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Salicylate on the Spiral Ganglion Cells

        이병란,Lee, Byung-La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88 Applied microscopy Vol.18 No.1

        살리실산이 백서 와우의 나선신경절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생후 $4{\sim}5$주의 Sprague-Dawley계 백서에 $500{\sim}600mg/kg$의 용량으로 살리실산 나트륨을 7일간 피하주사한 후에 각각 24시간(1군), 6주(2군), 10주(3군) 경과 후에 와우조직을 얻어 나선신경절에 나타나는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1군에서는 신경절세포와 위성세포 그리고 Schwann cell의 세포질내에 다양한 크기의 막소구의 팽창이 나타났으며 Schwann cell 내에서는 미토콘드리아가 팽윤되거나 다낭성 세포소체를 형성하였다. 2. 2군에서는 신경절세포나 위성세포내의 막소구들이 더욱 팽창하고 그 일부는 융합하여 세포질이 감소하였다. Type I 세포의 신경 세포체나 신경섬유 주위를 싸고 있는 수초는 각층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일부는 소실되었고, Type II 세포내에는 신경미섬유가 증가하였다. 3. 3군에서는 수초의 변형 및 파괴로 신경절세포의 세포질 이탈이 관찰되었고 Corti기 및 골성 나선판에 위치하는 신경섬유들의 소실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나선신경절세포와 그 주위를 둘러싸는 위성세포 및 Schwann cell은 과량의 살리실산 나트륨 투여후에 미세구조의 변화를 보였으며 1군에서 2군, 3군으로 갈수록 변화가 더욱 현저하였다. The ototoxic effects of salicylate on the ultrastructure of spiral ganglion cells were examined. Sodium salicylate($50{\sim}60\/kg$ body weight, once a day for 7 day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to $5{\sim}6$ week-old fifteen Sprague-Dawley rats. Animals were sacrificed 24 hours (group 1), 6 weeks (group 2) or 10 weeks (group 3) after the last injection. In group 1 animals, distention of membranous cisternae was found in the cytoplasm of ganglion cells, satellite cells and Schwann cells in which enlargement or multicystic cytosome formation of the mitochondria were shown. In group 2 animals, membranous cisternae became larger or fused to form larger vacuoles or cysts. Shrinkage of spiral ganglion cell cytoplasm and loosening of myelin sheath were seen. In group 3 animals, extensive swelling or loss of nerve fibers were shown along with the folding or partial loss of myelin sheath which caused leakage of ganglion cell cytoplasm. It was concluded that the ototoxicity of salicy-late caused the ultrastructral changes of the spiral ganglion cells which became more severe in group 2 and 3 animals. The possibility of retrograde degeneration following the sensory cell changes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Matrigel이 배양상태에서 정상 흰쥐로부터 얻은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한경(Han-Kyung Lee),김현준(Hyun-Joon Kim),유영복(Young-Bok Yoo),황일태(Il-Tae Hwang),황덕호(Douk-Ho Hwang),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rigel, a reconstituted basement membrane, on the expression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in culture. Rat pituitary cells cultured for 6 days on Matrigel showed 3-dimensional, lobular structures with connecting cells while those on plastic showed flat, polygonal cells forming a monolay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prolactin (PRL) content in the anterior pituitary cells was higher compared to those cultured on plastic. In comparison, TSH expression was not increased in cultures on Matrigel. The total cell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fibroblasts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trigel is a useful culture substrate for the enhanced expression of PRL but not for TSH.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find a useful culture substrate for TSH cells. 본 연구는 세포배양에서 기저막 성분인 Matrigel이 뇌하수체 세포의 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 행되었다. 위상차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한 관찰에서 Matrigel 위에서 배양 된 쥐의 정상 뇌하수체 세포는 3차원적 구조를 형성하였는데, 이 때 세포덩어리들은 마치 생체내 분비샘들의 소엽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Western blot을 사용한 관찰에서 세포 내에 포함된 젖샘자극호르몬 (PRL)의 양이 유의하게 증가됨이 관찰되었으나,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분석의 결과로 볼 때 갑상샘자극호르몬 (TSH)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Matrigel은 PRL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나 모든 종류의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 되었으므로 각 종류의 뇌하수체 호르몬세포에 적합한 배양기질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후보

        AKT가 SV-HUC-1 세포주의 형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민규(Min Kyu Kim),이병란(Byung 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4

