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차봉은,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check the operation of medical school curriculum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of medical school educa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from Sept. 18, 2018 to April 5, 2019. The initial questions were based on the ASK2019 certification standard from the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Medical Curriculum, and the questions were sorted out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model of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lphi survey, the context evaluation, the first stag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may include two factors: demand analysis and goal setting, and 11 assessment questions, while the second stage, Input evaluation, was evaluated with 29 questions and three factors: education oper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third stage, Process Evaluation, was organized into three factors: curriculum operation, education operation support, and 22 assessment questions, and the final stage, Product Evaluation, was compiled into three factors: student’s capacity, Professor’s capacity, and reflux system, and 13 assessment questions. 본 연구는 의과대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을 점검하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조사는 2018년 9월 18일부터 2019년 4월 5일까지 3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초기 문항은의학교육 관련 문헌과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ASK2019 인증기준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교육과정) 평가모형인 CIPP 평가모형의 단계에 따라 문항을 정리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CIPP 평가모형의 첫 번째 단계인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는 요구분석과 목표설정이라는 두 가지 요인과 11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두 번째 단계인투입평가(Input evaluation)는 교육운영계획 및 구성, 교육지원체계, 학습환경 이라는 세 가지 요인과 29개의 평가 문항으로정리되었다. 세 번째 단계인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는 교육과정운영, 교육운영지원, 학생평가라는 세 가지 요인과22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마지막 단계인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는 학생역량, 교수역량, 환류체제라는세 가지 요인과 13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다.

      • KCI등재

        성인 및 재직자를 위한 대학학위과정 운영 실태분석: 이해관계자 인식을 중심으로

        임영희 ( Lim Young-hee ),심현 ( Sim 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성인 및 재직자를 위한 대학학위 평생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성인 및 재직자의 대학학위과정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일반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둘째, 재직자를 위한 대학학위과정의 직업기초소양 및 전공지식 기술 역량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비교하였으며, 셋째, 성인 및 재직자를 위한 대학학위과정의 교육 운영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서 첫째, 평생교육이해관계자 모두는 재직자 및 성인학습자들의 대학학위과정 참여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학위과정 참여 목적으로써 전문성 신장 및 직무관련 전문능력 향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둘째, 평생교육이해관계자들은 재직자 및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학위과정 운영에 있어서 의사소통, 자기개발, 대인관계, 정보활용 등의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셋째, 평생교육이해관계자는 대학학위과정 교육운영에 대하여 주중야간 및 주말을 병행하는 강의시간, 오프라인 및 온라인 병행하는 수업형태, 이론사례 및 실습을 병행하는 강의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평생교육활성화 정책은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학과 및 학부 중심의 단과대학 설립 및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예산지원뿐만 아니라 성인 및 재직자의 학습요구에 맞는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 블렌디드 러닝 등 다양한 학습형태들이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on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degree lifelong learning curriculum for adults and workers. And try to explore the implications.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dults and workers analyze the general perception of stakeholders on university degree courses.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degree program,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skills. Second, stakeholders in lifelong educatio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for adult & workers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degree programs. Third, we compare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bout the operation of university degree programs for adults and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stakeholders of lifelong education recogniz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university degree program of incumbents and adult learners. Second, lifelong education stakehold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 - 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degree programs for workers and adult learners. Third, the stakeholders of lifelong education prefer the lecture time, offline and online parallel class format, theory, case, and lecture in parallel with weekday night and weekend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degree cour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that can be provided by various types of learning such as flexible curriculum development and blended learning that meet the learning needs of adults and workers.

