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좌골신경과 좌골구멍근의 관계에 대한 변이

        조사선(VVCHO Sa Sun),조경제(CHO Kyung Je),이경훈(LEE Kyung Hoon),이왕재(LEE Wang Jae),이원복(LEE Won Bok),정인혁(CHUNG In Hyuk),서영석(SUH Young-Suk),강호석(KANG Ho Suck),이무삼(LEE Moo Sam),정진웅(CHUNG Jin Wong),고정식(KO Jeong 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4 No.1

        저자들은 좌강신경이 골반에서 하지로 나오는 과정에서 좌골구멍근과 유지하는 밀접한 관계를 조사하여 그 연이의 유형과 빈도를 받히고자 한국인 시제의 하지 428 예를 해부하여 관찰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좌골신경이 좌골구멍근 밑으로 나오는 경우는 전체의 76.7% (328예) 이었고 (Type A), 좌골구멍근 위로 나오는 것은 전체의 0.2% (1예) 이었다 (Type F). 2. 좌골신경이 좌골구멍근을 관통하는 경우는 전체의 19.3% (82예) 이었는데, 이중에서 72 예에서는 비골신정부가 근육을 관통하였으며 (Type B), 7예에서는 경골신경부가 근육을 관통하였고 (Type D), 3예에서는 비골 및 경골신경부 모두가 근육을 관통하였다. (Type E) 3. 좌골 및 경골신경부로 갈라져 좌골신경의 밑과 위로 각각 나오는 경우는 전체의 3,8% (17예)이었다. (Trpe C) 4. 좌골신경의 좌골구멍근에 대한 연이를 가장 흔한 전형적인 유형 (Type A)과 비전형적인 유형 (TW BCDE)으로 구분하여 남녀 및 좌우측에서 각각 관찬하였던바 남성의 정우 전형적인 유형은 78.5% 비전형직인 유형은 21.5% 이었으며 여성의 경우는 각각 736% 와 26.4% 등 차지하였다 5. 오른쪽 하지에서는 선형적인 유형이 77.1%, 비선형적인 유형이 22.9% 이었으며, 왼쪽하지에서는 75.3% 와 24.7%를 각각 차지하였다

      • KCI등재

        조롱박신경세포의 변성에 따른 버그만아교세포의 면역조직학적 연구

        윤철종,조사선,이하규,박민철,Yoon, Chul-Jong,Cho, Sa-Sun,Lee, Ha-Kyu,Park, Min-Chul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3

        소뇌의 버그만아교세포는 인접한 조롱박신경세포를 둘러싸는 특이한 해부학적 분포를 하고 있어 종래로부터 조롱박신경세포에 대한 물리적 지지 역할과 함께 이 신경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필요한 대사물질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만아교세포와 조롱박신경세포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로 전자현미경적 정상적인 미세구조와 신경독물인 하르말린을 흰쥐에 투여하여 조롱박신경세포만을 특이적으로 파괴시킨 소뇌조직을 대상으로 최근 버그만아교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수 종의 대사성 단백물질의 동향을 면역조직 화학방법으로 관찰하여 GLAST의 면역 염색성은 정상부위보다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하르말린 투여군의 흰쥐에서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은 소뇌벌레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사멸된 부위는 calbindin D-28K에 염색된 정상 조롱박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산발적으로 끼어 있는 빈 공간으로 나타났는데 빈공간은 분자층과 조롱박신경세포층이 세로로 달리는 좁고 긴 띠 (bands) 모양의 특이 한 양상을 보였다. MT 면역염색성은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 결과로 볼 때 조롱박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하여 버그만아교세포는 강한 아교세포반응을 보이며 MT의 발현을 통하여 인접 신경세포 손상과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된 산화성 스스로를 보호하고 생존한다. 그러나 GLAST의 발현의 감소는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하여 이들 세포들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글루타메이트의 감소 또는 중단되므로 버그만아교세포에서 이들 글루타메이트 수송체 역할이 감소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93({\pm}0.053){\mu}m$ 였다. 으뜸세포의 사립체의 크기는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 투여군이 각각 $0.80({\pm}0.130){\mu}m,\;0.83({\pm}0.143){\mu}m$ 및 $0.72({\pm}0.078){\mu}m$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BCG를 반복 투여하면 위점막으뜸세포의 분비과립이 약간 작아지는 등 분비기능이 다소 억제되나 그 정도가 경미하여 으뜸세포의 분비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Studies on molecular plasticity of Bermann glia (BG) after harmaline-induced Purkinje cell (PC) degeneration in the rat cerebellum. The intimat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G and PC, evidenced by the sheathing of the PC dendrites by veil-like process from the BG has been suggestive of the clos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ell typ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metabolic couplings between these cells. This study designed to investigate molecular plasticity of BG in the rat cerebellum in which PCs were chemically ablated by harmaline treatment.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reveals that harmaline induced PC degeneration causes a marked glial reaction in the cerebellum with activated BG and microglia aligned in parasagittal stripes within the vermis. In these strips, activated BG were associated with upregulaion of metallotheionein, while GLAST and was down regulated, as compared with nearby intact area where both BG are in contact with PCs. The data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at BG can change their phenotypic expression when BG loose their contact with PCs. It is conceivable that activated BG may upregulate structural proteins, metallothionein expression to use for their proliferation and hypertrophy; metallothionein expression to cope with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C degeneration and microglial activation. On the contrary, BG may down regulated expression of GLAST because sustained loss of contact with PCs would eliminate the necessity for the cellular machinery involved glutamate metabolism. In conclusion, BG might respond man to death of PCs by undergoing a change in metabolic state. It seems possible that signaling molecules released from PCs regulates the phenotype expression of BG. Also ultrastructures in the organelles of normal PC and BG are distinguished by mitochondrial appearance, and distributed vesicles at the synaptic area in the cytoplasm.

