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이명희,백석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aking a philosophical view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research, 1 will analyze not only th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ut also the past ones. There have been intermittently quantitative and external analysis so far to comprehe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ut, I thought we also need qualitative and internal comprehension and examined the curriculums through a philosophical analysis. Generally, mathematics curriculums at every period have their own mathematical philosophy consciously or tacitly. And, the school mathematics is the practice of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at mathematical philosophy. Mathematical curriculum reflects both the philosophical aspect in mathematical philosophy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and the sociological aspect in real-class that is the output of the curriculum. With this view, the logic of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an appropriate way that leads mathematical philosophical analysis and sociological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So, I comprehend the tendency of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through the philosophical views.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s mainly have the tendency from the Ideology of progressive educator (the first) to of technological pragmatist (the second), from that of old humanist (the third and forth) to progressive educator (the fifth and sixth), and lastly that of social constructivism (the seventh).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위하여 그 동안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수량적, 외형적 분석에서 나아가 의미론적으로 파악하고자 무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을 수학 교육 철학적 견지에서 파악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각 시기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나름대로의 수리 철학을 의식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내포하게 되고, 그 수리 철학을 배경으로 한 수학과 교육과정이 수학교육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이 학교 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배경이 되는 수리 철학의 철학적인 입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장인 수업 현장이 가지고 있는 사회학적 입장을 동시에 반영하게 된다. 수학교육의 수리 철학적 분석과 사회학적 분석을 조화롭게 이끄는 Ernest의 사회적 구성주의 중심의 수학 교육 철학적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20세기 중반 이후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을 파악해 보면 대략 진보주의(1차)에서 과학 기술적 실용주의(2차)로 그리고 구 인본주의(3, 4차)에서 진보주의 경향(5, 6차)으로 마지막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순서(7차)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서의 쟁점 - 2006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대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2006년에 고시된 교육과정과 지난 제 7차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내용 항목과 관련된 개정 사유와 개정 과정에서 있었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된 보고서와 연구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2006년 개정에서 초등학교 내용과 관련하여 쟁점이 있었던 개정 사항을 학년 간 이동된 내용, 분수 개념의 지도 계열, 문제해결 영역 설정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개정 사항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지, 개정 과정에서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 그리고 개정 사항에 대하여 어떤 사유가 제시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다양한 이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견은 초등수학의 양과 수준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의 차이나, 초등 수학 내용의 도입 시기나 지도 계열에 대한 수학 교육적 견해의 차이 그리고 교육과정의 내용을 제시하는 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부터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bate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ontents in the new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ed in 2006. With this, the feature of the new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past 7th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as investigated. And the drafts on developing the new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s well. Three main controversies were identified. The first controversy was related to the item which had been dealt i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moved to elementary school in the new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e.g. equations, direct proportion and inverse proportion). The second one was related to the order of teaching fraction. The third one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problem solving became one of the five domain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ose controversies came from a basic belief on the ranges and depth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didactical point of view, or thoughts on what should the content in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be. The issues and suggestion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might serve to improve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RME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과 4C-STEAM 연계방안 - 5학년을 중심으로-

        우선미,전인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08

        우리 사회는 최근 첨단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폭발적인 지식의 증가와 급속한 세계화 가 만들어 낸 지식기반사회로 변화되었고, 기존의 인재와는 달리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미래 사회는 다양한 학문과 기 술들이 융합되어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정보화 사회로서 교육에서도 학 생들이 마주치게 될 다양한 기회와 도전에 대해 적절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 의 방향과 성격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국가 경쟁력은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만들어 내는 ‘창조적 인적 자본’에 있으며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융합인재의 양성이 관건이 되 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 업무계획’ 보고에서 창의적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초․중등 STEAM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본 연구에서는 STEAM관련 문헌과 2007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국형 미래 인재상 을 지향하는 4C-STEAM교육과 초등수학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년 5학년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STEAM 주제를 추출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적 내용 지 식형성과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신장 및 긍정적 또래문화형성을 하고자 하였다. RME이론을 적용한 수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는 기초학문인 수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느끼고 고민하게 하여 학생의 교과개념의 완전한 이해와 더불어 창의성을 신장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서 수학적 창의성과 STEAM교육의 연계방안을 찾아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를 선별하였으며 수 학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교육을 이루어 현실과 연결된 의미 있는 수학적 사고활동을 통 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이 이뤄지기를 바란다. 또한 4C-STEAM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즐거운 참여를 유도하고 탐구 및 토론학습, 소통과 협력의 수업, 더불어 남을 배려하고 규칙을 지키는 인성을 키우도록 하여 학생들 의 즐거운 배움 속에서 친구를 사랑하는 인성적인 면이 균형 있게 발달되리라 기대한다. 융합을 위해 고려할 점은 교과의 기본 학습 내용이 포함되면서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 는 소재를 찾아야 하며, 기초, 기본교육이 소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5학년 학생들에게 접목시킬 수 있는 4C-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박교식,김지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K-지도서≫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which were completed in that curriculum like ‘spatial relation’in geometric figure domain and ‘data collection’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to the contents of the 1st grade curriculum.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ents no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bu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hierarchy based on one of the curricula.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K-teacher’s manual book≫ obey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or no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ed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Fifth, it is necessary to handle the mathematics contents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 KCI등재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방정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5 No.3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분과 발표 :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

