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지적장애인의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민기연,김은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8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their school life. Five adult men an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participated in the qualitative study of reporting ‘the types and impa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all the participants were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roughout the 12 years of public education. Although it is a characteristic of school violence revealed in many studies that the perpetrator and victim intersect sometime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fixed in the victim's position and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school violence ranging from verbal violence to physical violence. The participants, who realized that the problem would not be solved even if they reported it to the school, gradually fell into learned helplessness and suicidal thoughts, remembering their school days as the most terrible memories. Study participants were still under the negativ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ven as adults, and they mentioned strong punishment for perpetrators and protection for victims as the most important nee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with five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nd it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experiences of al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data distortion is acknowledged due to the nature of the research method. However, it can be accumulated as research result in related subject areas by identifying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through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suggesting practical supports that can help solve problems at schoo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 role in policy development to prevent and support school viole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construct the basis for specific institutional intervention.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폭력 관련 경험을 비장애 및 다른 장애를 가진 학생의 학교 폭력 경험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폭력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들의 원만한 학교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창시절에 학교폭력을 경험하였던 성인 남녀 지적장애인 5명을 질적연구의 참여자로 하여 ‘성인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학교폭력의 유형과 경험이 어떠한가’를 회고적으로 살펴보았고, ‘학교폭력 경험이 성인이 된 지적장애인의 삶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이들 당사자가 가진 지원요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심층면담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 전부는 12년간의 공교육 과정 내내 학교폭력의 피해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로 가해자와 피해자가 교차하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학교폭력의 특성이지만, 지적장애 학생들은 피해자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었으며, 언어폭력에서부터 신체적 폭력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학교폭력을 경험하였다. 외부에 학교폭력 사실을 알려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을 인식하게 된 참여자들은 학습된 무기력에 빠져들며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하였고, 학창시절은 가장 끔찍한 기억으로 남겨졌다. 학교폭력 경험은 성인이 된 지금도 이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가해자들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피해자 보호를 주요한 지원요구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5명의 지적장애 당사자를 연구참여자로 한 질적연구로, 연구의 결과를 전체 지적장애 학생의 경험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학교폭력을 경험한 지적장애인 당사자를 통해 학교폭력의 실제를 파악하고, 학교현장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요구를 제안함으로써 관련 주제 영역의 연구성과로 축적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과 따돌림 등을 예방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개발 및 구체적인 제도적 개입의 근거 마련에 본 연구의 결과가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체육고등학교에서 주지 교과 교사로 살아가기의 어려움

        박성기 ( Park Sung-ki ),제성준 ( Zae Sung-z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 교과 교사들의 교직 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고민과 갈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체육고등학교만의 문화적 특성을 도출하여 체육고등학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광역시 소재의 B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교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교직 생활에 대해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y)로 실시하였다. 관찰, 문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기 전 학교 밖에서 바라본 시선에서 주지 교과 교사로서 업무와 수업의 부담이 적고 학교 생활에 있어서도 편하게 지낼 수 있는 학교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체육고등학교를 지망하여 근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와는 다르게 근무를 하면서 담임 교사, 교과 교사, 조직구성원의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담임교사 측면에서는 기본생활 습관이 부족한 학생들과 운동부 감독 교사들이 담임 위의 담임으로의 인식, 진로 진학 지도 차원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교과 교사 측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기본 태도의 부족, 중학생 수준의 낮은 기초 학력 수준, 교재 연구의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조직 구성원으로서는 무임승차, 우리는 소수, 소통이 없는 교사 문화로 인한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 교과 교사를 위해 교직 문화 적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체육고등학교 문화에 관한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문제점의 일부를 드러내기 때문에 나아가 체육고등학교의 교육 정책 수립 및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by deriving cultural characteristics unique to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worries and conflicts the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working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re experiencing. For this, an ethnography study was conducted on the school life of two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working at B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school document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Before work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the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thought they could have a comfortable school life with less burden of work and classes. Based on this assumption they decided to go to a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for their convenience and started working. However,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s, they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s homeroom teachers, subject teachers, and members of the school.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adaptation to school culture for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assigned to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In addition, since the results reveal some of the educational problems that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especially hav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ffective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에 관한 연구

