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계열 전공역량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의학공학계열 사례를 중심으로

        오방실,권영애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이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공학계열 전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2학년도 K대학교 의학공학전공 계열 재학생 289명을 모집 단으로 설정하였고, 전공역량 진단을 실시한 136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공분야 및 교육학 전문가 패널의 내용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총 4개의 전공역량(의료기기설계역량, 프로그래밍역량, 의료 법역량, 융합적사고역량)과 총 19개의 진단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전체분산의 82.55%가 연구모형 에 의해 설명되고 있었으며, 전문가 패널에서 도출된 전공역량 분류에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셋째, 전체 19개 문항 의 신뢰도는 0.9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역량별 신뢰도 값은 0.83 이상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출된 사례를 토대로 미래세대를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 전공역량 성과체계 연구에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engineering major competencies and check its validity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erformance of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 population of 289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engineering at K University in the 2022 school year was set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136 students who underwent major competency diagnosis were finally analyzed. First. a total of four major competencies(medical device design, programming, medical law, and covergent thinking competency) and a total of 19 diagnostic items were derived from a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experts in medical engineering and education fields. Second, as a results of factor analysis, 82.55% of the total variance was explained by the research model, and the factors exactly matched the four major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expert panel. Third, the reliability of all 19 items was very high at 0.97, and the reliability value for each major competency was above 0.83.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development, oper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개발 연구

        오방실,권영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3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major programs in 4-year universitie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two times Delphi tests with expert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cludes four areas: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support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A total of four areas and 25 indicators were derived, and all indicators showed an average score of 4.0(appropriate) or higher, and the minimum CVR value of .64 or higher to ensure content validity. This study shows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for university officials who consider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major program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ny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편한 전공 교육과정의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개발·도출하고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ystematic Approach 기법을 기반으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는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지원, 교육과정 성과 및 개선까지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11개의 세부항목, 총 25개의 지표를 도출하였다. 모든 지표는 CVR 최솟값(.59)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많은 국내외 학과 및 전공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비교과 참여 경험에 대한 성찰 분석 : 프로그램 참여 후기를 중심으로

