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의 질조직에서의 NOS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유은희 ( Eun Hee Yoo ),전호영 ( Ho Young Chun ),홍옥기 ( Ok Ki Hong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질식 수술에서 얻어진 폐경 전·후 여성의 질 조직의 섬유화를 비교하고 NOS의 발현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NOS 중 NOS I (neuronal NOS), NOS III (endothelial NOS)의 발현도를 폐경 전·후 질조직에서 발현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성호르몬의 영향하에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부인과적 적응증으로 질식수술을 시행한 폐경 전 여성 13, 폐경 후 여성 10, 총 23예를 대상으로 질조직을 얻어 면역화학염색으로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eNOS, nNOS의 발현도를 western blotting assay와 면역화학염색으로 그 발현도와 분비장소를 확인하였다 결과: 폐경 여성의 질은 masson`s trichrome 염색에 의해 폐경 전에 비해 질벽의 아교질 침착이 두드러지며, 질상피세포의 위축이 심하여 질의 탄력성 및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폐경 전ㆍ후 질조직 모두에서 NOS가 발현되고 있었으며, 질조직의 혈관내피세포, 신경섬유에서 NO가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폐경 전·후에 따른 여성 호르몬의 차이에 따른 NOS의 발현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폐경 전·후의 질조직에서 NOS의 발현도의 차이를 보고자 한 본 예비연구에서 폐경 전·후 여성의 질조직에서 eNOS, nNOS 모두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폐경 전·후에 따른 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Objectives: To identify the expression an topographic localization of NOS in vagina of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determine the change of NOS after menopause Methods: The vaginal tissues were obtained during anterior or posterior colporrhaphy from 13 premenopausal and 10 postmenopausal women. The expression of neuronal and endothelial NOS were examined with Western blotting.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nNOS and eNOS was confirmed with immunohistochemistry. Trichrome stain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smooth muscle/collagen ratios. Results: Using immunohistochemistry, eNOS was localized in vascular endothelium and smooth muscle cells of mural and extramural arteries and arterioles. The immunoreactive pattern for neuronal NOS was found in nerve fibers, ganglias and smooth muscle fibers within nerve plexus of vaginal wall.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neuronal NOS and eNOS protein expression were demonstra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eNOS and nNOS expression between pre- and postmenopausal vagina tissues.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increased amount of collagen deposition with vaginal atrophy was confirmed in the postmenopausal vaginal tissue. Conclusion: Immunohistochemical and Western blotting study have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NOS in the human vagina. However, the alteration of eNOS and nNOS expression of vagina after menopause was not demonstrated.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NOS 수업 계획 및 시연에서 나타나는 NOS-PCK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 교과의 맥락에서 -

