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안전교육 편성 현황 분석: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임고운,김종훈,이은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pplied in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taking the 7 school safety education standards as an analysis frame, total 15 type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have been examined in this study. Findings suggest how safety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related subject curriculum in secondary education, and furthermore, the linkage from the perspective of safety education between two school levels was discussed. They also provide way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throug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need to develop national curriculum that reflects social issues related to safety, such as coping with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triggered by the pandemic,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in secondary curriculum and seek improvements for upcoming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최근 팬데믹을 비롯한 각종 재난․재해 사고는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학교안전교육을 요청한다. 학교안전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비교과 활동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단일 교과 또는 교과 통합등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교과 중 기술․가정은 실천적 특성을 갖는 교과로 안전교육과내용상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학교안전교육을 유의미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교과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현행 중·고등학교기술·가정 교과서에 편성된 안전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과와 안전교육의 효율적인 연계 및 개선 방안 등을 탐색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7개 대영역, 25개 중영역, 52개 소영역)을 분석틀로 삼아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총 15종)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현행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안전교육의 편성 현황을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현행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5종 교과서는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전 영역을 분산적으로다루면서도 교과 특성을 고려하여 ‘재난 안전’, ‘폭력 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예방’, ‘직업 안전’ 부분에 중점을 두어 다루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급 간 안전교육의 영역별 중복된 내용이 있더라도 교과 지식과 특성, 청소년들의 실생활에 따라 차이를 두어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개 안전 수칙의 습득과 습관화를 목표로하는 활동 과제가 많은 한계를 보였으며, 고등학교로 갈수록 교과서 간 위험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활동 과제에서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를 통한 안전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안전교육 관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과 의미: A대학교 <인간삶과 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고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Regardless of their 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exploration of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s a first step towards becoming lifelong learners. In this study, the “human life and education” class, operated as a key liberal arts course by University A in Chungcheong Province, was selected as an exampl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0, 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lass. The students wrote 10 reflection journals according to the topic, and seven applicants engaged in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s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were categorized as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on learning", "asking ‘why’ questions about things they were not interested in”, "imagining educational alternatives", and "exchanging empathy and differenc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studies for them can be defined as "discovery of true purpose of learning", "critical acceptance of negative self-awareness", "solidarity for educational change", and "confidence in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on educational phenomena”.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교육학 수업 수강을 통해 경험하는 것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학 수업의 교양교육적 의의와 발전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평생학습자로 나아가는 첫 단계로 전공 분야와 상관없이 누구나 교육에 대한 탐구가 교육과정 안에서 충분히 경험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핵심교양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간삶과 교육> 교과목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20년도 2학기에 해당 과목을 수강한 비사범계열 1~4학년 대학생 4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총 10회에 걸쳐 작성한 성찰저널과 이중 면담에 동의한 7명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으로는 ‘학습에 관한 지식과 실천 통합하기’, ‘무관심했던 것에 ‘왜’ 질문하기’, ‘교육적 대안 상상하기’, ‘공감과 차이 주고받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인식한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의 의미로는 ‘진정한 배움의 목적 발견’, ‘부정적 자아인식의 비판적 수용’, ‘교육 변화를 위한 연대의식’, ‘교육 현상에 관한 주관적 의견 표현의 자신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이 비사범계열 대학생들에게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지적 성장 도모, 교육 경험을 해석하는 개념적 수단 제공,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민주적 소통의 장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과제와 대학에서의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임고운,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on the counseling outcome. For the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185 counselors and the clients aged older than or the same as old as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at least five counseling sessions. Only 160 cases of them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ounselors were given demographic questions,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questions,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questions, and the counseling outcome questions. The clients were given demographic questions and the counseling outcome question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Counselor development level increase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2)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increased the counseling outcome assessed by the counselors. (3) For intermediate counselors regarding experiences,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was more related to the counseling outcome than for other level counselors. (4)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the counseling outcome. These results implied that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seling outcome.