        세포신호전달 물질인 protein kinase B (PKB/AKT)는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거나 세포사멸의 억제를 통해 발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반대의 결과도 보고되고 있고, 또한 그 작용기전은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지금까지 정상 방광상피세포에서 AKT의 기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사람 이행상피세포주인 SV-HUC-1에서 AKT 활성을 억제시킨 후, AKT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그 조절 기전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이입을 통한 dominent negative AKT (DN-AKT)의 과발현으로 유도한 AKT의 활성억제가 crystal violet 염색과 flow cytometry에서 세포 성장률 감소와 G1 phase 세포들의 비율 증가를 초래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때 p27kip1과 전사인자인 forkhead transcription factor (FKHR)의 단백발현이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위 결과로부터 AKT의 활성은 방광상피세포의 세포성장에 기여하며 이때 세포주기 조절 단백인 p27kip1과 FKHR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lthough protein kinase B (PKB, AKT) has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for its roles in oncogenic transformation and apoptotic prevention, controversial results are also reported. Here we assessed the role of AKT in the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a key set of cell cycle regulators in the human normal uroepithelial cell line, SVHUC-1. AKT activity was suppressed by permanent transfection of dominent negative (DN)-AKT with Lipofectamine Plu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the crystal violet assay. DNA contents stained by propidium iodide were measured by flow-cytometry for cell cycle analysis. Cell growth curve showed that overexpression of DN-AKT which suppressed the AKT activity decreased the cell growth. In the cell cycle analysis, overexpression of DN-AKT resulted in a 6%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ells in G1 phase. Furthermore, DN-AKT overexpression increased the p27Kip1 protein expression and the activation of a transcription factor FKHR, which induces p27Kip1 transcrip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n normal uroepithelial cells, AKT activation increases the cell growth through the influence on p27Kip1 expression and FKHR activation. Thus, AKT may be used as a biomarker for tumor transformation of bladder uroepithelial cells.

      • KCI등재

        한국인 태아의 안구 발육에 관한 형태계측학적 연구

        유영복(Young Bok Yoo),이경훈(Kyung Hoon Lee),이병란(Byung Lan Lee),차중의(Choong Ik Cha),조사선(Sa Sun Cho),장가용(Ka Young Chang),백상호(Sang Ho Ba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4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7 No.1

        간추림 : 태생기간 동안 안구의 발육을 관창하기 위하여 태령 14주에서 40주에 이르는 태아 의 안구 67예를 조사하였다. 태아는 서울의대 병리학교실과 경상의대 해부학교실에서 수집한 것으로 외견상 정상으로 보이는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아를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고정액에 당가 충분히 침투시킨 다음 안구를 적출하여 공막 주변의 결합조직을 가능 한 모두 제거하였다. 측경양각기(calmer)를 이용하여 안구의 가로직경(transverse diam-eter) 과 앞뒤직경(anteroposterlor diameter) 을 계측하였으며 안구의 용적은 물치환장치(water displacement apparatus)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강은 결과를 얻었다. 1. 안구의 가로직경은 태령 14주에 57mm, 태령 40주에 169mm 로 297배의 중가를 보였다. 2. 안구의 앞뒤직경은 대령 14주에 56mm, 태령 40 주에 165mm 로 2,95 배의 증가를 보였다. 3. 안구의 용적은 태령 14주에 0.14ml, 태령 40 주에 3.13ml 로 22.4배의 증가를 보였다 4. 태령 초기에 뒷극 (posterior pole) 의 부위가 돌출된 원추형에서 31주 이후에는 성언의 안구모양연 구형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GH₃ 뇌하수체 종양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laminin, Matrigel 및 EGF의 영향

        정경아(Gyung-Ah Jung),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3

        뇌하수체 앞엽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호르몬 분비세포가 존재하므로 한가지 종류의 호르몬 세포만을 상대로 연구를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GH3 세포는 뇌하수체종양세포로서 젖샘자극호르몬 (PRL)과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세포의 특성을 유지하지만 배양기질에 부착력이 낮으며 작은 비율의 세포만이 PRL을 발현하고 장기간 배양시에는 세포의 과증식이 일어나므로 장기배양이 어렵다. 세포사이물질(ECM)은 단세포배양시에 일어나는 세포의 특성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양기질로 사용되고 있다. ECM과 성장조절인자는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세포에 영향을 미치나 이때 성장조절인자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기질로 사용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조절인자인 EGF와 세포사이물질을 이용하여 GH3 세포의 PRL 세포로서의 분화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들의 성장, 증식 및 PRL 발현세포의 빈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수측정, bromodeoxyuridine (BrdU) 표지, BrdU 및 PRL에 대한 면역세포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EGF는 본 연구에 사용된 배양기질인 배양용 플라스틱, laminin 및 Matrigel 위에서 GH3 세포수를 감소시키고 PRL 세포로의 분화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고 특히 Matrigel과 함께 사용시 가장 높은 분화도를 나타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GH3 세포의 장기배양시에 과증식을 막고 특성소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Matrigel 위의 배양에서 EGF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ulture system optimal for the study on pituitary prolactin cells using growth factor and extra cellular matrix components as the culture substrate. Th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lone or along with extracellular marix components on GH3 cell growth and PRL expression was assessed using cell count, BrdU-immunocytochemistry and PRL-immunocytochemistry in in vitro cultures on plastic, laminin and Matrigel. EGF decreased the cell growth, BrdU-labeling and increased the PRL-immunoreactive cells regardless of the culture substrate by day 3 of the culture. Matrigel was the best culture substrate to decrease the cell growth and to increase the PRL expression. EGF treatment in the Matrigel culture showed about 80.5% of PRL-immunoreactive cells by day 6 of the cultu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trigel is the better culture substrate than plastic or laminin to inhibit the overgrowth and to increase the prolactin expression of the GH3 cell and that EGF and Matrigel causes very effective culture environment for the long-term culture of the GH3 cell by synergistic mechanism.