        김민환,Haerheen,노태희 대한화학회 2022 대한화학회지 Vol.66 No.2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NOS 수업 계획 및 시연을 분석하여 이들의 NOS-PCK를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 재한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4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에게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 교과의 맥락에서 NOS 수업을 계획 및 시연하도록 하였다. 이들이 제작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시연을 관찰하였으며 반구 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목표로 하는 NOS를 선정할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주로 참고하 였으나,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NOS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모든 예비교사가 명 시적인 접근을 취했으나, 개방적이고 발산적인 반성적 접근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고등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절대 적이라고 생각할 것이고 NOS 수업에도 거부감을 가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NOS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NOS 평가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일부 학생들에게만 NOS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예비교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NOS 수업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노화된 흰쥐 대뇌겉질에서 NOS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정윤희(Yoon Hee Chung),신정민(Chung Min Shin),이왕재(Wang Jae Lee),황덕호(Douk Ho Hwang),이병란(Byung Lan Lee),조사선(Sa Sun Cho),백상호(Sang Ho Baik),차중익(Choong Ik Cha)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수많은 생리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중추신경계통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서 synaptic plasticity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노화 흰쥐에서는 NO의 생성이 감소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지만 NO를 생성하는 세포의 노화에 따르는 형태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군 흰쥐와 대조군 흰쥐의 대뇌겉질 및 해마의 각 영역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의 분포와 형태 양상을 면역세포화학 방법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흰쥐와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들은 대뇌겉질 및 해마의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2.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가지돌기는 가지치기 양상이 많이 감소했으며 길이도 짧아졌다. 3.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는데 부위별로 달랐다. 그 중 50% 이상 감소된 부위는 띠겉질 (cingulate cortex), 마루엽겉질 1영역 (parietal cortex area 1), 관자엽겉질 2, 3영역 (temporal cortex area 2, 3), 뒤통수엽겉질 2영역의 내측 부분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뒤통수엽겉질 1영역의 monocular와 binocular 부분 (monocular and binocular of occipital cortex area 1), 속후각겉질 (entorhinal cortex), 해마 (hippocampus proper), 치아이랑 (dentate gyrus), subiculum 등이다. 4.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는 대조군보다 염색성이 감소되었다. 5.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하면 노화군 흰쥐에서 NOS mRNA 양성세포의 수가 대조군 흰쥐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볼 때 노화에 따라 NOS 신경세포 수는 감소한다는 형태학적 증거를 파악하였고 이에 따라 NO 의 생성도 감소함으로써 학습과 기억 능력의 감퇴가 수반되는 노화의 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부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Nitric oxide (NO) involvement has been demonstrated in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particularly in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 mechanism that underlies certain forms of learning and memory. Further, NO has been shown to regulate various neurotransmitt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memory. Several findings suggest that NO production may be decreased in the aged rat. Changes in the nNOS-containing neurons with aging were demonstrated by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NOS-immunoreactive cells in aged rats were present in all cortical areas and the hippocampus, and the pattern of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OS-immunoreactive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ged rats, but the extent of changes was variable in each area, and ranged from mild decrease (<30%) to severe decrease (>50%). Severely decreased areas were the cingulate cortex, parietal cortex area 1, temporal cortex area 1, 2, 3,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monocular and binocular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1, entorhinal cortex, hippocampus proper, dentate gyrus and subiculum. Moderately decreased areas (30~50%) were frontal cortex area 1, 2, 3, parietal cortex area 2, forelimb, hindlimb, later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Slightly decreased area was insular cortex. Morphologically,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seemed to be decreased in aged group and the length of dendrites of NOS-IR neurons showed a tendency to shorte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in the aging brain, and provide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loss of NOS neurons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aged rats by immunocytochemistry. Further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s involving normal aging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are needed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nitric oxide changes in the cerebral cortex with ag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NOS)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맥락에서-