        오국환,권오남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3 No.2

        수학교육 공동체에서 공정성에 대한 논의는 점차 중심적인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Gutierrez, 2013). 이러한 가운데 수학교육에서의 공정성을 평등한 교육기회의 제공으로 해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수학교육을 통해 공정한 사회를 이루어가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비판적 수학교육`` 혹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라 불리는 연구가 점점 많이 나타나고 있다(Turner, 2003; Wager & Stinson, 2012). 해외에서는 이미 비판적 수학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현장연구, 교사교육, 철학적 논의 등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권오남, 박정숙, 오국환, 2013). 우리의 사회적 맥락에서도 공정성과 사회정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지만 아직 수학교육을 통해 공정성과 사회정의를 직접적으로 구현하려는 목적을 가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고,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연구 특성상 해외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 수학교육 연구로 우리의 요구에 대응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적 맥락에서 실시된 비판적 수학교육의 수업 사례를 연구한다. Gutstein(2003)은 Freire & Macedo(1987)가 논한 세계를 읽는 것(reading the world)과 기록하는 것(writing the world)의 구조를 발달시켜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는 비판적 교육의 목표로 사회정치적 의식의 발달, 사회적 주체로서의 감각 발달, 긍정적인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의 발달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수학과의 목표로는 수학을 사용해서 세계를 분석하는 것, 수학적 힘을 발달시키는 것, 수학에 대한 태도를 바꾸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을 통한 사회상황의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과제에 의해 제시된 사회적 상황을 분석하는 활동 속에서 학생들은 어떤 식으로 상황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지,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는지, 이렇게 알게 된 현상은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그 구체적인 장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이명희,백석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4 No.-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위하여 그 동안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수량적, 외형적 분석에서 나아가 의미론적으로 파악하고자 무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을 수학 교육 철학적 견지에서 파악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각 시기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나름대로의 수리 철학을 의식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내포하게 되고, 그 수리 철학을 배경으로 한 수학과 교육과정이 수학교육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이 학교 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배경이 되는 수리 철학의 철학적인 입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장인 수업 현장이 가지고 있는 사회학적 입장을 동시에 반영하게 된다. 수학교육의 수리 철학적 분석과 사회학적 분석을 조화롭게 이끄는 Ernest의 사회적 구성주의 중심의 수학 교육 철학적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20세기 중반 이후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을 파악해 보면 대략 진보주의(1차)에서 과학 기술적 실용주의(2차)로 그리고 구 인본주의(3, 4차)에서 진보주의 경향(5, 6차)으로 마지막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순서(7차)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aking a philosophical view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research, 1 will analyze not only th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ut also the past ones. There have been intermittently quantitative and external analysis so far to comprehe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ut, I thought we also need qualitative and internal comprehension and examined the curriculums through a philosophical analysis. Generally, mathematics curriculums at every period have their own mathematical philosophy consciously or tacitly. And, the school mathematics is the practice of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at mathematical philosophy. Mathematical curriculum reflects both the philosophical aspect in mathematical philosophy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and the sociological aspect in real-class that is the output of the curriculum. With this view, the logic of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an appropriate way that leads mathematical philosophical analysis and sociological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So, I comprehend the tendency of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through the philosophical views.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s mainly have the tendency from the Ideology of progressive educator (the first) to of technological pragmatist (the second), from that of old humanist (the third and forth) to progressive educator (the fifth and sixth), and lastly that of social constructivism (the seven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