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체육에서 운동역학의 현실과 연구 활성화 방안

        이기청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4

        체육학에서 운동역학 및 초등체육 관련 운동역학 연구의 현실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운동역학회지, 그리고 한국초등체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3년(2012~2014)간 운동역학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연구 내용에 따라서 운동기술분석 44.5%, 측정 및 자료처리 38.4%, 상해관련 12.3%, 기타 10%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에 따라서는영상분석 60.7%, 근전도 10.9%, 압력판 9%로 나타났으며, 영상분석과 압력판을 이용한 연구(6.2%)와 영상분석과근전도를 이용한 분석(2%), 그리고 기타의 방법(15.2%) 등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2009~2014)간 초등체육과 관련한 운동역학 연구는 한국체육학회지 0.1%, 한국운동역학회지 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4.5%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은 운동기술분석(66.7%), 측정 및 자료처리와 상해관련(각각 16.7%)의 연구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영상분석 관련 연구가 대부분(83.3%)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운동역학 관련, 특히 초등체육에서의 연구가 미진한 이유는 연구여건의 미비, 전문 연구인력의 부족, 기초자료 부족, 그리고 연구대상자 확보와 통제의 어려움이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문연구 인력 및 실험실과 연구기자재의 확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편안한강의, 현장성 있는 연구와 함께 체계적인 분석 및 지도방법의 모색 등을 통해서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 and issues and to activating sport biomechanics research related to general sport science an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KJP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KJSB), and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KJEPE) were analysed. Based on analysis of biomechanics research in past 3 years, motor skill analysis(44.5%)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studies followed by measurement and data processing(38.4%), injury(12.3%), and others(10%) respectively in terms of content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s used in the studies were image analysis(60.7%), electromyogram(10.9%), and pressure plate(9%). There were also studies used both image analysis and pressure plate(6.2%), image analysis and electromyogram(2%) and others(15.2%). Based on analysis of biomechanics research in past 5 years related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t was shown in KJPE(0.1%), KJSB(6.2%), and KJEPE(4.5%). Research contents were motor skill analysis(66.7%), measurement and data processing, and injury(16.7%) respectively and most of research(83.3%) were used image analysis as research method. Reasons of the lack of research related to biomechanics, especiall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would be insufficiency of the research conditions, lack of professional researchers, lack of basic data, and difficulty of having and controling samples. Therefore, it should be make efforts to secure professional researchers, lab, and equipments, to make effective teaching created more interests about biomechanics, and to conduct research having more practically oriented along with systematic analysis and teaching method.

      • KCI등재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성기훈,남재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활성화를 위하여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 현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의 체육 연수 강사 4명과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 및 출석 직무연수를 모두 수강한 경험이있는 초등학교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문제점으로 단방향 의사소통의 한계, 학습자를 위한 개별화 방안의 부재, 놀이 및 게임 중심의 편중된 내용 구성, 원격 직무연수 고유의 한계적 특성,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에 대한 편견 및 홍보 부족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방향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마련, 전체 영역을 고려한 균형 있는 내용 구성, 연수 이수 과정의 철저한 확인 및 평가,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에 대한 편견 극복 및 홍보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and explore solution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four training lectur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 lec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program as of July of 2016. Also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with both distance and in clas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also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the nine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to b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blem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identified : the limitations of one way communication, the absence of individualized learning methods, the weighted composition of content towards play and game, the unique limited characteristics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the prejudice agains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 lack of public relations.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siders the following measures necessary : improving the interaction by two-way communication, providing programs that consider learners’ demands and levels, balanced composition of contents that consider the whole domain, thorough comprehension check and assessment dur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vercoming prejudices, and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체육교육학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