        김민환,노태희,신해민 대한화학회 2022 대한화학회지 Vol.66 No.5

        In this study, science teachers’ NOS lessons were obser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ssons were analyzed. Three science teachers who taught NOS in the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NOS lessons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less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tical induction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analyses of the result revealed the teachers' naive views on NOS were also revealed during the lessons.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y showed naive views during the lessons even if they showed informed views in the interviews. Although the domains of NOS taught by them were diverse, all of them taught ‘tentativeness’ and considered this an important goal. They tended to teach NOS with content related with their major, and teaching NOS was found to be deeply related to their major. In the activity where students learn NOS by inferring the unknown object, teachers disclosed the unknown object, which is unlike the rule of the activity. They thought that could help students’ learning. At last, although they emphasized teaching NOS, they either did not assess NOS or assessed NOS in a limited way. Based on the results, some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follow-up study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수업에서 NOS를 가르치고 있는 과학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수업의 전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적 귀납법과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OS 에 대한 교사들의 전통적 관점이 수업 중에도 그대로 드러났으며 면담에서 현대적인 관점을 보이더라도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관점으로 모순된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세 교사가 가르친 NOS의 영역은 다양하였으나 ‘잠정성’은 모두 가르쳤으며 이를중요한 목표로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주로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내용으로 NOS를 가르치고자 하여 NOS 교수는 교사의 전공과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미지의 탐구 대상을 추론함으로써 NOS를 학습하는 활동에서 활동의 규칙과 달리탐구 대상을 공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NOS의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NOS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거나 제한된 방법으로만 평가를 실시하는 등 평가에서 부족한 모습을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흰쥐 침샘의 Nitric Oxide Synthase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이영환,고정식,박대균,박경호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산화질소는 생물체내에서 생리적이나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침샘조직에서 침분비작용과 샘혈류 조절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동위효소로서 내피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OS, eNOS), 신경산화질소합성 효소 (neuronal NOS, nNOS)와 유도산화질소합성효소 (inducible NOS, iNOS)가 있으며, 세포내에서 내인성산화질소를 합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화질소합성효소의 세포내 분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매우 드물며, 흰쥐 침샘에서의 산화질소생산효소(NOS)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없었다. 흰쥐 침샘에서 NOS의 세포내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전자현미경방법을 이용한 금입자표지법을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양성 면역반응을 보이는 구조는 침샘의 분비세포 중장액세포에 있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었으며, 점액분비세포의 점액분비과립에서는 비교적 약한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즉 턱밑샘과 혀밑샘을 구성하고 있는 두 종류의 분비세포 중장액세포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비교적 많이 표지되었으며,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는 적은 수의 금입자가 관찰되었고, 침샘의 소엽속관(intralobular duct)의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에서도 금입자가 표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귀밑샘에서도 장액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표지되었다. nNOS의 양성 면역반응은 턱밑샘에서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만 약간의 금입자가 관찰되었으며, 턱밑샘, 혀밑샘 및 귀밑샘의 분비세포와 분비관세포에서는 iNOS에 대한 양성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흰쥐 침샘에서 산화질소합성효소 중 eNOS는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에 존재하며, 특히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성분비과립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분비관 중에서 소엽속관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동위효소인 nNOS와 iNOS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산화질소합성효소가 흰쥐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침샘에서 산화질소가 침의 생산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Endogenous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regulate many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especially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However, nitric oxide synthase (NOS) responsible for NO synthesis has not been well studied ultrastructurally in rat salivary gland.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endothelial, neuronal, and inducible NOS).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using monoclonal mouse anti-endothelial NOS, anti-neuronal NOS, and anti-inducible NOS, was performed in the salivary gland of rat. Endothelial NOS (eNOS)-positive immunoreactivities were most prominent in the secretory granules of serous cells of the salivary gland of the rat. Immunoreactivities were well concentrated on serous secretory granules in the serous cells. However, weak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ucous secretory granules of the mucous cells. Positive endothelial NOS (eNOS) immunoreactivities were most prominent in the secretory granules of intralobular ducts. Ductal secretory granules and acinar serous secretory granules have a similar pattern of labeling as eNOS suggestings. Neural NOS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detected in duct systems or in acinar cells. Inducible NOS (i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seen in acinar and ductal cells. These results reveal the presence of eNOS in the salivary gland of the rat, which may be 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through the gland.

      • KCI등재

        다학문적 접근의 과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탐구

        이지현,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education to acquire the integrated knowledge and competencies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in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NOS) through the multi-academy based convergence program developed for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literacy. For doing this, pre-post NOS survey based on the 4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developed by Lee(2014) was implemented to the students in the program and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NOS by gender and majors of students. The results are followed. In genera,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s improved through the convergence science program. Significantly, the students understand well about the domain of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mong the 4 themes of the NOS. Meanwhile,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the understanding of NO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majors of students. Also, students indicated that the aspect of the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s the most important domain among the 4 themes of NOS. Specifically, students presented the valid evidence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ir arguments from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faced NOS, which is related with other academic fields as a human endeavor they learned through the convergence program.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으로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지식 함양과지식을 통해 실행하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과학적 소양함양 목적으로 개발된 다학문적 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 개념 틀(Lee, 2013)을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조사를 융복합 프로그램 처치 전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사 기반으로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 인식에 대한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열 대학생들은다학문적 접근의 과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과학의 본성(NOS) 영역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수준의 인식 변화가있었다. 학생들은 특히 사고하는 방식으로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높은 이해와 인식 변화를 나타냈다. 한편 융복합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의 본성(NOS)에 대하여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학문적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성별이나 전공에 상관없이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라 말할수 있다. 또한 융복합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생들은 4가지 과학의 본성 영역 중에서 특히 4)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와상호작용하는 과학의 본성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학습한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된 과학적 사고와 인간 활동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면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와 배경을 제시하고 있었다.