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unselors needed to use countertransference actively, and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should be included in counselor'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 발달수준과 역전이 활용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이상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5회 이상 진행된 상담 사례의 상담자와 내담자 각 185명에게 질문지가 주어졌으며 이중 160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상담자들은 인구학적 문항,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역전이 활용 척도, 상담성과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내담자들은 인구학적 문항과 상담성과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의 통계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담자 발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역전이 활용 능력이 증가하였다. (2) 역전이 활용 능력이 증가할수록 상담자가 평가한 상담성과도 증가하였다. (3) 상담자 경력과 관련하여 중급 이상의 상담자들의 경우, 역전이 활용 능력과 상담성과와의 관계가 크게 나타났다. (4) 역전이 활용 능력은 상담자 발달수준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자의 역전이 활용이 상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상담자가 역전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와 함께 역전이 활용이 상담자 교육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 과정과 특징

        임고운,조윤정,이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3

        Middle school students born in the mid-2000s have experienced unprecedented expansion of peer relationship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re experiencing various influences in the growth period.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take place and how their characteristics appear. For this purpose, 17 middle school students, 3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community teachers living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eer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were formed through process of formation, maintenance, conflict and response. And after the conflict, the reorganization of the relationship was not clearly occurred. First, peer relationships formation consist of ‘building connections for information exchange’and‘grouping centered on taste’. Second, peer relationships were maintained as ‘small talk through constant online access’, ‘sympathetic to gameized conversations’, ‘managing impressions with digital shadow labor’, and ‘ranking and grading’. Lastly, peer relationships responded to conflicts by ‘expressing hatred with hostile feelings’, ‘secretly but boldly unfollowing a ‘secretly but boldly unfollowing a friend on SNS’, and ‘going out and breaking up so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al support plan to establish healthy and mature peer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200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중학생들은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전례없는 또래 관계 확장을 경험하며 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가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그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연구참여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17명과 중학교 교사 3명, 마을 교사인 청년 2명이며 편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주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는 또래 관계 형성, 유지, 갈등 및 대응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갈등 이후 관계 재정리의 모습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과정별 구체적인 특징으로는 또래 관계 형성에서 ‘정보교환을 위한 인맥 쌓기’와 ‘취향 중심의 무리짓기’가 나타났으며, 또래 관계 유지에서는 ‘상시 접속을 통한 스몰토크 주고받기’, ‘게임화된 대화에 동조하기’, ‘디지털 그림자 노동으로 인상관리하기’, 그리고 ‘끼리끼리 서열 나누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또래 관계 갈등과 대응에서는 ‘적대적 감정으로 혐오 표현하기’와 ‘은밀하지만 과감하게 친구 끊기’, ‘금방 사귀고 헤어지기’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관계 맺기가 취향을 공유하는 사람 중심으로 변형되고 있고, 상당한 강도의 노동을 통해 유지되며, 정서적 유대보다 개방된 접속상태를 추구하고, 교묘한 심리적 갈등에 단절로 대응하면서 전 세대가 공유하는 개방적 문화에의 노출로 이들만의 과도기적 독특성이 흐려지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논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건강하고 성숙한 또래 관계 맺기를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케냐 희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임고운,김정효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local teacher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a that aim at the educational mission. This study also explores what factors affect a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with the curricula. This study chose a primary school in Kenya, one of the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and by observing the participants’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backgrounds and Christian faith were affecting the separated understanding of academics and faith in the curriculum. Secondly, the fact that most of the teachers remained in a ‘Heteronomous and Compromising participation level’ meant that they had no shared understanding with the missionaries on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one teacher’s ‘Autonomous participation’ shows that teachers could be a ‘Missional partner’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hristian curriculum. Thirdly, individu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limit teache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a Christian curriculum. School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n operator-centered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or’s administrative interest, did not play a role in mediating the limitations of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 missional support for local teachers in Korean Christian schools are discussed and explored.