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와 부모역할 만족도-부모참여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혜순,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involvement,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analyzed how the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impacted on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o perform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parents’ involvement was high on in regards to communication part, and relatively low in the regards to decision-making part. The higher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 higher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 involvement at a child care center a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lso,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overall parental rol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 현황을 살펴보고,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 및 부모참여 만족도가 이들의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어린이집의 유아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어린이집과의 의사소통 부분에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와 부모참여 만족도 및 부모역할 만족도의 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부모참여 만족도를 매개로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부모의 학업지원이 지능에 대한 변화신념과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계 구조 모형 검증

        이소희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0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doing s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with which framework for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ndirect parents' involvement, emotional parents involvement, direct parents' involvement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2)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affected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n order. 3) Goal orientation had the largest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and the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predicted self-regulated learning directly, and predicted self-regulated learning indirectly via goal orientatio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had larger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via goal orientation than the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alternatives for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업지원행동이 지능에 대한 변화신념과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여 가설 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적인 관련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학업지원행동의 하위 변인 중 간접지원, 정서적 지원, 직접 지원 순으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업 지원은 성취목표 지향성, 자기조절학습,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총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성취목표지향성, 부모 학업지원,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학업 지원은 자기조절학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취목표지향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 또한 자기조절학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성취 목표지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 지원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을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배지희,조미영,봉진영,김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경험한 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참여의 유형과 내용이 무엇인지, 비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참여의 유형과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에 어떠한 형태의 부모교육 및 참여를 기대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들은 자녀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모참여 수업과 참관, 자녀양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강연회 및 워크샵, 모든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단위의 활동, 자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사와의 면담, 그리고 자녀의 생활이 담긴 대화장을 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참여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들은 부모의 관심과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오리엔테이션, 지식 전달 위주의 강연회, 형식적이라는 느낌이 드는 활동, 그리고 부모와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일방적인 홈페이지와 가정통신문을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부모들은 부모와 유아가 계획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부모참여, 다양한 가족형태를 고려하는 부모참여, 부모들 간의 친목과 교류가 이어질 수 있는 부모참여, 그리고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거나 멘토링 형식으로 진행되는 부모교육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arents' lived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parent education and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were implement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n effective or ineffective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and their expectations for future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parents of young children perceived activities involving parents and children together, workshops focusing on practical information regarding child rearing, activities for all family members, parent-teacher conferences, and not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effective ways of parent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s, parents mentioned orientation sessions that fail to meet their needs, parenting classes that focus on theories without making connection to practices, activities with excessive adherence to formality, and websites and periodical notes that disable two-way communication as ineffective ways of parent involvement. Parents of young children wanted opportunities to carry out more active roles in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stead of being passive participators. They also requested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that are more responsive to diverse family situations and that facilitate long-term relationships among parents.

      • KCI등재

        지식 자본 이론(Funds of Knowledge)이 국내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 논의에 주는 함의 :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은혜,임고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unds of knowledge theory’(hereafter, FoK theory) in the context of parent involvement and to investigate what implications this theory can give to Korean parents’ school involvement, particularly,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 total of 82 kinds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in Korea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o derive its features and limitations in the aspects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discussion about Kore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First, special parents excluded from the equal participation discourse in educational communities; Second, emphasis on operational participation rather than education; Third, overlooking the collaborated effort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parents’ participation. Additionally, in the case of FoK Theory, it was characterized by the three perspectives; provid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alienated parents, emphasizing empowerment for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Consequently,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cluded how FoK Theory could give indications for the discussion about Kore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in three ways: the expansion and empowerment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s’ parents, the practical efforts for extending the range of parents’ involvement, especially, aiming to more educational involvement, rather than operational involvement, and finally the need of mutual understanding and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academic growth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부모 학교 참여의 맥락에서 지식 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재조명하고, 이 이론이 국내 학부모의학교 참여 논의 중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방법으로 국내 학부모 참여 관련 선행연구물 총 82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 학부모 참여 논의의 특징과 한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부모 참여 관점에서지식 자본 이론의 내용과 특징을 검토한 후에, 지식 자본 이론이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에서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들에대해 주는 시사점을 학문적,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의 특징 및 한계로는첫째, 교육공동체의 동등한 참여자 담론에서 배제된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 둘째, ‘학교 교육’보다 ‘학교 운영’ 참여의강조, 셋째, 학부모 참여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 간 공동의 노력 간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지식 자본 이론의 경우첫째, 주변화된 학부모를 이해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 제공, 둘째, 학부모의 능동적인 학습에의 참여를 위한 임파워먼트강조, 셋째, 교사-학부모 관계 및 소통의 중요성 제고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이 세 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지식 자본 이론이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첫째,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에 대한 이해의확장 및 임파워먼트, 둘째, 학부모의 참여 범위 확장을 위한 실천적 노력으로서 ‘운영’보다 ‘학습 및 교육’에의 참여를도모하는 것, 셋째, 학생의 학업적 성장을 위한 교사-학부모의 상호 이해 및 파트너십의 필요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에 대한 연구