      • KCI등재

        대학에서 ‘소비자-학생’ 접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In these days, the approach to 'consumer(or customer)-student' in university is a leading education policy of a majority of countries. Regrettably, the Korean researchers pay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hallenging today's tendency towards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For that reason, by examining how the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can affect th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by examining educational problems underlying premises of consumer-student, I hope to show what are the limits and difficulties of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I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I explored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of the approach of consumer-student and the nature of consumer-student.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what negative consequences the approach could have. The approach results in grade inflation, populism, poor academic standards,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and excessive invest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 in turn what wrongs is made in the logic premises that justify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Ultimately, the spread of consumerism in university could produce 'pedagogy of discomfort', short-sighted student choice, passive learner, and a decline in educational quality. Therefore, we need to re-change the language of the market, such as consumer, to language of education in the education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로 학생을 규정하는 것이 대학교육에 어떤 문화를 조장하고 있고, 어떤 문제를 야기할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 배경과 소비자-학생이 보이는태도를, 3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이 대학사회에 어떤 문화를 조장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소비자-학생접근이 야기하는 문제가 무엇일 수 있는지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교육을 상품이자 개인의 소비 대상으로 규정하는 시장 논리와 총체적 품질 관리 같은경영이론을 교육에 적용하면서 대세로 등장했다. 둘째, 소비자-학생은 자신의 소비자 신분을 권력관계의 이동으로인식하는 한편, 학점, 시간표 같은 요소를 교수와의 흥정이나 타협의 대상으로 여긴다. 셋째, 소비자-학생 접근은학점 부풀리기, 인기 영합주의, 학업과 학문 기준의 저하, 계약관계의 성립, 교육 시설의 치장 같은 문화를 대학사회에 조장해왔다. 넷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옹호자들의 기대와 달리 교육의 관점에서 다음의 문제를 불러올 수있다. 쉬운 교육은 교육의 본질에 내재된 고통, 괴로움, 불편의 미덕을 제거하며, 불편의 교육을 조장할 수 있다. 자율적인 선택은 시장의 규칙을 모르는 소비자-학생들을 선택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게 할 위험이 있다. 그 선택은또한 근시안적 관점에서 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항상 “옳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선택은 어떤 편향에 기댈수 있다. 소비자로 대접받기를 원하는 소비자-학생의 태도는 학생들의 책임감 부족을 불러오고 그들을 수동적인학습자가 되도록 만든다. 결국, 소비자-학생 개인의 이익과 요구, 선호도에 따른 선택의 결과는 대학 교육의 질 향상에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교육의 질을 단기적인 가시적 성과에 기초하는 것은 오히려 대학 교육의 내실을 다지는데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결과는 소비자로 학생을 비유하는 것이 오히려 교육 성과를 떨어뜨릴 수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교양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김진규,박영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general education on develop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virtues. The subject-linked character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general eduction course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during 1st semester in 2018 school y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 college students in K University in Kyonn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38 items to measure 4 character virtues (cooperation, communication, citizenship, tolerance). The on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on, citizenship and total score of character virtues. In conclus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liberal arts education on developing the character virtues for college students. For further studies we suggest; (1) relative comparison study among various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 and (2) implementation of validation studies for character measurement tools for college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을 설계·실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교양강좌 수업을 주관하는 교수자가 연구진과 협동으로 교양강좌와 연계된 인성교육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을 개발하여2018년도 제1학기 대학 교양강좌에 적용하였다. 경기도 소재 K대학교 1∼4학년 41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강좌 수강절차에따라서 강좌에 등록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인성검사는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을 측정하는 38문항으로구성되었다. 자료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에서 덕목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종속표본 t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양강좌와 연계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과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였다. 둘째,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의 사전과 사후 검사의 차이점수에서 협동과 시민성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지만, 소통과 배려의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성 덕목의 종합점수의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 = 2.62, p < .05)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교양교육과연계된 인성교육은 대학생들의 인성개발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후속연구의 주제는 교양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인성 덕목을 연계하는 교양교육의 개발과 실천, 대학의교직과목을 포함하는 전공과목과 연계된 인성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천,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독일 대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정기섭 ( Ki Seob Ch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독일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대학의 역할에 대한 논의, 이와 관련된 독일에서의 논의, 그리고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21세기 대학은 연구와 교수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에 기초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과제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발굴하고 교육방법적인 노하우를 축적하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의 교원양성과정과 교원연수과정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도입되고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이 있는 강의와 연구프로젝트의 목록을 만들고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특별한 대상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교육이기 때문에 외국 유학생을 포함한대학구성원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가능 발전교육 프로그램개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Das Haupt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BNE) auf der Hochschulebne in Deutschland zu behandeln und daraus die Implikationen fuer koreanische Hochschulen herauszuziehen. Dafuer beschaeftigt sich diese Arbeit zuerst mit dem internationalen Dikussionsstand ueber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und Aufgaben der Hochschulen. Und beschaeftigt sich diese Arbeit mit dem Diskussionsstand ueber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und Aufgaben der Hochschulen in Deutschland, dann mit Beispielen an der Leuphana Universitaet Lueneburg und Katholische Universitat Eichstatt-Ingolstadt. Aus dieser Arbeit werden die folgenden Bedeutungen gezogen: Erstens, Uni. soll eine Aufgabe uebernehmen, durch Bildung und Forschungen die Erkenntnisse ueber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zu erweitern. Zweitens, Uni. soll versuchen, Inhalte der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zu erschliessen und Methoden zuentwickeln. Drittens, Uni. soll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in die Lehrerausbildung und -weiterbildung einbeziehen. Viertens, Uni. soll das Netzwerk zwischen Universitaeten im Inland und Ausland aufbauen. Fuenftens, Uni. soll Veranstaltungen im Zusammenhang mit BNE fuer die Beschaftigte an der Uni.und Einwohner einschliesslich auslandischer Studenten anbieten.