      • KCI등재후보

        시각신경 절단에 의한 조류망막내 미세아교세포의 변화에 대한 연구

        전계선(Gye Sun Jeon),이 철(Cheol Lee),서제훈(Je Hoon Seo),강태천(Tae Cheon Kang),황덕호(Douk Ho Hwang),차중익(Choong Ik Cha),조사선(Sa Sun Cho)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신경조직이 손상을 받게되면 해당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와 함께 신경아교세포의 다양한 반응이 유발된다. 이중에서 도 astrocytic gliosis와 활동성미세아교세포 (activated microglia)의 출현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이들 세포와 체액성인자 (humoral factors) 등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은 중추신경계의 일부로서 세포학적 구성과 작용기전이 기본적으로 뇌와 동일하다. 특히 조류는 포유류와 달리 망 막내에 별아교세포 (astrocyte)가 존재하지 않으며 혈관이 분포하고 있지 않는 특이한 구조로 되어있으나 신경세포의 손상에 대한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이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숙 메추리를 대상으로 안와 내로 접근하여 한쪽 시각신경을 절단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망막내 미세아교세포의 변화를 미세아교세포의 특이항체인 QH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 망막에서는 미세아교세포가 긴돌기미세아교세포의 형태 (ramified form)로, 주로 속얼기층에 분포되어 있었고 일부 는 바깥얼기층에서도 관찰되었다. 또한 신경섬유층에서는 시신경유두 (optic head) 주변부에서만 관찰되었고 신경절세포층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시각신경이 절단된 망막의 경우 미세아교세포의 형태가 점차 아메바형태 (amoeboid form)로 바뀌었고 세포의 분포는 주 로 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층에 집중되었다. 이와같은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시각신경절단 후 14일에 숫적 증가가 가장 뚜렷하였으나 수술 후 21일, 28일이 경과하면서 그 수는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2개월까지도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남아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신경세포 손상시에 일어나는 미세아교세포의 이주와 증식이 비혈관성 신경조직에서도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이 세포의 이주와 증식이 혈관분포와 무관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etina, a part of CNS, has served valuable and accessible tissue for elucidating the cellular properties of neurons and glia due to its similarity to brain. Unlike mammalian counterpart, avian retina is devoid of vessels and astrocyt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glial reaction to neuronal injuries in this specie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sponses in the quail retina following neuronal injuries. The retinae from normal and optic nerve transected adult quail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nti-QH1, a marker known to be specific for microglia. In the normal retina, QH1-labeled microglial cells displayed typical feature of ramified (resting) form and were localized mainly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After optic nerve transection (ONT) morphology of microglial cells changed from the ramified to the amoeboid form. This feature of microglial cells maintained throughout the post operational periods until 28 days after ONT. Particularly, at 14 and 21 days after ONT amoeboid microglia displayed cell bodies with stout and bushy processes, suggesting active phagocytosi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icroglia also changed in accord to ganglion cell degeneration: they gradually moved to layers of ganglion cells and optic nerve fibers where ganglion cell bodies and axons were under degeneration. This change of microglial distribution was most prominent at 14 days of O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at reported in mammalian counterpart and this similarity between the avascular avian retina and the vascularized mammalian counterpart suggests that processes of microglial activation, such as migration and phagocytosis, can occur in the vessel-free CNS tissue.