        강영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nowadays.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outcomes of parental involvement. Based on this, This paper discussed the identity of Christian parents in Korea and presented the goals of Christi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of Christian parent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ways for Christian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in a variety of ways to influence the core work of the school, such as school operations and education. The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face-to-face meetings with teachers, volunteering, parent education, and School Operating Committee, but not in a passive manner as the school requires, but in a way that embodies Christian values ​​or the public good. Christian parents should strive to create a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and actively implement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in a local community. The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ecosystem can be a good environment in which all children, especially the children of marginal groups, learn and grow in a healthy way. To this end, Christian parents need to find a way to collaborate with other local organizations and agencies in order to make fundamental changes, as well as to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mainly literature review. Howe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parents in school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for Christian teachers and parents was conducted.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점차 중요성이 더해지는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를 기독학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그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개념을 살펴본 뒤 학부모참여의 배경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독학부모의 정체성을 논의하고 그들의 학교교육참여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 중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것들을 참고하여 기독학부모들의 바람직한 학교교육 참여방안을 살펴보았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운영이나 교육과 같은 학교의 핵심 업무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교사와 면대면 만남, 자원봉사, 학부모교육, 학교운영위원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되 단순히 학교가 요구하는 대로 수동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가치 혹은 공공선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에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하고, 지역사회에 건강한 교육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적극적인 실천을 해야 한다.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와 교육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모든 아동들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들에게 건강한 배움과 성장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학부모는 교회와 지역사회의 교육자원들을 발굴하여 학교와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핚교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다른 기관이나 시민단체들과도 협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였고,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 교사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 개발

        김영희,이규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involved program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ger control ability, and verify its effec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overseas programs for anger control, and designed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comprising 11 stages of inquiry research, setting up program targets, structural elements extraction and content selection, setting up session targets, program presentation strategies, program content actualization, professionals’ validation processes, preliminary program implementation, final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is study performed the anger scale for elementary 5th grade 198 students and selected those students who obtained the score above an average of the total score (M=97, SD=17.9) and their parents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is study randomly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includ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10 children and 10 sets of parents, the control group of 10 children and 10 sets of parents, and the comparison group of 10 students only. This study conducted 12 sessions of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wice per week.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pre- and post-tes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arent-involved program for enhancing anger control ability), the comparison group (program for enhancing anger control ability),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right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and conducted afterward-test six weeks after the program termin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le the comparis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children’s anger level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t the time of the post-test, and retroactive status in the afterward-test, the experimental group turned out to keep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the post-test and in the afterward-test. As for the anger expression types of children and par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change than the comparison group. It is suggested tha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parent variables for anger control as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ent-involved with children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higher effect on enhancing elementary students’ anger level,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anger expression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parents than the comparison group of children only di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요구조사, 프로그램의 목표설정, 구성요소 추출 및 내용선정, 회기목표 설정, 프로그램 제시전략, 프로그램 내용 구체화, 전문가 타당화, 예비 프로그램 적용, 최종 프로그램 적용, 프로그램 효과검증의 11단계로 구성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로 구안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분노척도를 실시하여 전체 득점의 평균점수(M=97, SD=17.9) 이상인 학생과 그의 부모이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아동과 부모 10쌍씩, 아동만 참여하는 비교집단에 10명을 무선배치하여 세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주 2회, 12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 비교집단(분노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 통제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직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은 아동의 분노수준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서 사후까지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추후에서는 회귀현상을 보인 반면, 실험집단은 사후, 추후까지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아동과 부모의 분노표현 양식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연계 실험집단이 아동단일 대상으로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초등학생의 분노수준, 부모-자녀 의사소통, 초등학생과 부모의 분노표현양식을 향상시키는데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분노조절을 위한 부모변인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부모 간 사회관계망이 자녀교육 관여에 미치는 영향

