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교육격차와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최영준 한국성인교육학회 201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3 No.4

        This study is try to understand the reason that hindered our social integration and the real condition of educational gap through the adult learners. Also, This thesis studied the solution to educational gap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level in our society. The method for study extracted random samples among 718 persons of adult learners who is being educat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result of study appeared the vocational inequality, the educational inequality and the income inequality as the reason that hindered our social integration. And our society has the seriousness of educational gap which include the gap of education result, education course and education opportunities. The solution for educational gap is the equa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expansion of free charge education, the national indemnities for poor school and the enforcement of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But most of the solu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hange and enforcement of educational policy in the na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adult learner can enforce the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without the national support and contribute to our social integration as the real solution of educational gap for social integration.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지금 우리사회의 통합을 가로 막는 요인과 교육격차의 실상을 파악했으며, 우리사회의 학력에 대한 의식과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격차 해소방안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국 20세 이상 성인 중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718명을 무작위로 표본추출 하였다. 연구조사 도구로 리커트 5단계 척도를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불평등 요인은 직업 불평등, 학력불평등, 소득불평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결과 격차, 교육과정 격차, 교육 접근기회 격차 순으로 우리사회의 교육격차가 심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육격차 해소방안으로는 교육시설의 균등화 방안, 무상교육 확대, 저수준 학교의 국가차원의 보상, 직업교육을 포함한 평생교육 실시 등의 순으로 적절하다고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위에 포함된 대부분의 해소방안이 국가의 교육정책 전환과 시행을 통해서 가능하고, 연구대상자인 성인학습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은 없는 것이었다. 반면, 직업교육을 포함한 평생교육의 실시는 성인학습자가 국가의 지원 없이도 직접 실시할 수 있고, 체험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격차 해소방안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리사의 전문화에 관한 고찰

        최영준 (사)한국조리학회 2007 한국조리학회지 Vol.13 No.3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whose purpose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for a cook to firmly establish his/her position as a profession in the society. In that respect, it analyzed how much a cook as a profession was professionalized by investigating whether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ficial license system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ethics code existed or not in relation to the prof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Korea, the cook as a profession was being supported by such institutions, license systems, associations and ethics code as mentioned above. This indicates that in this nation, cooks already have been moderately professionalized.

      • KCI등재

        수요 반응 시장을 위한 재사용 배터리 기반 ESS의 용량 산정

        최영준,진창완,김영호 대한전기학회 2023 전기학회논문지 P Vol.72 No.1

        This paper proposes the ESS capacity calculation method that reuses batteries after using electric vehicle. The capacity calculation method performs algorithms such as data analysis, electricity rates calculation, DR and peak reduction capacity calculation, profitability review, and ESS capacity calculation. The proposed method implements the algorithm with Python code and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calculated capacity and system stability by modeling the power system with PSCAD/EMTDC.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 관계 : 입상경력의 조절효과

        최영준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중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입상경력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한국중고등학교태권도연맹 대회에 참여한 학생선수 271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 조방정식모형 분석 그리고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의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 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입상경력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ze-winning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excercise adherence of secondary school Taekwondo student athletes. In order to verify, 271 students attended Taekwondo Championship were selected to conduct convenience sampl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PSS Window 23.0 Version and AMOS 23.0 programs. Moderating effect analysis compared free model and unconstrained model of each.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lf-efficacy had static influence to the excercise adherence.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 prize-winning did affect the secondary school Taekwondo student athletesʼ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실업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효과 분석

        최영준 한국은행 2024 經濟分析 Vol.30 No.3

        우리나라의 가계소비는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큰 거시경제 충격을 거치면서 비교적 크게 둔화된 후 이전 증가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고에서는 상흔 소비(scarred consumption)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는지 여부를 미시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과거 실업경험은 가계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의 충격이 실업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계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론은 우리나라에서 거시경제 충격 이후 장기적인 소비부진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Household consumption in Korea has not recovered from the previous increase after slowing down relatively significantly through major macroeconomic shocks such as the 1997 currency crisis and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scar consumption appears in Korea using micro-panel data. The finding is that the past unemployment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household consump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a long-term sluggish consumption after the macroeconomic sh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