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교육: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최의창 ( Eui Chang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2

        2008년 새로운 정부와 정책이 들어서면서 지향하는 새로운 교육비전과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학교교과의 지위가 재검토되고 있다. 체육교과는 이전의 수사와 논리를 재정비해보아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체육교육의 최고공헌으로서 그동안 주장해온 전인교육의 관점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의 역할과 공헌에 대한 이론적 논리와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이에 이 시점에서 체육에서 진행되는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통합적 관점에서 재조명해보려고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체육교과에서 그동안 정의적 영역이 어떻게 이해되어왔는지 간단히 살펴본다. 체육에서의 정의적 영역을 인성과 덕성의 범주로 재규정하고 이를 위한 교수 방법적 노력이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전반적으로 검토한다. 이 노력들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체육에서의 정의적 교육을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며, 통합적 접근의 개념적 특징을 알아본다. 체육 분야에서 통합적 접근을 배경으로 개발된 하나로 수업모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이 정의적 영역을 어떻게 함양시킬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세밀히 검토해본다. 이 같은 탐색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세 가지 점을 제시한다.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argued that many things can be achiev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representative argument is that physical education can contribute the education of whole person who are harmonious in mind, body and soul. However not many people approve the argument. The claim for whole pers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has become a hurricane in a tea cup. Recent policy developments in education support the importance of affective domain. It is time for physical educators to seek a clea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on the affective dimension. In this study, the definitions of affective domain are analyzed and their meaning in physical education are identified. The affective in physical education is redefined as the domain of morality and humanity. Different types of pedagogical methods for developing morality and humanity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o far a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four. The merits and pitfalls of methods in each category are scrutinized, and through the analysis the need of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teaching of affective domain is argu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ive approach are outlined. The idea of Hanaro Teaching model is introduced as an example. A review for the affective develop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Hanaro Teaching in middle and elementary schools is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 tasks needed to be resolved are provided.

      • KCI등재

        이해중심게임 학습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 교수학습 과정안

        이재무,김종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3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8 No.6

        This study attempte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bas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using a teaching game for understanding model apply it to actual classes, and finally to establish its learning effects. Although ICT is applied to curren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its use is mostly limited to the guidance of physical skills; its liaison with an instructional model is, as yet, very limited. I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can be provided with an effective and well-coordinated use of ICT with an instructional model, we believe that it will improve the efficacy of instruction and learning. We thus restructured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model and for an ICT application to physical education. We also developed ICT-based lesson paln. We then applied it practically to physical education and analyzed its effects with respect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truction process positively affected conceptual learning and the feedback aided learn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소외 여학생에 대한 하나로 수업 실천

        정영택,김낭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as a research on practical cases of underprivileged female student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s to search for plans to integrate thos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after applying the Hanaro Teaching Model, the responses and changes of students who have lacked physical education were observed. Six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year students of S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such as observation in classes, ope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ing, journal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 assignm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case recording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data, peer debriefing, associate or expert consultation, and the methods of triangul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practice of the Hanaro Teaching Model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start (lesson plan and teaching objectives)' and 'action (lesson contents, class management, and teaching methods).’ In particular, we consider a class in which alienated female students can gain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and provide positive feedback regarding the activities of students through indirect method of teaching. Secondly, there are three categories when it comes to responses and changes of alienated female students after applying hanaro teaching model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y are forming 'looking forward to physical education class' environment by performing a task at each student's level so that she can feel fun and excitement,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activities of Tao and Pae where students can share their abilities with others, 'happines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본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소외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실천 사례연구로서 체육소외 여학생을 체육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한대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하나로 수업 모형을 적용시켜 체육을 기피했던 학생들이 하나로 수업 모형 적용 후 어떠한 반응과 변화를 나타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남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여학생 6명을 선정하여, 수업관찰(참여관찰및 비참여관찰), 개방형설문지, 심층면담, 체육일기, 학생과제물 등의 질적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인사례기록과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자료의 신뢰성을 추구하기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및 전문가 협의, 삼각검증법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 여학생에 대한 하나로 수업모형의 실천은 시작하기(수업계획, 수업목표), 활동하기(수업내용, 수업운영, 수업방법) 로 진행되었다. 특히 활동하기에서는 소외 여학생들이 역할수행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수업내용을 고려하였으며, 수업방법적인 측면에서는 간접교수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둘째 하나로 수업 적용 후 체육소외 여학생들의 반응과 변화는자기 수준에 맞는 과제수행을 통해 재미와 흥미를 느낌으로써 ‘기다려지는 체육’으로, 터와 패의 활동에서 자신과 타인의 능력을 공유하는 관계로 인해‘긍정적관계’로, 교사와 학생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에 의해 ‘체육에서의행복’으로 범주화하였다.