      • KCI등재

        독일 환경교육(Umweltbildung)에서 평생교육의 방향성 탐구 : 환경교육 발전과정과 베를린 시민대학(Volkshochschule)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주현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study examined how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integra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actic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Third, what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ducted at citizen university (Volkshochschule), a Germa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content analyses and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based on hermeneutic research. German literatur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Germa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d 12 citizen universities (Volkshochschule) in Berlin were selected as examples. Regarding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n be presented. Firs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normaliz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links environmental agenda and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by local communities. Second, in the social aspect, based on the social coexistence of human beings, education, and society as a whol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m organ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mutually connected system. Third, in terms of programs,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be more life world -oriented, nature conservation-oriented, health-oriented,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and world-oriented. 본 연구는 평생교육 현장에 환경교육이 어떻게 통합되어 실천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평생교육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환경교육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영역에 환경교육이 통합될 수 있는가. 둘째, 독일 환경교육의 발전과정과평생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한가. 셋째, 독일 평생교육기관인 시민대학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와 연구목적을 위해 해석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내용분석 방법과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독일환경교육 내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 문헌을 수집하여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과정을거쳤으며, 베를린 12개 시민대학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방향성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대응에 기초한 환경 아젠다와 사회환경교육을연계한 환경교육의 일상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인간과 교육 그리고 사회 전체가 사회적 공존에 기초하여통합적 관점에서 평생교육, 환경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어 상호연계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측면에서 환경교육이 추구하는 생활세계 지향, 자연보호 지향, 건강지향, 자연과학과 기술지향, 세계지향으로 확장해야 한다.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타당화

        차봉은,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developed in the first study as a second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step in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Context evaluation index, did not produce any modifications to the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questions. The second step, Input evaluation, was modified from three existing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The third step, Process Evaluation, was also modified from three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Finally, the product evaluation index was modified from three factors to two factors without deleting the assessment questions, and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was organized into 69 evaluation questions of eight factors, ensuring its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compil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as .96, the input evaluation index was .97, the process evaluation index was .96, and the calculation evaluation index was .96.The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as shown to be 95,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was also achieved with a confidence of more than 1.88 for all factors.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2차 연구로 1차 연구에서 개발한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A 의과대학 60명의의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45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IPP 평가모형의 평가단계에 따라살펴보면, CIPP 평가모형의 첫 번째 단계인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요인과 평가문항에 대한수정사항이 발생하지 않았다. 두 번째 단계인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평가지표는 3개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기존의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운영의 구조’와 ‘교육운영 수월성을 위한 구조’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세번째 단계인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평가지표도 3개의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력 강화를위한 과정’, ‘일반교육 운영과정’이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문항의 삭제 없이 3개 요인에서 ‘교육과정 운영개선 역량’과 ‘학생성장 역량’이라는 2개의 요인으로수정되어,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는 8개 요인의 69개 평가문항으로 정리되면서 타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리된 평가지표에 대하여 평가단계별, 요인별 신뢰도를 분석하였는데, 신뢰도 분석 결과, 상황평가평가지표의 신뢰도는 .96, 투입평가 평가지표는 .97, 과정평가 평가지표는 .96, 산출평가 평가지표는 .95로 나타났으며각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또한 모든 요인에서 .88 이상의 신뢰도를 보이며, 평가지표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습자 특성과 대학입학전형요소에 따른 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비교 - A대학을 중심으로 -