      • KCI등재후보

        Epidermal Growth Factor (EGF)에 의한 GH₃ 종양세포의 성장억제에 관한 연구

        정경아(Gyung-Ah Jung),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3

        젖샘자극호르몬(프로락틴, PRL)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종양에 대한 일반적인 약물 치료제로 도파민 효능약물(agonist)인 bromocriptine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환자가 보고되고 있어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성장조절인자인 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뇌하수체종양 세포에서 도파민 수용체를 유발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와 반대되는 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이 없다고 보고되어 있는 GH3 세포배양에 EGF를 투여하여 GH3 세포에서 bromocriptine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EGF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들을 EGF 투여군과 비투여군으로 나누어 EGF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각 군을 다시 bromocriptine 약물 비투여군 및 투여군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의 세포 성장과 아포프토시스 및 PRL 발현상태를 비교하였다. 이때 GH3 세포들을 소태아혈청 (10%)이 포함된 Ham’s F-10 배양액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약물이 포함된 무혈청 배양액으로 바꾸어 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EGF를 투여한 GH3 세포들에서 세포돌기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세포수 및 BrdU 표지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아포프토시스의 유의한 변화는 없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EGF는 세포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RL을 발현하는 세포들의 비율이 증가되었으므로 EGF는 GH3 세포를 PRL 세포로 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EGF 투여는 bromocriptine에 대한 GH3 세포의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 증가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amoxifen도 단독투여시에는 아포프토시스를 증가시켜 세포수를 감소시켰으나 bromocriptine과 병용시에는 bromocriptine의 효과를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EGF나tamoxifen 처리가 GH3 세포의 도파민 수용체를 유도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Some of the pituitary prolactinomas were reported that they don’t have active dopamine receptors and do not respond to bromocriptine which is a dopamine agonist. GH3 cell line which is derived from the rat pituitary tumor cells lacks affinity of dopamine receptors and secrete prolactin as well as small amount of growth hormone.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duces functional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on GH3 cells in vitro, there has been a contradictory result. In the present study, EGF effect on the GH3 cell response to the bromocriptine was observ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EGF induces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on dopamine resistant tumors in the absence of serum. GH3 cells were cultured for 4 days in the serum-supplemented medium (SSM) followed by culture in serum-free medium (SFM) with or without EGF. Additionally, effect of tamoxifen was also observed. EGF decreased the cell number and the ratio of cell division of GH3 cells while the ratio of prolactin-immunoreactive cells was increased. However, EGF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GH3 cell response to bromocriptine treatment. Although tamoxifen decreased the GH3 cell number by increasing apoptosis, it did not influence GH3 cell response to bromocriptine. Our results indicate that EGF does not increase the affinity of dopamine receptors on GH3 cells and is not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 dopamine-resistant prolactinoma.