      • KCI등재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연구 동향에서 드러난 성과와 과제

        박용남,정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로수업모형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체육수업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는 모형기반체육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로수업모형이 소개된 2001년 이후 현재(2017.08.30)까지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한 총 75편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은 모형 적용기(2001-2006), 검증기(2007-2010), 확산기(2011-현재)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연구주제, 출판 학회지 및 대학원,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유목화하여 특징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동향 데이터에 의거한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는 대안적 체육수업모형,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체육수업모형, 연구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체육수업모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또, 하나로수업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을 위해 성장통 역할을 할 수 있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과 편중된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향후 연구 과제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체육수업모형연구와 모형기반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의 강화와 한국형 체육수업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comes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further research task,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a model-based instruction which could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7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when this model was introduced and these 75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effective period(2001-2006), verification period(2007-2010), diffusion period(2011-ongoing), and each period’s tre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 journal/graduate school, researcher,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ith specific features. Based o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anaro teaching mode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ime,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study.  Furthermore, we have identified its further research tasks such as significances of critical research for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necessities of diverse research methods. Las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Korean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hich could train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 KCI등재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의 논리적 가정에 대한 검토

        최유탁,김영구,오현택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HOPE) was a significant theory in the domain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because of its alternative characteristics that substituted for the existing theories, a ripple effect and influence on domestic physical education, and independence from foreign the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gical assumption of HOPE from the viewpoint of metaphysics, epistemology, and axiology. First, the metaphysical ideas like 'soul' or 'a real image' that proposed by HOPE had a logical difficulty in that they were argued in a circle between ontology and epistemology. The 'level of using mind' that was a way to discover 'soul' or 'a real image' was in danger of producing a new version of mind and body dualism in physical education. Second, it would be need to review whether the emphasis on 'humanities-oriented knowledge' by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 and Hanaro teaching model was compatible in present reality of education. It would also be need to review whether the materials for 'humanities-oriented knowledge' could be helpful to obtain the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Third, it was believed that HOPE would estimate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from indirect sport experience, not from direct sport experience itself. It was believed that HOPE would overestimate the experience that could be expressed by language in direct sport experience. 인문적 체육교육론과 그것의 실체인 하나로 수업은 기존의 체육교육론들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 국내 체육교육계에 미치는 파급력과 영향력이 크다는 점, 국내 연구자와 교사들에 의해 개발되고 실천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문적 체육교육론의 이론적 가정에 대하여 형이상학, 인식론, 가치론의 측면에서 논리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첫째, 인문적 체육교육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포츠의 ‘정신’이나 ‘참모습’과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들은 존재론과 인식론의 문제가 순환적으로 반복된다는 점에서 논리적으로 난해한 개념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것을 밝혀내는 방법으로 제시된 ‘심법적 차원’은 심신이원론의 또 다른 종류가 될 위험성이 있다. 둘째, 인문적 체육교육론과 하나로 수업에서 중요시 하는 ‘인문적 지식’의 강조가 현재의 교육 현실에 적합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문적 지식의 자원으로 제시되고 있는 소재들이 과연 체육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인문적 체육교육에서는 체육교육의 가치를 ‘스포츠 체험’ 자체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체험을 통한 간접적인 스포츠 경험에서 찾고자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다른 방식의 체험 중 언어를 통해 표현되는 체험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예비 물리 교사가 수행한 전자기 교구 창작 활동의 교육적 효과 탐색 및 교수 모형 제안

        조광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3

        This study explored what kind of educational experience pre-service physics teachers had in the processof creating teaching aids for electromagnetism, and proposed an instructional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al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16 sophomores in th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participated in a semester long project to plan and conduct teaching activities, including creating teaching aids, toteach electromagnetism in physics. In this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realizedthat they did not know a particular concept, taught themselves how to understand it through the process makingteaching aids. In addition, they had an experience of looking at things around them as teaching aids and felt proud as they completed the making after much consideration and concern. The participants also learned the effects ofcollaborative activities and discussion method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sy explanations, and ultimatelyrealized that the end of teaching should b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Based on this activity data, the instructional model, called EDMA-PAD, was also proposed to experience the educational effectof making teaching aids. 이 연구에서는 예비 물리 교사가 전자기 교구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효과적인 교육적 활동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2학년 재학생 16명이었으며, 전공 전자기학 학습과 관련한 교구를 창안하고 실제로 제작하는 활동을 한 학기 동안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 물리 교사들은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인이 특정 개념을잘 알지 못함을 깨닫고, 알기 위해 스스로 학습하였으며, 교구를 만들면서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 교구 제작에 관심을 가지면서 주변 사물을 교구로 바라보는 경험을하였으며, 고민과 걱정 끝에 교구를 완성하면서 뿌듯함을느꼈다. 아울러 교수자의 관점에서 협업과 토의 방법의효과를 알게 되었으며, 쉬운 설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가르침의 끝은 학생의 이해이어야 함을 깨달았다. 또 이러한 활동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 겸 교수자의 관점에서 교구 창작 활동의 교육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EDMA-PAD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체육수업모형 중심 대안적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권영문 ( Youngmoon Kwon ),오수학 ( Suhak Oh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모형을 기반으로 한 대안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중등학교에서 활용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체육수업모형을 선정하고 문헌분석, 전문가 회의, 설문 조사 및 체육 교사와의 인터뷰가 진행 되었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 된 체육수업모형 중심의 대안적 평가도구는 동료 교수 모형의 개인 교사를 평가하는 도구이다. 평가 영역은 체육 교과의 심동, 인지 및 정의적 영역이며, 평가 요소는 과제시범, 의사소통능력, 과제 이해력, 문제해결능력, 지도책무성, 사회성으로 구성되었다. 각 평가 요소는 상, 중, 하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루브릭으로 제작되었으며 학생들 간의 동료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채점기준 예시, 평가 유의사항, 교사를 위한 실용지침이 제시되었다. 개인 교사 수행 평가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료 평가의 주요전제인 평가자의 객관성과 숙련성을 확보하기 위해 체육 교사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개인교사와 학습자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관찰과 유연한 지도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lternative evaluation tools focused on the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use in secondary schools, an instructional model was selected, literature analysis, expert meeting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nducted, and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 alternative evaluation tool centered on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s is a tool for evaluating tutors of the peer teaching model. The evaluation area is the core,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elements are composed of task demonstration, communication ability, task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ability,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sociality. Each evaluation element is made of rubric that can be evaluat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peer evaluation between students is possible. In addition, examples of scoring criteria for quantitative evaluation, evaluation not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were presented. Observation and flexible guidance of interactions that occur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utors and learners are required.