        장병권,김영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한국 체육교육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한국체육교육학회지」, 「한국초등체육학회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1,242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이 된 세 곳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최근 10년을 기준으로 한해 평균 120편(124.2) 정도이다. 둘째,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빈도는 초등학생, 체육수업, 신체활동, 체육교육, 초등체육, 초등학교, 체력, 자기효능감, 신체적자기개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결중심성이 높은 58개 키워드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체육~체육수업~참여~신체활동~체육교육~인식~수업만족도’, ‘체력~학교체육~ 학교스포츠클럽~뉴스포츠~운동참여~신체적자기개념~내적동기~정서’, ‘교육과정~인성~신체활동가치~체육과교육과정~인성교육~좋은수업~내러티브탐구~체육교과서’, ‘초등체육수업~초등교사~초등체육교육~표현활동’, ‘신체조성~신체구성~체격~자아존중감’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연구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른 향후 과제로는 첫째, 체육교육학 연구의 질적 성장과 내실화, 둘째, 연구 간의 협업과 융합, 셋째, 체육교육학 분야에서 키워드 네크워크 분석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analyze the trend of Sport Pedagogy research in Korea. 1,242 studies related to Sport Pedagogy from 2006 to 2015 were collected,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120 studies(124.2) on Sport Pedagogy were published annually.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ird, the main keywords were ‘elementary student’ followed by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activity,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physical self description.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f 58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physical education~physical education class~participation~physical activity~physical education~perception~class satisfaction’, ‘physical fitness~school physical education~school sport club~new sports~exercise participation~physical self description~intrinsic motivation~emotion’, ‘curriculum~character~physical activity value~physical education curriculum~character education~best practice~narrative inquiry~physical education textbook’,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lementary school teachers~elementary physical education~expression activities’, ‘body composition~physique~self-esteem’, a trend emerged showing keywords we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ask to undertake are qualitative growth and substantiality in Sport Pedagogy, cooperative work and convergence between studies, keyword network analysis is applicable to Sport Pedagogy.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정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2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체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동향 분석, 초등학교 체육 표현영역과 메이커교육의 관련성, 초등학교 체육 표현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가치와 방향 탐색을 연구 내용으로 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가치와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이커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Thinkering(발상) 과정과 제작, 공유의 과정이 표현 과정과 일치하여, 적용 가능성이 높다. 둘째, 표현 영역과 메이커 교육의 철학적 지향점이 유사하다. 두 영역은 공통적으로 주제 중심, 학습자 중심, 체험학습의 과정이나 경험 중시, 융합적 주제 제시 등의 원리를 강조하며, 독창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셋째,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 교육 방법은 메이커 교육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과 연관성이 높다. 따라서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가치는 충분하며,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 메이커 교육이 성공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창의적으로 움직임 표현 작품을 구상할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 제공, 다양한 움직임 원리, 표현 동작, 전문가 작품 등을 탐색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제공, 메이커스페이스 교실로의 변화, 다양한 소품과 음악 제공과 관리, 초등교사의 체육 표현 메이커교육의 전문성확보 및 메이커 활동 연구 지원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통해 결론은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의메이커교육은 미래 교육 중 하나의 방안으로 매우 적합하며 그 가치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체육 표현 영역에서의 메이커 교육 및 교사교육 확대를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초등체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와 정립을 위한 과제

        신기철(Shin, Ki-Cheol)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3

        초등체육은 학문인가? 이 연구는 이미 학문으로 인정받은 체육학 및 교육학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초등체육이연구 영역과 실천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성과가 과연 학문적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문제제기하는 동시에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후속 연구 및 담론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연구 대상과 연구 주체 차원에서의 특수성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체육학과 초등교육학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학문적 정체성 담론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또는 본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고 중요한 시점인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바탕으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발전 과제로 초등체육의 개념화 담론 확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화, 전문 도서 발간, 학문 후속세대의 육성 및 지원을 제안하였다. Is the primary(=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primary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a deep connection with sport science and pedagogy, which is already recognized as a discipline, has accumulated great achievements in research and practice, but at the same tim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se achievements can guarantee academic identity. It aims to promote follow-up research and discourse for establishment. To this purpos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the specificity of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subject was captured. And while examining the trends in academic identity discourse that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sport science and primary pedag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explore the academic identity or essence. Based on this exploration, as development task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is proposed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characterizing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publishing specialized books, and fostering/support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 KCI등재