        김태훈,이병욱,류병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factors of key competenc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based on the analysis of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re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areas. In particular, ‘work of produc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onducting drawing’ is derived from the area of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rackdown on viola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making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Additionally,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o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knowledge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production and technology’, ‘regulation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terms in intellectual property’, ‘procedures of having intellectual property a right’, ‘laws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scope of patent right’, ‘technique of paten analysis’, and ‘work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suggested. Also,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required on the perspective of function, function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assessment’, ‘understanding products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patent’, ‘understanding work’, ‘conducting drawing’, ‘understanding drawing’, ‘understanding document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re suggeste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fundamental data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systematically. Thus, sustainable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have the factors developed as subjects at school for liaison with curriculu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share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 the suggested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grouped to be developed into a subject, which can be later concluded as a subject which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and also, a subject which focuses on practice. In conclusion,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available to make concrete the scope of curriculum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hape direction of personals education.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accrediting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 수준에서 양성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 졸업 수준에서 접근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을 지식재산 창출 영역의 ‘생산 직무’, 지식재산 보호 영역의 ‘도면 작성 직무’와 ‘지식재산 정보 제공 직무’, 지식재산 활용 영역의 ‘침해 단속 직무 수준’에서 도출하였다.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지식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제품 및 기술’, ‘지식재산 관련 제도’, ‘지식재산 관련 용어’, ‘지식재산 권리화 절차’, ‘지식재산 관련 법’, ‘특허 권리 범위’, ‘특허 분석 기법’, ‘지식재산 업무’와 관련된 지식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평가’, ‘제품 및 기술 이해’, ‘특허 이해’, ‘업무 이해’, ‘도면 작성’, ‘도면 이해’, ‘문서 이해’, ‘의사소통’, ‘대인관계’와 관련된 기능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는 체계적인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특성화고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해서 교과목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을 지식과 기능의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유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실습 통합 교과 성격의 교과목 또는 실습 중심의 교과목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핵심 역량 요소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범위의 구체화와 실무 인력 양성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나아가 지식재산 실무인력 자격 제도의 확립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민천식 ( Chun Sik Min ),오원석 ( Won Seok 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요구와 학교생활 만족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 요구를 분석하고자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 21명과 비장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와 학교생활 요구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각 척도는 통계적으로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와 만족도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학교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지적장애학생들은 성적 중위학생들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구들로는 교육과정수정 및 물리적 배치 요구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별화와 더불어 통합학급 학생과의 동등한 학습참여 기회를 부여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교사를 우선적으로 통합학급 담당 교사로 배치하여 장애아동과 교사의 관계 개선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needs fo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t inclusive education and to analyze needs for school life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or these purposes, we sampled 2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34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used scale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needs for school life,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scale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needs fo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milar to that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se school achievement was average. Needs influencing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s satisfaction with school were curriculums modification and physical arrangement. Considering these results, what are required the most for enhancing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s satisfaction with inclusive education are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them and improving their relation with integrated class students.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인권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

        이미숙 ( Lee Misuk ),한송이 ( Han Song-y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바라보는 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 4명으로,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은 잘 모르겠지만 중요하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인권침해라는 개념은 곧 학교폭력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현재 인권이 지켜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문제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인권이 지켜지지 않았던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침해 경험과 관련하여서는 단호한 태도로 부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누군가 자신의 인권을 침해했을 시에 부모, 교사, 경찰 등 누군가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학교에서 이루어진 인권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하면서, 학생들은 인권 교육과 관련하여 배려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인권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는 의견을 드러냈다. 결론: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인권 교육에 대한 인적·물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인권침해를 예방하는 인권 교육 시스템이나 구조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Method: Four high school students from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which data was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violations was recognized as school violence. Secon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in what?, and on the other hand, they had experiences in the past when human rights were not protected. Thir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 strong attitude regar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ad the idea that if someone violated their human rights, they should inform their parents, teachers, and/or police. Fourth, although human rights classes were clearly held 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tudents said that they did not remembe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classes, and stu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create a society that is considerate in relation to human rights education and learn more about human righ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support for specific and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 that enab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to practice their rights on their own initiative, and a preventiv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al environment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 및 취업욕구와의 관계

        조윤기,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 실태, 여가생활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여가생활 만족도와 취업욕구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국 6 개 특수학교 전공과의 지적장애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여가생활 실태, 여가생활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그리고 취업욕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전공과에 소속된 지적장애학생은 평일보다 주말에 여가활동을 하는 시간이 많았고, 주로 가정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며, 특히 TV시청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학교생활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여가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생활 만족도와 취업욕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이 보다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제도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isure life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desir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special school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ose relationships, targeting on 9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six vocational courses of the special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about the status of leisure life, level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desi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special schools were more inclined to spend their leisure time on the weekend rather than weekdays, usually at home, especially for enjoying watching TV a lo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level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special schools, which means the higher level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follow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desi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re must be an improvement of an institution in educational dimension as well as institutional one to have better leisure lives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special schools.

