM had significantly greater total lengthand dry weight than did larvae fed CD (P<0.05). Survival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larvae fed CM than in thosefed AR and CD (P<0.05). R:D ratio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larvae fed AR and CM than in those fed CD(P<0.05). Planktonic Artemia meta-nauplii containing high levels of fatty acids and amino acids were not suitable foreither normal somatic growth or survival at early benthic larval stag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optimal feeding duration to increase digestibility of AD. Thus, we propose that clam meat is the best diet for pandalidshrimp larvae.

      • KCI등재

        고염수 처리제에 차아염소산, 염화칼슘 및 인산 첨가가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과 창자파래(Ulva intestinalis)의 사세포율과 엽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

        권오남,윤영랑,신일식 한국수산과학회 201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1 No.6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highly saline solution (HS)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calcium chloride (CaCl2), and phosphoric acid (H3PO4) on cell death and growth rate of laver Porphyra yezoensis and green laver Ulva intestinalis. Cell death rates of laver treated with HS and HS plus hypochlorous acid (HS + HOCl) in the harvesting stage were less than 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S and HS + HOCl treatments. However, cell death of green laver treated with HS + HOCl in the harvesting stage was greater than 81.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HOCl is highly effective to eradicate noxious green laver without causing damage to laver. The addition of HOCl and H3PO4 to HS did not increase the area or weight of laver blades. A combination treatment of CaCl2 and HS,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rea and weight of laver lades compared to controls (P<0.05).

      • KCI등재

        수온에 따른 명태(Theragra chalcogramma) 수정란의 부화 패턴과 부화 자어의 기형 발생에 미치는 영향

        권오남,홍우석,박진철 한국수산과학회 202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4 No.6

        To find the optimal eggs to larvae transforming temperature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we investigated their hatching pattern, mortality, and larval deformities. Results showed that the hatching quality decreased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and dropped sharply above 13°C. The highest hatching rate was achieved at 7°C, whereas the lowest was at 15°C. Dead eggs were not observed at 7°C; however, dead egg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 at 4.5°C and above 13°C (P<0.05). Mortality of larvae after hatching was not observed at 4.5°C, but was significantly high above 13°C. The DNA content of the larva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water temperatures; however, RNA content was the highest at 7°C and was significantly low above 11°C. In addition, RNA/DNA ratio was the highest at 7°C. Larval deformities after hatching were low at 7-11°C and higher at higher or lower water temperature. Therefore, the hatching index and larval health index of Walleye pollock eggs in this study show that 7°C to 11°C seems to be the optimal transforming water temperature range.

      • 컴퓨터와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별 차이

        권오남 한국교육사회학회 2002 교육사회학연구 Vol.12 No.2

        정보화 사회에서 수학적 능력이나 정보화 지식이 많이 요구되고 있는 요즈음, 수학이나 컴퓨터 공학에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뒤떨어진다는 사회적 인식이 여학생들로 하여금 정보화 능력을 습득하는 데에 큰 장애물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의 초?중?고등 학생 1,0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남녀 학생의 컴퓨터 사용 경험의 정도와 수학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수학에 대한 태도나 컴퓨터 사용 경험이 성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사용 경험 에 있어 남녀 학생의 유의한 성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수학에 대한 태도 요인 중에서는 수 학에 대한 자신감에서만 유의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모든 세부 적인 요인에서 유의한 성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경로 분석한 결과, 수학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남학생일수록, 컴퓨터 경험이 많을수록 컴퓨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고, 성은 컴퓨터 사용 경험을 매개로 하여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ociety's perception of women in the field of mathematics is slowly changing, but strong social messages remain that technology, mathematics, and science are nontraditional areas for girls, and girls self-select out of these areas. This study surveys attitudes towards computers and mathematics among 1027 Korea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518 males and 499 female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respondents' experiences for computers, their confidence in use of computers, and their motivation to use computer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related differences on mathematics attitudes.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ttitudes and computer attitudes. Path analyses demonstrated that a model including gender as a direct effect and mathematics attitudes, computer experiences as indirect effects to computer attitudes was fitted to the dat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