        초등체육(연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제언 : ‘초등체육적인 것’, ‘유소년 스포츠/여가’, ‘아버지 역할하기’의 주제를 중심으로

        서재철,양광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초등체육(연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제언으로 ‘초등체육적인 것(혹은 현상)’에 대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실천하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유소년 스포츠/여가’와 ‘아버지 역할하기’의 주제를 소개하고제안하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다룬다. 첫째, ‘초등체육’과 구별되는 ‘초등체육적인 것(혹은현상)’의 의미를 개괄하고, 학문적 실제로서의 초등체육(연구)가 ‘초등체육’ 자체만을 연구하는 것을 넘어 ‘초등체육적인 것’까지 아우르는 것의 비전과 가치를 서술한다. 둘째, ‘유소년 스포츠/여가’의 출현과 성장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의와 중요성을 요약하고, 이를 ‘초등체육적인 것/현상’으로 전유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셋째, ‘유소년스포츠/여가’의 현실을 구성하는 하나의 현상/실제로서 ‘아버지 역할하기’의 주제를 소개하고, 그것의 출현과 관련된 배경, 담론의 형성, 기존 연구의 지형 등을 요약/정리한다. 이상의 내용들을 종합하여 결론에서는, ‘유소년스포츠/여가’와 ‘아버지 역할하기’의 주제를 왜 초등체육(연구)의 시각, 입장,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고또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구체적인 연구 방향성에 대한 몇 가지 제안들을 제시하며 마무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for a m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tudy of Kore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domain of youth sport/leisure and the theme of fathering through sport/leisure. To facilitate this point, mainly three things are detailed: 1) to assert why the stud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needs to be broaden its horizons with an embracement of academic interest to the reality outside the public sphere of schooling sport or physical education, 2) to discuss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the growth of youth sport/leisure as a symbolic phenomena that accounts for physical education, and 3) to introduce the theme of fathering through sport/leisure with focus on how it emerged as a sporting cultural phenomena and map its backgrounds, discourses, and previous researches. In conclusion, it will be highlighted why youth sport/leisure and fathering might need to be seriously embraced into the study of Kore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with mainly four points.