        신혜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parents' social networks with other parents are associated with three dimensions of parent involvement, including a) participation at children's school related activities, b) homework monitoring and supervision, and c) family rule. The subjects were 4461 nationally representative mothers and fath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who exchanged resources more frequently with other parents, showed higher levels of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education across home and school. The network size had no relationship with home-based involvement ye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based invol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 involvement be promoted both at home and in school by increasing parents' network size and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parents. Analyses also showed that parents' social networks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parent involvement, bu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Parents’ social networks with other parents appear to have indirect impact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by affecting parent involvement behavior. 본 연구는 학부모가 타 학부모와 맺는 사회적 관계가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관여하는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부모의 배경, 자녀의 특성, 부모의 사회관계망, 부모의 자녀 교육에의 유형별 관여 수준, 그리고 자녀의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1차년도 중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자녀 학교의 교내활동 참여, 학업 및 생활지도, 가정규율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타 학부모와 자녀 교육과 관련하여 정보, 도움, 호의를 교류한 경험이 많은 부모일수록 자녀의 특성이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가정과 학교 모두에서 자녀의 교육에 더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타 학부모와 맺는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가정 중심 교육관여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교 중심 교육관여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 간 사회관계망의 양적·기능적 활성화가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한편, 학부모 간 사회관계망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부모 간 사회관계망의 특성이 자녀의 성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부모의 교육적 관여 행동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간접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부모 참여에 대한 고찰

        황수진,하승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발달장애아동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치료실과 가정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뇌성마비와 같은 만성적인 장애로 신체적인 운동장애뿐만 아니라 감각장애, 언어장애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중복장애의 경우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부모 참여에 대한 지원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 4명과 재활치료 전문가를 3명을 대상으로 재활치료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경험과 개선사항 등을 주제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결과 2개의 범주에서 총 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가족치료를 통한 부모 참여: 가정에서의 지속적인 연습, 전문가와 상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가족치료의 어려움, (2)장애아동 부모단체 활동을 통한 부모 참여: 정서적지지, 정보 공유, 지역사회와의 협력, 장애아동 부모단체 활동의 어려움. 재활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부모 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족치료를 위한 전문가들의 지지와 장애아동 부모단체를 통한 통합적인 사회적인 지지가 제안되었다. It is important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treatments.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parents’role at home should be emphasized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a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that had a physical disorders as well as disturbance of sense, and speech-language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port of parents involvement that helps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rehabilitation treatment. 4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3 rehabilitation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Two primary themes and eight sub-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Parent involvement through family therapy: continuous practice at home, professionals counseling,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the difficulties of family therapy, (2) parents involvement through parents' association with the disable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haring,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the difficulties of parents' association with the disabled. We suggest that parents need a professional supports from rehabilitation specialists and social supports by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ssociation for effective parents involvement.

      • KCI등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관계

        이영광,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ir children perceived by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ch typ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To this end, a sample of 418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ir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parents lack of involvement type, mother support type, parents support type, parents average involvement type, and parents active involvement type. Next, the results of a one-way variance analysis among each typ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the parents excessive involvement type and the parents support type,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pen communication level was high, and in the case of the parents intervention type, the level of closed communication was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e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을 구명하고 각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 간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418명의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은 부-모 관여 부족형, 모 중심 심리 지지형, 부-모 지지형, 부-모 평균 관여형, 부-모 적극 관여형의 다섯 개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각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 간 일원분산분석 결과, 부-모 적극 관여형과 부-모 지지형의 경우,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개방형 의사소통이 높았고 부-모 관여 부족형의 경우 폐쇄형 의사소통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고정화,유형근,조용선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user group with potential risk of addiction to gam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tendency of game addic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First, how should the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designed in order to prevent school students from being addicted to games? Second, what effects does the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hav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ncy of gam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th and 6th graders at Y Elementary School in J City, and the user group with potential risk of game addiction were selected us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Kim Byeong-Gu et al.(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s 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endency of game addi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ntents as we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program. This suggests that the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am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contr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ying of games and maintain the controlled state for a long time, and by doing so, it can be used to prevent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game addi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 하는가? 둘째,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경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의 과정을 거쳤으며,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게임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게임인식,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의사소통방식, 대체활동 등의 5가지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전북지역 소재 Y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 게임 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9명으로 구성하여 주 2회기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아동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김병구 외, 2006)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게임 중독 경향성과 게임 중독 하위요인인 내성과 통제력 상실, 금단과 정서경험의 점수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게임중독 예방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