      • KCI등재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병훈,이영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problem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64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rved a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A time sample record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behavior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frequency record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behaviors in the stairs, hallway, bathrooms, cafeteria, and playgrou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mean(M), standard deviation(SD) and a paired sample t-test were taken by SPSS 22.0 program. This study carried out interventions of changing environment, teaching expectation behavior, and self-evaluation. This study did not use reinforcing strategies like stickers and timeout to discipline students. The expected behavior of each place was commissioned by a professional advertising agenc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as actors to produce educational videos and photos. The boards for behavioral expectations were attached at the entrance wall. ‘Safety’, ‘Caring’ and ‘Liability’ defined the essence of behavioral expectations. Teachers conveyed expected behaviors to the students. Self-evaluation was implemented by the students every day of the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 reduced the problem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reased school life satisfaction about school fac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이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비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전북 J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의 지적장애학생 3명과 비장애학생 64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5년 3월 2일부터 11월 10일까지였으며, 중재는 통합학급 교실, 계단과 복도, 화장실의 세면대, 식당, 놀이터에서 5주 동안 10회기씩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적용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팀을 구성하였으며 긍정적 행동지원의 기본원리, 비전, 중재실행 등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였다. 문제행동에 대한 조사와 지원팀 협의를 통하여 연구대상 문제행동을 분석하였다. 학교생활규정을 개정하였으며 연구대상 학생이 참여하여 교육용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기대행동 안내판을 장소별로 설치하였고 담임교사가 연구장소에서 행동을 직접교수하였다. 매일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을 자기평가하였으며 기대행동을 할 때에 사회적 칭찬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고, 비장애학생의 학교 시설 이용에 관한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직업계고 대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강경균,이건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and to utilize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ation and basic data of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and invention educa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best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s, and suggested implications through expert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in vocational high schools can provide more realistic and educational value in contents and methods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addition, education on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expand their thoughts and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help commercialize and utilize ideas.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it wa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in regula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level of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o achieve creative career design and creation. Finally, entrepreneurship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within the school but also outside the school community. It will help revitalize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f the activities of convention education a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ivities such as the exchange with the founding university of the region, the mentoring with the young entrepreneur in the community, and the free school term of the middle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대상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을 통해 지식재산 및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계고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관련 우수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은 지식재산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더 현실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생각과 체험의 깊이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은 아이디어 사업화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서는 정규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지식재산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적 활동은 학생의 적성에 맞게 운영을 하여 진로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창의적 진로 설계 및 창직에 이를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 및 지식재산교육에 대하여 학교 안에서의 활동뿐 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의 창업선도대학과의 교류, 지역사회 젊은 창업가와의 멘토링, 지역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창업대회 등과 맞물려 교육 활동이 전개된다면 지식재산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기업의 지식재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지식재산 전문대학원 설립 및 교육 요구조사

        이병욱,최유현,육소영,이규녀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재산의 창출자이면서 실수요자인 기업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반영한 지식재산 전문대학원의 설립 및 교육 요구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식재산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에서 요구하는 지식재산 전문 인력의 인재상은 ‘국제능력과 이·공학, 법학, 경영학적 소양과 지식, 고도의 실무 능력, 그리고 정의적 특성을 겸비한 인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식재산 전문 인력 양성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지식재산 전문 교육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지식재산 창출, 보호, 활용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지식재산 창출 인력의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식재산 전문대학원 설립유형 중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로스쿨 내에 설립’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선호하는 설립 유형은 달랐지만 이 유형을 선호하는 이유로서 지식재산 분야가 이·공학, 법학 그리고 경영학적 소양과 지식을 배우는 복합 학문적인 성향과 실무 위주의 전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on the establishment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of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schools form enterprises that are the creators and actual demanders of intellectual property. To achieve this purpose, a study was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specialist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The study's result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 obtained in the study is as described below. Firstly, it was recognized that the ideal talents of specialist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required by the enterprises are “the talents who are equipped with international capability, the knowledge of science & engineering, law, and management, high-level of practical work, and definitional characters.” It was recogni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is required as the measure to grow with systematic the professional manpower of such intellectual property. Secondly, the levels of the requirements for education of the manpower for crea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was found the requirement for education of the manpower for cre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was the highest. Thirdly, in the models of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schools, the most preferred model was found to be the ones established in the law schools. Although the models preferred by the enterprises were different, all the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greed in the necessity for professional education focused on the integrated academic property and practical work to learn the science & engineering, law, and management knowledge.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교육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삼섭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of teach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92 special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was highly evalua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ㆍbehavioral support,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knowledge related to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teacher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support factor, intellectual disability knowledge factor, psychologicalㆍbehavior support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eacher training course and retraining proces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교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수능력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수준을 알아본 후 중요도-실행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교수능력 조사지’를 개발하여 지적장애학교와 정서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교육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학생지도, 소양ㆍ태도, 수업지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교육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실행도 인식수준은 소양ㆍ태도, 학생지도, 협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교육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지도, 학생지도, 기초지식, 환경구성, 협력, 소양ㆍ태도의 6개 요인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교수능력은 장애특성을 고려한 교재교구 개발 및 활용으로, 차이가 가장 작은 교수능력은 인권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교육교사의 양성과정 및 재교육 과정 구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