        오방실,박혜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and reflection. For this study, 164 university students who submitted an essay about participation in an extracurricular program were examined by using an open coding process and cluster analyses. Three main theme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and reflection, were identified. Sub-themes for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ere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s, time management, linguistics, and interest. Sub-themes for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were learning methods, study plan, learning content, sharing, responsibility, think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mprehension. Sub-themes for reflection were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 change, challenge, introspection, attitude of mind, interaction, sustainability, tim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Cluster analyses by using coding similarity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relationships between sub-theme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and reflec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higher education extracurricular by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activities, and reflection to extracurricular.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교과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동기, 활동내용, 성찰 및 변화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21년 2년 동안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후기에 공모한 164명의 에세이를질적분석하였다. NVivo를 활용하여 개방형코딩을 통한 질적분석 결과, 대분류는 참여동기, 활동내용, 성찰 및 변화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학습, 공동체, 경험, 대인관계, 시간관리, 어학, 관심으로 분류되었다. 활동내용은 학습방법, 학습계획, 학습내용, 공유, 책임감, 사고, 협력학습, 이해로 분류되었다. 성찰 및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 감정변화, 도전, 자기성찰, 마음가짐, 상호작용, 지속성, 시간관리, 만족감으로 분류되었다. 코딩유사성을 활용하여 군집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활동내용, 성찰 및 변화와의 연관성이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군집분석 결과는 향후 대학관계자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구성하는데 의미있는 그림을 제공하여,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자체교육인증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 :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대학의 자체 교육인증제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0학년도 K대학 재학생 1,957명을 대상으로 인증단계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도, 만족도 및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혼합방법 삼각측량을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의 양적분석 및 질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증 단계의 학생들은 기초인증 또는 예비인증 단계의 학생보다 비교과 참여 경험 및 접근성에 차이를 보이고,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과 지원 및 학과 내 비교과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본 연구의 양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증 학과 학생의 기초학습능력 및 전공 심화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질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초인증학과 학생들의 전공 심화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양적자료 및 질적자료 분석 결과 모두 본인증 학과 학생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효과성에 대해 기초인증 및 예비인증 학과 학생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관계자들에게 전공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거버너스를 구축함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함양, 더 나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시사점을 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K university self-accreditation on extra-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1,957 students in the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by accredit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in the main level departments more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better access to program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department supports and extra- curricular programs in departments than those of the basic or preliminary level departments. Second, the students in the main level departm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basic learning and major in-depth learning improvement programs, while the students in the basic level departments had more demands for programs to improve their major in-depth learning abi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student agency competency by accreditation level.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혁신학습공간 조성이 학생 역량에 미치는 영향 : A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2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혁신학습공간, 특히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A대학교의혁신학습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혁신학습공간을 이용하여 학습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 역량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만족도 조사와 핵심역량 진단조사에 모두 참여한 재학생 1,413명을 대상의 결과를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재학생이 교내 혁신공간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고, 11.2%만이 혁신공간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 혁신공간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향후 혁신공간 사용의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핵심역량 함양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혁신공간을 이용하여 학습한 학생은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문제해결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지식탐구역량, 자기주도역량, 책임의식역량, 사회배려역량, 의사소통역량, 세계화역량, 리더십역량, 팀워크역량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관계자에게 혁신공간구축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 perspectives and satisfaction with an innovative learning space in the A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of core competencies between students who had used the space and those who had not. The results of 1,413 students who participated both in satisfaction survey and a core competency self-assess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and only 11.2% had used the space. Students who had used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use the space in the future than those who had not used it.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d used the innovative learning spa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roblem-solving, creative thinking, knowledge-seeking, student agency,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for others, communication, global competency, leadership, and teamwork than those who had not.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use of makerspace and university administrators who are concerned about developing student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대학 자체교육인증 여부와 성별, 학년별에 따른 대학생 상담 참여 및 만족도 차이 분석

        오방실(Oh, Bangsil),김경리(Kim, Kyung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상담체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대학 자체교육인증제도의 교육성과로써 상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증단계, 성별, 학년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 참여도, 만족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재학생 만족도 및 인식조사에 응답한 1,957명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결과를 비교하는 혼합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상담체계를 구축한 예비인증 및 본인증 학과 학생들의 상담 참여도 및 만족도가 기초인증 학과 학생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상담 참여도는 낮지만, 다양한 상담 창구를 통한 상담 기회 확대에 대한 요구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상담 참여도 및 만족도에 있어 학년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입생이 고학년에 비해 상담 기회가 적은 반면, 전반적인 상담, 학업상담, 대학생활 관련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고학년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의 자체인증제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및 상담체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이 대학생의 상담참여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가 교원들에게 상담지원 기초자료 및 상담/지도 방향 설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university self-accreditation system on counseling by examining differences in counsel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spectives by accreditation level, gender, and grade. The data of 1,957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a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urvey was examined by using a mixedmethods triangulation design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preliminary and main accreditation level departments that had established a counseling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of basic accreditation level department students. Furthermore, while female respondents had participated less in counseling than males, they had a higher demand for expanded counseling opportunities through diverse types of counseling programs. Third, while freshmen had fewer counseling opportunities than seniors,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overall counseling, academic counseling, and counseling related to college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howing that a system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he regular curriculum as well as the counseling system has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ounsel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be of value to faculty who need counseling support materials when setting counseling/academic advising directions.