      • SCOPUSKCI등재

        쥐의 폐에서 방사선이 Nitric Oxide (NO), Nitric Oxide Syntahse (NOS) 및 TGF-β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오영택(Oh Young-Taek),박광주(Kwang-Joo Park),길훈종(Hoon-Jong Kil),하만준(Mahn Joon Ha),전미선(Mison Chun),강승희(Seung-Hee Kang),박성은(Seong-Eun Park),장세경(Sei-Kyung C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적 : 방사선폐렴에서 NO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때 유도형의 Nitric Oxide Synthase2 (NOS2)가 주로 Nitric Oxide (NO)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NOS2의 억제조절물질로 TGF-β가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NO가 증가하면 TGF-β의 활성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NOS2가 억제되어 NO의 생성이 억제되는 간섭기전(feedback mechanism)이 보고되어 있다. In vivo 동물모델에서 방사선조사 후에 NOS2 발현 및 NO 생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TGF-β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Sprague-dawley 쥐 60마리를 마취 후 5 Gy와 20 Gy의 방사선을 우측 폐에 조사하고 대조군은 위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3일, 7일, 14일, 28일, 56일에 방사선 조사군 (5 Gy, 20 Gy0 각 5마리와 대조군 2마리를 희생시키고, 희생시키기 전에 우측 폐와 좌측 폐의 주기관지에서 각각 폐포 세척을 시행하여 폐포 세척액을 얻었다. 폐포 세척액에서 단백질과 세포 수를 측정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은 NO와 TGF-β 단백의 양을 측정하는데, 가라앉은 폐포 대식세포는 TGF-β와 NOS2 mRNA의 RT-PCR을 위한 검체로 사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 후 5 Gy군에서 NOS2 mRNA가 14일 째에 우측 폐에서 발견하였고, 28일 째에는 양쪽 폐에서, 56일 째에는 좌측 폐에서 증가하였다. TGF-β mRNA는 계속 발현되었으나 28일 째에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이었고 56일에는 좌측 폐에서 증가하였다. 폐에서 증가하였다. 20 Gy 군에서는 NOS2 mRNA는 5 Gy와 마찬가지로 14일주 째에 우측 폐에서 발현하여 28일주째에 양쪽 폐에서 발현하고 56일 째에 양쪽 폐에서 강하게 발현하였다. TGF-β mRNA는 28일 째에 우측 폐에서 56일 째에 양측 폐에서 증가하였다. 폐포 세척액 내의 NO의 양은 28일 째에 양쪽 폐에서 증가하였고, TGF-β 단백의 양은 우측 폐에서 28일 째 정점을 이루고, 56일 째에 좌측 폐에 비해 유의한 증가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론 : 방사선폐렴의 동물모델에서 NO, NOS2와 TGF-β는 선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14일 째 우측 폐에서의 NOS2 mRNA의 발현을 시작으로 비교적 일관된 발현 양상을 보여 주었고 그에 따라 폐포세척액 내의 NO 및 TGF-β 단백의 양이 변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56일 째에는 NOS2와 TGF-β가 모두 발현하여, 좀 더 많은 개체 수를 대상으로 장기간을 통해 발현 양상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NOS2 억제제를 사용하여 TGF-β의 발현 양상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 Purpose : NOS2 induce NO production and NO activate TGF-β. The TGF-β is a inhibitor of NOS2. If this negative feedback mechanism operation in radiation pneumonitis model, NOS2 inhibitor may play a role in TGF-β suppression. We plann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xpression patterns of NO, NOS2 and TGF-β in vivo radiation pneumonitis model. Materials and Methods : Sixty sprague-Dawley rat were irradiated 5 Gy or 20 Gy. They were sacrificed 3, 7. 14. 28 and 56 days after irradiation. During sacrifice, we performed broncho-alveolar lavage (BAL). The BAL fluids were centrifuged and supernatents were used for measure NO and TGF-β, and the cells were used for RT-PCR. Results : After 5 Gy of radiation, NO in BAL fluid increased at 28 days in both lung and TGF-β I left lung at 56 days. NO increased in BAL fluid at 28 days in both lung after irradiation and TGF-β in right lung at 28-56 days after 20 Gy of radiation. After 5 Gy of radiation, NOS2 expression was increased in right lung at 14 days, in both lung at 28 days and in left lung at 56 days, TGF-β expression was reduced in both lung at 28 days and increased in left lung at 56 days. Conclusions : The proposed feedback mechanism of NO, NOS2 and TGF-β was operated in vivo radiation pneumonitis model. At 56 days, however, NOS2 and TGF-β expressed concurrently in left lung after 5 Gy and in both lung after 20 Gy of radiation.