      • SCIESCOPUSKCI등재

        흰쥐의 Nucleus Raphe Magnus로부터 분리된 신경세포의 전기생리학적 성질

        남상채,임원일,조사선,김전,Nam Sang-Chae,Lim Won-Il,Cho Sa-Sun,Kim Jun 대한약리학회 1997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 No.3

        Neurons in the nucleus raphe magnus are involved in descending modulation of nociceptive transmissi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e NRM neurons dissociated from the postnatal rat medulla. The NRM neurons in the coronal slices of and the dissociated neurons from the postnatal rat medullae were immunohistochemically identified using antibody against serotonin. Relatively small number of neurons were positively stained in both preparations. The positively stained neurons displayed large cell body with double or multiple neurites. Using whole-cell patch clamp configuration ionic currents were recorded from the dissociated NRM-like neurons selected by criteria such as size and shape of cell body and cell population. Two types, high- and low-threshold, of voltage-dependent calcium currents were recorded from the dissociated NRM-like neurons. Some neurons displayed both types of calcium currents, whereas others displayed only high-threshold calcium current. Voltage-dependent potassium currents were also recorded from the dissociated NRM neurons. Some neurons displayed both transient outward and delayed rectifier currents but others showed only delayed rectifier cur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at least two types of calcium currents and two types of potassium currents in the dissociated NRM neurons.

      • SCOPUSSCIEKCI등재

        파킨슨씨병 모델 흰쥐에서 줄무늬체 도파민 수용체의 발현에 대한 연구

        오창완,한대희,정천기,조사선,박경한,김용식,박찬웅,Oh, Chang-Wan,Han, Dae Hee,Chung, Chun Kee,Cho, Sa-Sun,Park, Kyeong-Han,Kim, Yong-Sik,Park, Chan-Woong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for the temporal changes of the striatal dopamine D2 receptors in the rat model of parkinsonism. After injection of the 6-hydroxydopamine into the substantia nigra of adult rats, we measured the receptor binding capacity(Bmax), mRNA and protein of the D2 receptor at 2, 4 and 8 weeks. Following the lesion, mRNA and protein were elevated simultaneously on both sides of the striata. They showed more increase on the normal side at 2 and 4 weeks, and then they were almost equally abundant on both sides at 8 weeks. We also observed their increased production in the diffuse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The Bmax value also increased bilaterally in both striata, and was higher on the normal side at 2 weeks and then on the lesioned side at 4 and 8 week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duction of the striatal D2 receptor is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in this animal model. They also imply that this control may be mediated through a pathway which can have influence on the whole brain, rather than the local control of the dopamine content alone. The measured functional activity(Bmax) of the D2 receptor was not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receptor mRNA and proteins produced. This difference may be explained by th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the receptor proteins, which may be controlled by such factor as the local concentration of dopamine.

      • SCOPUSKCI등재

        Comparative Anatomy of the Korean Native Goat 4. Muscles of the Pelvic Limb

        김용근,윤석봉,문희철,조사선,이흥식,Kim, Yong Keun,Yoon, Suk Bong,Moon, Hi Cheol,Cho, Sa Sun,Lee, Heung Sik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76 大韓獸醫學會誌 Vol.16 No.2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 12마리의 후지근(後肢筋)을 절개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후지근(後肢筋)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筋)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소요근(小腰筋) M. psoas minor, 대요근(大腰筋) M. psoas major, 장골근(腸骨筋) M. iliacus, 요방형근(腰方形筋) M. quadratus lumborum,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 M. tensor fasciae lata, 중둔근(中臀筋) M. gluteus medius, 심둔근(深臀筋) M. gluteus profundus, 둔이두근(臀二頭筋) M. gluteobiceps, 반건양근(半腱樣筋) M. semitendinosus, 반막양근(半膜樣筋) M. semimbranosus, 봉공근(縫工筋) M. sartorius, 박근(薄筋) M. gracilis, 치골근(恥骨筋) M. pectineus, 내전근(內轉筋) M. adductor, 대퇴방형근(大腿方形筋) M. quadratus femoris, 외폐쇄근(外閉鎖筋) M. obturatorius externus, 내폐쇄근(內閉鎖筋) M. obturatorius internus, 쌍자근(雙子筋) M. gemelli,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 M. quadriceps femoris, 제삼비골근 M. fibularis tertius,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medialis, 장지신근(長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longus, 전경골근(前脛骨筋) M. tibialis cranialis, 장비골근 M. fibularis longes,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lateralis, 비복근 M. gastrocnemius, 가제미근(筋) M. soleus, 천지굴근(淺趾屈筋) M.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심지굴근(深趾屈筋)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슬와근(膝窩筋) M. popliteus, 골간근(骨間筋) M. interosseus medius. 2. 천둔근(淺臀筋)의 전부(前部)는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과 융합된 것 같고, 후부(後部)는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과 융합된 것 같다. 그러나 천둔근(淺臀筋)의 후부(後部)와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이 결합된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에는 완전융합이 일어나지 않고 천둔근(淺臀筋)을 구분(區分)할 수 있을 정도로 표면으로 2근(筋)을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3.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과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의 건(腱)은 부전골의 원위(遠位) 1/3부(部)에서 서로 건막성(腱膜性)띠에 의하여 서로 연결 되었는데, 이 건막성(腱膜性) 띠는 건섬유(腱纖維)의 방향(方向)으로 보아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의 건(腱)에서 분리(分離)되어 나온 한 가지 (branch)가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의 건(腱)으로 이행되고 있었다. 4, 양(羊)에서 볼 수 있는 이상근(梨狀筋) M. piriformis과 장모지신근(長母趾伸筋) M. extensor hallucis longus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닭 배자 망막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기원