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한국의 해외교육선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하여 교육학 특히, 기독교교육적인 평가를 통해 교육선교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의 현지인 교사들이 학교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참여하며 왜 그러한 양상을 보이는지 관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케냐의 한 초등학교를 선택하였으며, 현지인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를 하나의 사례로 보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주로 반 구조화된 개별 심층 면담과 교사들의 수업 및 다양한 교육과정 참여의 모습에 대한 관찰과 문서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냐 현지인 교사들의 기독교 문화 배경과 신앙의 영향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신앙과 학문의 이원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다수의 교사들은 ‘타율적 참여’와 ‘타협적 참여’에 정체되어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선교사와 공유된 교육과정 이해를 가지지 못한 채로 교육과정 실행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한 명의 교사가 ‘자율적 참여’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교사들이 기독교적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선교의 동역자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사를 둘러싼 개인 요인과 사회문화 요인이 교사들의 이원화된 교육과정 이해와 참여의 특성을 갖게 하였으며, 운영자 중심의 의사결정체제와 행정가 중심의 운영자 역할이라는 학교환경 요인 역시 이 한계를 중재하고 극복하는 데 미흡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효과적인 해외교육선교를 위해서 현지인 교사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기독 학부모의 갈등 경험과 대응 전략

        임고운,이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 depth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Christian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 and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m, and to explore practical education support ways for Christian parents. Eleven Christian parent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ach conflict experience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various conflicts within individuals and their homes, churches and school parents communities due to cultural challenges contradicting Christian values that they believe. But they were using the conflicts as an opportunity for better change on a personal level, rather than exposing it to others to seek a community solution. Second, Study participants used four strategies: 'Dialogue', 'Delegation',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to resolve conflicts. The church's parents education and seminars, which are implemented as a "participatory strategy," reminded the role of Christian parents and provided parents encouragement, but they usually lasted for only short period of time. Also as a 'transformation strategy,' changing the subject of conflict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was being done primarily on a self-transformation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emphasize their identity as Christian parents and their role as cultural innovators so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Christian parents could be extended to public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기독학부모들이 경험하는 갈등과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서 기독학부모들을 위한 실질적 교육지원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1명의 기독학부모들을 눈덩이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주로 반 구조화된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독교적 가치와 모순되는 문화적 도전들로 인해 개인 내적 갈등과 가정, 교회, 사회에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외부에 드러내어 공동체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보다 개인적인 수준에서 보다 나은 변화를 위한 계기로 삼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갈등 해결을 위해 ‘대화’, ‘위임’, ‘참여’, ‘변혁’크게 4가지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참여 전략’으로 교회의 부모교육이나 세미나 등에 참석하는 것은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상기시키며 도전과 격려를 제공하였지만 단기간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고, ‘변혁 전략’으로서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변혁을 시도하는 것은 주로 자기 변혁의 차원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독학부모들의 책임이 공적 책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독학부모로서의 정체성과 문화변혁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미인가 대안학교에 보낸 학부모들의 교육 실천 탐구 : 종교계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임고운,이은혜,이종철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some parents send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We also want to find out the meaning of alternative schools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For this purpose, seven parent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Starlight School and Moonlight School, which are unauthoriz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chose an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for their children because they wanted to pursue their children's happiness, break away from entrance exams and success grammar, share their Christian values, and join a community that pursues the same faith. Second, alternative school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ere ‘Where value becomes life,’ ‘Where children’s differences are recognized,’ ‘A place to get together,’ and ‘A place for protection.’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practice of education could be interpreted as 'win-win,' ‘holding out,’ ‘growing,’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미인가 대안학교에 보낸 학부모들의 학교 선택 동기와 그들이 경험한 대안학교 및 대안학교에서의 교육 실천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로서,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소재의 미인가 기독교 대안학교인 별빛학교와 달빛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7인이며, 편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미인가 대안학교를 선택하는 이유는 ‘자녀의 행복 추구’, ‘입시와 성공 문법으로부터의 탈주’, ‘신앙적 가치 추구’,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에 소속’이었으며,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대안학교는 ‘가치가 삶이 되는 곳’, ‘아이의 다름을 인정받는 곳’, ‘함께 만들어가는 곳’, ‘울타리가 되어주는 곳’이었다. 그리고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육 실천은 ‘상생’, ‘버팀’, ‘성장’, 그리고 ‘기대’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미인가 대안학교를 선택하는 학부모들의 적극적 교육 실천을 인정하고 지원하기 위한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