      • KCI등재

        PCK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의 맥락적 NOS 수업 계획 분석

        김혜린,노태희,김민환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6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계획한 맥락적 NOS 수업을 PCK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예비과학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CoRe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집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적귀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학습 목표로 선택한 NOS는 수업 주제보다는 NOS를 가르치는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NOS 학습의 가치를 잘 답변하지 못했다. 모든 예비교사가 학생들이 NOS를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였으며, NOS를 과학 내용과 함께 다룬다는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하면오차로 인해 학생들이 NOS를 배우는 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학생들의 NOS에대한 선개념과 오개념을 추측하였으며, 과학 개념이나 학생의 인지발달 단계가 NOS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교수 전략 측면에서 NOS를 가르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NOS를 명시적으로 다루지는 않는 경우가 많았다. 평가전략 측면에서도 수업에서 다루는 NOS를 평가하지 않으려는 모습이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제안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식 Nitric Oxide Synthetase의 발현 양상

        박동권,김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반응 질소 중간 대사를 중의 하나인 nitric oxide(NO)는 작고 불안정하며 전하가 없는 free radical이며 신체의 여러 종류 세포에서 분비되어 대부분의 조직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NO는 lipopolysaccharide나 cytokines등의 자극으로 골모세포로부터 생산되어 파골세포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NO는 L-arguinine으로 부터 nitric oxide synthetase(NOS)에 의해 합성된다. 골개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생체 내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 NO및 NOS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교정적 치아이동에서 치주인대의 재생 과정과 관련되어 이들의 역할이 밝혀진 것이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 경과에 따른 NOS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NOS3와 NOS2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대조군의 NOS3 발현은 치은과 상아질, 치주인대, 치조골에서 경미하였지만 치수, 악간 봉합에서는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2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2.실험군의 상아질, 치은, 백악질, 백악모세포, 상아모세포에서의 NOS2 및 NOS3의 발현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이었다. 3.치주인대에서의 NOS3의 발현은 실험 4일째부터 치근단에서 증가되어 7일째에 압박측을 중심으로 증가한 이후 감소되었다. 4.치조골에서의 NOS3는 실험 7일째까지 경미한 발현을 보이다가 14일째부터 28일째까지 약양성으로 발현 증가를 보였으며 압박 및 견인측 간의 차이는 없었다. 5.치주인대에서의 NOS2는 압박측과 견인측 간의 차이 없이 실험 7일째 이후에 대조군보다 증가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3의 발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6.치조골에서의 NOS2의 발현은 14일째에 가장 크게 증가하여 골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압박측보다 견인측 치조골의 골세포에서 약간 많았다. Nitric oxide(NO)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mediators relating to bone remodelling. Nitric oxide is synthesized from L-arguinine by nitric oxide synthetase(NOS), which is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hich is composed of NOS1 and NOS3, is dependent of calcium or calmodulin. The other consisted of NOS2, which is independent of calcium or calmodulin. NOS is thought to be a possible intermediate affecting in the course of tooth mov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nitrous oxide synthetase(NOS) in periodontal tissue during the experimental movement of rat incisors, by LSAB(labelled streptavidine biot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NOS2 and NOS3. Twenty seven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3 rats), and 6 experimental groups(24 rats), to which 75g of force was applied, with helical springs across the maxillary incisors. Rat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at 12 hours, 1, 4, 7, 14 and 28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respectively. After that, the tissues of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In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NOS3 was rare in gingiva, denti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and was mild in the capillaries of pulp and intermaxillary suture. And the expression of NOS2 showed similar pattern to that of NOS3. 2.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NOS2 or NOS3 in dentin, gingiva, cementum, cementoblast and odontoblas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the force application. 3.The expression of NOS3 began to increase at 4 days and showed to the highest degree at 7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in the apical region of pressure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in experimental groups. 4.The expression of NOS3 in alveolar bone was rare until 7 days, after which it increased to mild degree at 14 days through 28 days in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ressure and tension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5.The expression of NOS2 in periodontal ligament was mild from 7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side of periodontium, which was generally more evident than that of NOS3. 6.The expression of NOS2 in alveolar bone increased to mild degree at 14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and it was evident in osteoblasts, osteoclasts and osteocytes. And the expression of NOS2 was little more stronger in the tension side than that of pressure side of alveolar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