        서제훈(Je Hoon Seo),조사선(Sa Sun Cho)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5

        망막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망막의 미분화세포에서 기원하지만, 조류 망막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셋째뇌실의 배쪽 신경상피에서 기원하여 시각신경을 거쳐 발생 10일경에 망막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뭇기원(multiple origin)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onic hedgehog이 망막에서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어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망막에서 기원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에서 기원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존재를 세포유래연구(cell lineage study)에 유용한 역전사바이러스운반체(retroviral vector)인 LZ12를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특이전사물(specific transcripts)인 plp/dm-20과 pdgfr-α는 망막 발생의 초기인 발생 5일에 이미 발현하였다. 발생 3일에 LZ12에 감염된 망막의 미분화세포는 분열하여 발생 9, 10일에 부챗살 형태로 망막의 전 층에 걸쳐 동일세포무리(clone)를 형성하였다. 특히 일부 동일세포무리의 신경섬유층에는 신경아교세포로 판단되는 작은 세포가 관찰되었으며,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표지자와 이중염색되었다. 셋째뇌실 주변의 미분화세포 중 일부도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여 시각신경을 거쳐 망막으로 이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망막의 희소돌기아교세포가 셋째뇌실 주변의 미분화세포에서 유래하는 동시에 망막의 미분화세포에서도 기원함을 보여주는 최초의 보고이다. Unlike other retinal cells, oligodendrocytes originate from the ventral midline of the third ventricle, and migrate to the retina at embryonic day 10 (E10) through the optic chiasm and the optic nerve in the bird.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onic hedgehog (shh), a differentiation factor for oligodendrocytes, was secreted by ganglion cells in the developing retina, indicating that microenvironment of the retina is sufficient for the generation of oligodendrocyte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uncommitted progenitors could differentiate into all cell types in the murine retina. On the basis of these reports, we proposed that a subpopulation of oligodendrocytes might generate in the retina in situ of the chick embryo. In order to verify our hypothesis, we injected the intraretinal space of chick embryos with a replication-defective retroviral vector (LZ12), and identified oligodendrocytes among LZ12-incorporated cells. Plp/dm-20 and pdgfr-α, oligodendrocyte specific transcripts were already expressed in the E5 retina. The expression of shh transcripts was also detected in the same stage. Analysis of the retina with intraretinal space injection demonstrated many clones consisting of various cell types arranged vertically through the retina. In addition, we found a few clones that had O4± oligodendrocytes. In case of third ventricle injection, we found that LZ12-incorporated cells occurred in rows, the typical shape of interfascicular oligodendrocytes in the optic nerve, and were located in the nerve fiber layer adjacent to the ganglion cells in the retina. These cells were also labeled with TfBP antibod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tinal oligodendrocytes of birds are differentiated from retinal precursor cells, together with undifferentiated cells adjacent to the third ventricle.