        윤회정 ( Yoon Heojeong ),방담이 ( Bang Dami ),손연아 ( Son Yeon-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A 대학 신입생 1,48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의 현황과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A 대학 전형과 사교육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의 입학전형 개선, 고등학교 공교육 활성화와 사교육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은 그 유형에 따라 기간이나 빈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교육에 지출한 비용과 소요한 평균 시간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성적 향상을 위한 보완적 목적이라 기보다는 경쟁적 동기가 좀 더 주된 이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형요소별 사교육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교육을 통해 준비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전형은 실기와 논술로 나타났으며, 수능에 대한 사교육 의존정도가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형요소별 비율 조정이 공교육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의 분석 결과, 생활기록부의 확대가 공교육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다른 전형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tutoring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to improve entrance admission of university. 1,484 freshman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ivate tutoring was various in periods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The expenditure on private tutoring and the average time spent showed a large variation. Also, the reasons for using private tutoring were mainly motivated by competitive motivation rather than complementary purpose. Public education was difficult to prepare practical education and essay, an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for SAT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typical elements. In addition, th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proportional factor adjustment on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show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udent record might affect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상징적 동조 현상에 대한 연구: 교수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다은,장덕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급속히 확산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실제 대학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교수의 인식과대응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으로 유입된 국내외적맥락을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편과정에 배태된 제도적․환경적 요인들과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및 대응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7개 대학 교수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성과관리를 앞세운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인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보가 학내에서 두루 실패하고있었다.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확산된 대학 내 무기력함은 교수들로 하여금 형식적 순응이라는전형적인 전략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대학의 교육과정운영체계는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고유한모델링보다는 대체로 동형화적 패턴을 보였고, 대학 안팎의 형식주의적 양상은 정책 당국과 대학, 그리고 교수로이어지는 상징적 동조 현상을 발생시키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매개로 발생하는연쇄적 상징 동조(serial symbolic conformity) 현상은 대학교육의 본질인 교육과정 변화를 꾀하는 정부의 대학혁신전략에 근본적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밝혔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perated in universities practically.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mbedd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ors from seven universities and their perceptions and confront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s,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cluded in the government-funded project tends to be operated in a managerial manner, 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not shared. The sense of helplessness has pervaded universities, leading professors to adopt a decoupling strategy.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has become isomorphic, reinforcing a formalistic pattern that fosters symbolic conformity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his Serial Symbolic Conformity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o the government's university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were made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간 PDS(교사전문성개발체제) 협력에 관한 인식과 실태 조사: 교육대학교 교수를 중심으로

        이현명,심영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faculty on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in term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It had been conducted for three week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from April 23 to May 11, 2011 throughout the count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875 and the returned responses were 273. With the returned response,this study analyzed 6 domains: mutual collabor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pen class, an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mutual benefits an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In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is study provided how university faculty perceived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and how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could lea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oth university faculty and school staffs to articulate a new possibility for a school reform and to develop systemic thinking about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in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대학과-부설초등학교 간 PDS (전문성 개발체제) 협력에 관한 실태 조사를 통해대학교수들이 가지고 있는 두 기관간의 협력에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11개 교육대학교(제주 교육대학 포함)해서 2011년4월 23일부터 동년 5월 11일까지 총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대상자총 875명 273명의 응답을 중심으로 6개 영역(상호 협력, 예비교사 교육, 교사의 전문성과수업 공개, 전문성 개발체제 구축, 상호 협력을 통해서 얻게 될 이점과 인적사항)에 대한분석을 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는 대학교수들의 대학-학교간 협력에 대한 인식과 대학-학교간 협력을 통해서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전문성 개발체제 구축의 가능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더불어대학교수와 교사들이 학교개혁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속적인 교육문화 개선을 위한체계적인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