      • KCI등재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 탐색

        장경환(Kyung Hwan Jang),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을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수업모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이 체육 수업의 실천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교사지식의 분석을 위해서 Cochran-Smith와 Lytle(1999)의 ``지식-실천의 관계``를 이론적 틀로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로 수업을 1년 이상 꾸준히 연구하며 적용해 온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업관찰을 실시하고,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 분석의 결과, 형식적 지식으로는 하나로 수업의 목표를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 모델로써 인식하고 있다는 점,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네 가지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 운영의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핵심 요소인 터와 패를 교육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실천적 지식의 주제는 초등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실과 운동장을 하나로``, 하나로 수업 모형과 이외의 ``다양한 수업 모형과의 전략적 유대로``, 하나로 수업에 대한 기존의 ``오해와 비판을 이해와 긍정으로`` 등 크게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지식의 수준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천 모델로써 하나로 수업을 발전시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수업 모형을 넘어 하나의 수업 철학 및 새로운 렌즈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주제로 드러났다. 아울러 수업 모형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은 형식적 지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으로, 더 나아가 생성적 지식으로 연결되는 흐름 및 순환의 과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수동적 지식 활용자``에서 ``능동적 지식 생성자``로 전환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del-specific knowledge in Hanaro Teaching (HT)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n model and PE practice. Participants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n=3, 3 males) who have over a year of HT model implementation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lesson plans and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ree domains of H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Conceptions of Teacher Learning Framework (Cochran-Smith & Lytle, 1999). The framework conceptualizes teacher knowledge in terms of knowledge for practice, knowledge in practice, and knowledge of practice. First, knowledge for practice dimension in HT model implementation included: (a) the purpose of HT as a character education model, (b) perception of 4 basic structures of HT a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c)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Teo(i.e. learning station) and Pae(i.e. activity group) in terms of PE management. Second, knowledge in practice in HT implementation included: (a) classroom management as an extension of HT implementation, (b) building connection with other instructional models, and (c) transforming misconception on HT model into possibility. Lastly, knowledge of practice dimension included: (a) building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nd (b) understanding HT model as teaching philosophy and fresh lens for re-searching and re-viewing the elementary PE.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a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was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knowledge was developed progressively from knowledge for practice to knowledge in practice, and eventually shifted toward knowledge of practice.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role should be also shifted from passive knowledge user to active knowledge producer.

      • 메이커 교육을 위한 모방학습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이영호,구덕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Vol.9 No.1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은 메이커 교육과 접목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메이커 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반 메이커 교육에서는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주로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프로그래밍 언어와 피지컬 컴퓨팅 도구에 대한 기초 지식과 생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는 교육이 필요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 메이커 교육의 초기 학습자에게 적합한 모방학습 기반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소프트웨어 기반 메이커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 형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softwar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to a software-based maker education by combining it with maker education. In software-based maker education, physical computing tools are mainly used. In order to do software-based maker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have basic knowledge and base of think about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physical computing too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an imitation learning–based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early learners of software–based mak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software-based maker education to learners.

      • KCI등재

        Effect of Interactive Multimedia PE Teaching Based on the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Mingfeng Zhao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8 No.4

        As traditional ways of evaluation prove to be ineffective in evaluating the effect of interactive multimediaphysical education (PE) teaching, this study develops a new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simulated annealingalgorithm. After the evaluation subjects and the principle of the evaluation system are determined, differentsubjects are well chosen to constitute the evaluation system and given the weight. The backpropagation neuralnetwork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whose improvement indicates thecompletion of the evaluation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valuation model is highly efficient. Compared with traditional evaluation models, the proposed one enhances students’ performance in PE classesby 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