      • KCI등재후보

        생쥐 소뇌의 생후 발육에 따른 carbonic anhydrase II 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윤창호(Chang Ho Yoon),전계선(Gye Sun Jeon),이 철(Cheol Lee),서제훈(Je Hoon Seo),강태천(Tae Cheon Kang),박경한(Kyeong Han Park),차중익(Choong Ik Cha),백상호(Sang Ho Baik),조사선(Sa Sun Cho)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생쥐 소뇌의 생후발육과정 중에 희소돌기아교세포에 나타나는 carbonic anhydrase II (CA-II)의 출현정도와 말이집형성을 서로 비교관찰함으로써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CA-II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신생, 1주령, 2주령, 3주령, 4주령 및 5주령 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표지물질인 CA-II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말이집염색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II에 대한 면역염색결과 CA-II에 양성반응을 보인 희소돌기아교세포는 2주령의 소뇌에서 처음 관찰되었으며 그 반응성은 점차 증가되어 3주령과 5주령에서 보다 강한 반응이 관찰되었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포는 백색질 부위에서 점차과립세포층 및 조롱박세포층으로 이주해 가는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Mordant-dye를 이용하여 말이집염색을 수행한 결과 2주령부터 약한 염색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 차 염색성이 증가되었다. 말이집염색은 주로 소뇌 백색질의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며, 연령에 따른 염색부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쥐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의 CA-II의 기능이 말이집형성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carbonic anhydrase II (CA-II)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oligodendrocytes, the cells responsible for myelin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no direct evidence on relationship between myelin formation and CA-II immunoreactivity has been described. The aims of these studies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II and myelination during cerebellar development of mouse. Myelin staining was found on postnatal (P) 14, and its intensity increased in proportion to developmental age. CA-II positive oligodendrocytes were observed in the white matter of cerebellum on P 14 day. CA-II positive oligodendrocytes also occured in the granular layer and Purkinje cell layers in the later stage of dvelopment. The parallel development in the CA-II expression and myelination during development suggests that CA-II in oligoendrocyte play a role to myelination.

      • KCI등재

        한국인 정상 심장 승모판의 해부학적 구조

        배태영(BAE Tae Yeong),박경한(PARK Kyeong Han),황덕호(HWANG Douk Ho),조사선(CHO Sa Sun),장가용(CHANG Ka Young),백상호(BAIK Sang Ho),이광호(LEE Kwang Ho) 대한체질인류학회 198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 No.1

        한국인 정상 심장 승모 판의 해부학적 구조의 관찰 및 계측을 통해서 승모 판의 정상 구조를 기술하고 개 집술 및 심혈관 조형술에 이용될 기본 자료를 작성하기 위해성인 시체 40구(남성 26, 여성 14)의 심장을 대상으로 조상하였다. 한국인의 승모판에 대한 본 논문의 성적은 전반적으로 Ranganathan 등(1970)의 연구 성적과 일치하였으며, 후첨의 소엽이 3개인 경우가 85%로 Ranganathan 등 (1970)의 결과(92%)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소엽들을 독립된 첨으로 취급한 Harken(1952)의 논문에서 75%에서 4개의 첩으로 구성된다는 주장과도 일치하였다. 계측대상은 승모판 윤의 둘레, 전첨 및 후첨 소엽의 폭과 넓이, 후첨의 소엽 수 등이며 이들은 남녀 및 외국인에서 연구 보고된 계측 치와 비교하여 성별, 종족별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 SCOPUSKCI등재

        단세포군 항체 OKT6를 이용한 태아의 표피 Langerhans 세포 출현에 관한 연구

        이철헌(Cheol Heon Lee),윤재일(Jai Il Youn),이유신(Yoo Shin Lee),조사선(Sa Sun Cho) 대한피부과학회 1985 大韓皮膚科學會誌 Vol.23 No.1

        Using a monoclonal antibody OKT 6, we nvestigated Langerhans cells by indirect immunoperoxidase technique in 60 skin specimens of fetuses from 3 months of gestation period to 10 months and 21 skin specimens of adults for the study of their development and the comparison of their density in fetus with ad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angerhans cell population density of fetus was 52/mm in 4 months of gestation period, l07/mm in 5 months,136/mm in 6 months, l97/mm in 7 months, 235/mm in 8 months, and 311/mm in 10 months and there was a tendency to increase from 4 months to 1Q months. The earliest fetal skin specimen showing OKTg(+) Langerhans cell was that of 13 weeks and 2 days of gestation period. 3. Langerhans cell population density of back skin in fetus was 12.6% in 5 months, 16.0%, in 6 months, 20. 8% in 7 months, 26. 4% in 8 months and 36, 2% in 10 months of 900/mm in adult back skin. 4, Langerhans cell population density in adult was 432/mm in the skin of shin, 363/mm in prepuce, and 90Q/mm in back ski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fference between prepuce and back skin(p<0. 00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