      • KCI등재

        비대면 교육에 대한 교원과 대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리,오방실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COVID-19 팬더믹으로 인한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원과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를 통하여, 뉴-노멀시대의 고등교육 체제 구축에의 기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만족도 및 인식조사를 시행하였고, 응답 자료를 토대로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교원과 학생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개선의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영상품질, 실시간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에 대해서는 교원의 만족도가 더 높았고 녹화영상 강의,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녹화영상 강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영상품질, 실시간 온라인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개선의견으로는 교원과 학생 공통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위해 효율적인 프로그램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교원은 학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학생들은 수업 간 일관성과 비대면 수업으로 늘어난 과제량 조절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한편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교원들의 생각과 달리 학생들은 시공간 초월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반복 수강할 수 있는 녹화영상 강의를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교원과 쉬운 소통 수단이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포스트 COVID-19 시대를 준비하며 단기적이고 임시방편 차원의 비대면 교육 운영이 아닌, 비대면 교육을 효율적으로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장기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 그리고 교수자 차원의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 및 워크샵 수강 등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faculty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non-face-to-face educ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Surveys of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education for student and faculty were administere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by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an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culty’s satisfactions with video quality, online live lecture, and online platfor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while faculty’s satisfactions with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recorded video lecture between faculty and student. Third, both faculty and students requested to effective technical suppor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Most faculty requested sup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while students asked for consistency among classes and adjust the amount of task. Surprisingly, constrary to the faculty thoughts that students would prefer online live lecture, students preferred recorded video lecture.

      • KCI등재

        대학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의 효과성 검증

        권영애,오방실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9

        본 연구는 대학에서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한 마일리지 장학 제도를 이용하는 학생의 참여동기, 지각된유 용성, 지각된용이성, 참여자만족, 지속참여의향 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의 마일리지 장학 제도를 이용하는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 행하였으며,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참여동기, 지각된유용성, 지각된용이성은 참여자만족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용이성은 지속참여의향에 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참여동기, 지각된유용성은 지속참여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과 지속참여의향 간의 관 계에서 참여자만족이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차세대의 고등교육 비교과 교육과정 시스템 정립을 위한 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mileage system,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Onlin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58 students in a 4-year private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area was examin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motiva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mileage system.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in the mileage system, while motiv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no statistical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ird, studen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rough satisfaction with mileage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ext-generation extra-curricular system for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면 및 비대면 환경에 따른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비교 연구

        박혜진,오방실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4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element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s. For this study, a total of 108 essays submitted to the ‘Good Lecture Essay contest’ about the regular courses taken for 4 years from 2018 to 2021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using thematic analysis. Three main themes, instructor, class operation, and class effects, were identified. First, looking at the aspect of the instructor, the number of mentions on instructor’s professionalism and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were higher than in the face-to-face environment. Second, in term of class operation, learners in the face-to-face environment were more likely to mention the instructional media, the class atmospher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learners in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For teaching methods, learners in the face-to-face environment were more likely to mention PBL than the learners in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Finally, in terms of class effects, the ratio of learners mentioning ‘achievement experience’ in face-to-face environment was somewhat higher than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y for future university instructors to promote teaching practice by provid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learner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s.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충북소재의 K대학에서 2018년-2021년 4년동안 수강한 정규 교과목 중 추천하고 싶은 강의에 대해 ‘좋은 강의 에세이’ 공모전에 출품한에세이 108편을 주제별분석을 활용하여 질적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강의의 주된 요소는 교수자, 수업운영, 수업결과로 나타났다. 교수자 측면에서 살펴보면, 비대면 환경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교수자의 전문성이 대면 환경에서보다 언급 비율이 높았으나, 교수자 태도에 대한 언급 비율은 대면 및 비대면 환경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업 운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면 환경의 학습자들이 비대면 환경의 학습자보다 교수매체, 수업분위기, 학습환경에 대해 언급 비율이 높았다. 교수방법에 있어서는 PBL활용비율이 대면 환경이 비대면 환경보다 매우 높았다. 수업 결과 측면에서 살펴보면, 강의수강 후 변화에 대한 언급 비율이 대면 환경 학습자가 비대면 환경 학습자보다 약간 높았다. 성취 경험에 대한 언급 비율은 대면 환경 학습자가 비대면 환경의 학습자보다 매우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대면 및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대학 교수자들이 교수 실행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