      • KCI등재후보

        노화된 흰쥐 대뇌겉질에서 NOS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정윤희(Yoon Hee Chung),신정민(Chung Min Shin),이왕재(Wang Jae Lee),황덕호(Douk Ho Hwang),이병란(Byung Lan Lee),조사선(Sa Sun Cho),백상호(Sang Ho Baik),차중익(Choong Ik Cha)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수많은 생리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중추신경계통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서 synaptic plasticity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노화 흰쥐에서는 NO의 생성이 감소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지만 NO를 생성하는 세포의 노화에 따르는 형태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군 흰쥐와 대조군 흰쥐의 대뇌겉질 및 해마의 각 영역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의 분포와 형태 양상을 면역세포화학 방법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흰쥐와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들은 대뇌겉질 및 해마의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2.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가지돌기는 가지치기 양상이 많이 감소했으며 길이도 짧아졌다. 3.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는데 부위별로 달랐다. 그 중 50% 이상 감소된 부위는 띠겉질 (cingulate cortex), 마루엽겉질 1영역 (parietal cortex area 1), 관자엽겉질 2, 3영역 (temporal cortex area 2, 3), 뒤통수엽겉질 2영역의 내측 부분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뒤통수엽겉질 1영역의 monocular와 binocular 부분 (monocular and binocular of occipital cortex area 1), 속후각겉질 (entorhinal cortex), 해마 (hippocampus proper), 치아이랑 (dentate gyrus), subiculum 등이다. 4.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는 대조군보다 염색성이 감소되었다. 5.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하면 노화군 흰쥐에서 NOS mRNA 양성세포의 수가 대조군 흰쥐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볼 때 노화에 따라 NOS 신경세포 수는 감소한다는 형태학적 증거를 파악하였고 이에 따라 NO 의 생성도 감소함으로써 학습과 기억 능력의 감퇴가 수반되는 노화의 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부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Nitric oxide (NO) involvement has been demonstrated in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particularly in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 mechanism that underlies certain forms of learning and memory. Further, NO has been shown to regulate various neurotransmitt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memory. Several findings suggest that NO production may be decreased in the aged rat. Changes in the nNOS-containing neurons with aging were demonstrated by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NOS-immunoreactive cells in aged rats were present in all cortical areas and the hippocampus, and the pattern of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OS-immunoreactive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ged rats, but the extent of changes was variable in each area, and ranged from mild decrease (<30%) to severe decrease (>50%). Severely decreased areas were the cingulate cortex, parietal cortex area 1, temporal cortex area 1, 2, 3,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monocular and binocular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1, entorhinal cortex, hippocampus proper, dentate gyrus and subiculum. Moderately decreased areas (30~50%) were frontal cortex area 1, 2, 3, parietal cortex area 2, forelimb, hindlimb, later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Slightly decreased area was insular cortex. Morphologically,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seemed to be decreased in aged group and the length of dendrites of NOS-IR neurons showed a tendency to shorte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in the aging brain, and provide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loss of NOS neurons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aged rats by immunocytochemistry. Further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s involving normal aging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are needed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nitric oxide changes in the cerebral cortex with aging.

      • KCI등재후보

        한국인 위암세포에 미치는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의 세포사멸 효과 및 분자기전 연구

        김지현(Ji hyen Kim),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 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1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induces apoptosis in some cancer cells such as breast, prostate, lung, and colon cancer cells, but not normal cells. However, because the effects of TRAIL in gastric cancer cells is unclear, we undertook this study to clarify the effects of TRAIL and its mechanism. To assess the cytotoxicity of TRAIL, two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SNU-484 and SNU601, were treated with TRAIL (0-20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ycloheximide (1 μg/mL) for 24 h. Both SNU-484 and SNU-601 were sensitive to TRAIL-induced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mbination of TRAIL (100 ng/mL) and cycloheximide (1 μg/mL) for 24 h enhanced cell death and PARP cleavage by promoting activations of caspase-8, caspase-9, and caspase-3, relative to that of TRAIL alone. We further examined the expressions of death eceptor 4(DR4), death receptor 5 (DR5), and FLICE inhibitory protein (FLIP). Although DR4 and DR5 were expressed in both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long form (FLIPL) and short form (FLIPS) of FLIP were detected at the low levels. Overexpression of FLIPL or FLIPS in both cell lines rendered the cells resistant to TRAIL.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FLIP promotes human gastric cancer cell survival against TRAIL-induced apoptosis and is important modulator for TRAIL-induced cell death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등 여러 암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발하지만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TRAIL이 위암세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위암세포에서 TRAIL의 세포사멸 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위암세포주, SNU-484 세포와 SNU-601 세포에 TRAIL (0~200 ng/mL)과 단백 합성 제해제인 cycloheximide (1 μg/mL)를 24시간 동안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하여 세포독성을 관찰하였다. SNU-484 세포와 SNU-601 세포는 모두 TRAIL에 대해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보였다. TRAIL과 cycloheximide를 병용투여 하였을 때에는 세포사멸이 TRAIL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상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TRAIL (100 ng/mL) 투여 후 24시간에 caspase-8,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 및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의 절편이 모두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cycloheximide (1 μg/mL)와 병용하였을 때 더욱 증가하였다. 나아가 TRAIL 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TRAIL의 세포사멸 유도 수용체인 death receptor 4(DR4)와 death receptor 5 (DR5)가 SNU-484와 SNU-601 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다. 반면 caspase-8의 활성을 저해하는 FLICE-like inhibitory protein (FLIP)의 발현은 SNU-484와 SNU-601 세포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세포에 FLIP 유전자를 과발현시켰을 때에는 TRAIL에 의한 세포사멸 효과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NU-484와 SNU-601 세포에서 TRAIL이 수용체를 통하여 caspase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FLIP 유전자의 발현이 이러한 세포사멸 효과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