      • KCI등재

        초등학교 한국춤 내용요소 분석 및 과제 탐색 -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미숙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포함된 한국춤의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고취시키기 위한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대한 내용분석 및 문헌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표현활동 중 한국춤과 관련된 내용요소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을 주되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초등무용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한국춤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표현활동은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표현, 주제표현으로 구분되었으며, 한국춤은 5~6학년군, 민속표현 중영역의 신체활동 활용 예시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교과서에 가장 많이 포함된 한국춤관련내용은 소고춤, 탈춤, 강강술래의 기본동작을 익히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시기의 한국춤 교육은 무형문화재를 통한 우리나라 전통문화교육 장려, 유년기 조기교육을 통한 공연문화예술 인식 확대 등의 의의를 지닌다. 그러므로초등학교 무용교육과정에서의 한국춤의 교육적 의의를 고취시키기 위한 과제로서 한국춤의 전통적인 부분과 창조적 계승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선정, 새로운 작품의 발굴과 선정, 한국춤 교육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future task of Korean dance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PE curriculum and textbook. Through the content and theoretical analysis, I classified content elements related Korean dance. And I figured out the meaning of Korean dance and suggested future task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Results are as follow. The expressive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consists of movement expression, rhythm expression, folk expression, and theme expression. Korean dance intensively distributed in 5~6 grades and folk expression area. The main contents of Korean dance are Sogochum, Talchum, and Ganggangsullae. Based on the results, I proposed some suggestions and research ideas for the quality da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초등체육 발전을 위한 체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옥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체육학의 분과 학문에서 이루어진 초등체육 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초등체육 발전을 위한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초등체육학회지』와 『한국체육학회지』에 출판된 논문 중에서 만 6-12세 아동의 학교체육, 생활체육, 전문체육 참여와 관련된 연구, 아동의 체육 활동과 관련된 일을 수행하는 예비교사, 현직교사, 코치, 스포츠 강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체육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스포츠 교육학 분야의 연구는 이미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체육사·철학 (3편), 스포츠 사회학(41편), 스포츠 심리학(101편), 운동발달 및 운동학습(19편), 운동역학(9편), 운동 생리학(88편)의 여섯 개 분과 학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초등체육의 연구는 아동에 ‘관한’ 연구가 지배적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아동과 ‘함께’ 하는 연구 또는 아동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 주제의 중복성을 극복하기 위한 주제의 다양성 확보, 연구 문제 중심의 다학문적 협력 연구를 지향하는 통합 학문으로서의 초등체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및 위상 확립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엄우섭,한은상,이정택,차민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기피 요인 파악,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적용 이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기피 요인을 파악하기 위 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기초 설문지를 작성하여 활용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도선(2010)의 체육수업 내적 동기 척도, 하명남(2007)의 체육수업 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결과는 빈도분석 및 독 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은 실패에 대한 두 려움, 다른 학생의 시선, 남학생 중심의 활동, 더운 날씨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체육활동을 기피하고 있었다. 둘째, 일관되고 체계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책임감 모형을 기본 모형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 조사 및 교 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전략을 적용하여 여학생 체육 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초등학교 5~6학년군 경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결과 체육수업 내적동기 검사는 ‘재미/노력’, ‘유능감’ 측면에서, 체육수업 만족도 검사 결과는 ‘수업’, ‘효과’, ‘평가’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 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프로그램 전략 중 ‘활동 구성 시 학생의 참여 확대’, ‘과제 지향적 수업 분위기’, ‘다양 한 신체활동가치의 교육 내용 편성’ 등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유도를 이끄는 주요 동인임을 논의하고 차 후 프로그램 개발 시 주요한 고려 사항임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focuses on the participation of female students in physical activities within elementary schools and its effect as the research goal.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the study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in these three ways which were to understand reasons for why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ould avoid physical activities, to develop the program, and to apply the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As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to figure out what makes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void physical activities. After meetings with experts, the study created a basic questionnaire.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tudy extracted the effects using the P.E. class intrinsic motivation scale and the P.E. class satisfaction scale used by YOO(2010) and HA(2007)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gain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t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various factors such as fear for failure, gazes of other students, activities that feel mostly favorable to male students only, hot weather and others turned out to keep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way from the physical activities. These findings led the study to confirm that th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cusing on how to resolve such problems. Second, to develop a coherent and organized program, a responsibility model was chosen as a basic model. And based on the results deducted from survey and curriculum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5th-6th grade cluster competition activities program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femal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gard to the test on the intrinsic motivations for P.E. class, the study noticed positive changes. In these factors, ‘fun/effort’ and ‘competence’. And as for the other tes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P.E. clas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other factors such as ‘class’, ‘effect’ and ‘evalu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expansion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activity organization’, ‘task-based class atmosphere’, ‘education contents about various value in physical activity’ and etc were key factors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female students and suggests that these are significant considerations for later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체육과 교사교육

        김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핵심역량 기반 교육체제에서 초등예비교사가 체육교과를 잘 가르치기 위한 역량은 무엇이며, 그러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실태분석에서 드러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등체육교육의 관점 재조명으로써 첫째, 초등교육이 발달단계를 고려한 순차적인 교육으로써 중요하듯이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 또한 ‘순차적인 교육’으로써 초등체육교육이 되어야 하며, 둘째, 교사교육의 지배적 관점인 ‘기술적 합리성’의 비판적 접근으로써 ‘실천적 지식 습득’으로의 초등체육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새로운 관점에 따라 초등체육교과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천적 지식 습득을 위한 교사교육이 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셋째, 핵심적인 내용으로의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takes an in-depth look at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capabl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at the curriculum that fosters such capabilities. For this,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for pre-service teachers at education college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includes a reflection on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t could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which were revealed by the analysis. Firstly, the development stage is significantly considered for elementary education. Also,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needs to implement sequenti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ly,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hould implement as a critical approach practical knowledge acquisition with technical rationality, which is a dominant perspective in teacher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irstly, teacher education should aim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Secondly, teacher education should embrace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Thirdl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mposed of cor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