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강경균,이승원,김승현,연정아,홍영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engineering technology,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and flow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typ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5 domestic academic journals, as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edition till April 30th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out of 83 volumes in total, more than 10% per academic journal contained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ost number of thesis were be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re were more researchers who were middle-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subject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was indicated to the highest and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tre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were being conducted in majority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es so quantitative researches took up a large part. As for research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verifications on the assessment and effect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 number of professor researches was the highest in both independent research and joint research. In case of joint research, there were many field teachers. This confirms that a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sites in the majority of STEAM education researches, joint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 및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기술 관련 국내 5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5종 학술지는 공학기술 관련 학회지로서 학회지 발간 호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공학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회지 분석 결과 전체 83편중 각 학회지 별로10%이상의 융합교육 관련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육보다 중등교육에서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자별 분석 결과에서도중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구자가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 문헌분석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융합교육 연구에서 교육 동향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로는 평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을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연구자 별 분석결과는 단독 연구 및 공동 연구 모두 교수 연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 연구의 경우는 현장교사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STEAM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강경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을 정립하고, 기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거 이론 연구 방법(Ground Theory)을 활용하였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전문가 21명에게 기업가정신 교육 경험에 대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Strauss& Corbin의 근거 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개방 코딩(Open Coding)을 통해 수집된 코드들을 반복적으로 비교함으로써 19개 범주, 54 개의 하위 범주, 16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자료수집과 함께 이론의 맥락과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축 코딩(Axial Coding)을 실시하였고,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을 통해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의 핵심 범주인 “‘나 다운 삶’을 위해 삶의 주관자로서 자기 혁신을 실천하여 참된 가치를 창조함”을 도출하였으며, 통합적으로 분석 및 해석한 결과 현장 전문가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이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모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함께 개발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하여 학교 안과 밖의 교육과정 연계, 기업가정신 교육 전문가 인력 양성 및 전문성 향상, 기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기관의 예산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교육 지원 기관 간 협력을 통해 정부기관의 예산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및 교육에 대한 교류의 장을 활발히 실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강경균,Kang, Kyoung-Kyoon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하여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의 대상은 기업가 정신 교육 전문 연수에 참여한 100명이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9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도구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8개 영역의 30개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은 전문가를 통해 내용 타당도 검증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육 요구도는 Borich의 교육 요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필요 수준, 현재수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 요구도가 평균 4.9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기업가정신과 관련하여 교사들에게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모든 교육 환경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협업, 전담교사제와 같은 교사지원,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확보,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사 연수 지원, 기타 교육 환경 및 시설 확보 등의 교육환경이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 교육에 있어 교육 수요자인 학습자의 경우, 학부모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학부모의 인식 및 사회의 인식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올바른 개념 정립과 이에 따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 학부모의 경우, 학교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ducational needs of experts for revitaliz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reating effective conditions for suc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hosen 100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92 (92.00%) were used for the analysis. Eight were excluded as they were not properly answered. As for the used survey tool, a total of 8 areas and 30 items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0.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perceived competenc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As for the used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average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y level were calculated and the education needs were calculated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n the averages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The detail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the educational needs in all areas turned out to be very high with the average being 4.94 points, which indicates that the teachers strongly feel the need for education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These results show that all th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entrepreneurship-related curriculum, teacher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support and the perception among school community members are insufficient in the current school sett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us, the education conditions in the following areas should be improved: the cooperation from school community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teacher support such as an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 system, the development of an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he secur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 training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enhancing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society regarding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ecis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it based on such work.

      • KCI등재후보

        초ㆍ중학생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강경균,이진우,탁현수,김진구,조주희,박재조,장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 틀을 도출하고 전문가로부터 타당성을 검증 받았으며, 그 결과에 근거하여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에 시범 적용과 함께 설문 조사 및 질적 자료 수집을 통해 현장 적합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학교의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내용 및 목표를 타당성 있게 개발하였다. 둘째, 초‧중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을 각각 17차시로 구성된 워크북과 교사용 매뉴얼을 개발하여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수업 후 설문 조사 및 질적 자료 수집을 통해 최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용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올바른 개념 정립, 체계적인 교육과정 정립, 교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school students. For this, the verified program after review of the related study literature was developed and adopted to the targe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data collections were used for its site-compatibility and efficacy. t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in this study has considerable reliability in the aspect of both contents and purpose appropriateness. Second, it is concluded that this program has substantial site-preferences owing to the 17 lesson workbooks for students and their manuals for teachers. Third, it was certified that this program could improve students'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lessons through interviews or data collections from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as needed to implement the more well-developed programs for youth after defining the right concept and curriculum, along with investment to raise teachers' expertise on these programs.

      • KCI등재

        직업계고 대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강경균,이건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and to utilize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ation and basic data of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and invention educa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best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s, and suggested implications through expert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in vocational high schools can provide more realistic and educational value in contents and methods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addition, education on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expand their thoughts and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help commercialize and utilize ideas.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it wa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entrepreneurship in regula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level of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o achieve creative career design and creation. Finally, entrepreneurship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within the school but also outside the school community. It will help revitalize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f the activities of convention education a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ivities such as the exchange with the founding university of the region, the mentoring with the young entrepreneur in the community, and the free school term of the middle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대상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을 통해 지식재산 및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계고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관련 우수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은 지식재산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더 현실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생각과 체험의 깊이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기초한 지식재산교육은 아이디어 사업화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서는 정규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지식재산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적 활동은 학생의 적성에 맞게 운영을 하여 진로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창의적 진로 설계 및 창직에 이를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 및 지식재산교육에 대하여 학교 안에서의 활동뿐 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의 창업선도대학과의 교류, 지역사회 젊은 창업가와의 멘토링, 지역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창업대회 등과 맞물려 교육 활동이 전개된다면 지식재산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강경균,김경대,홍소영,박선미,김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상상-도전-창업 정신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창조경제 의 기틀을 마련할 차세대 기술창업인재(Entrepreneur)를 육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에게 타당성을 위해 검토 및 자문을 받았다. 또한, 과학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학영재학교 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학생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중등학교와 국내 초중등학교의 과학기술창업교육 사례 및 유형 조사·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 과학기술창 업교육 운영자와 경험자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과학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념 분류체제 및 모델을 구안하 였다. 둘째, 과학기술창업교육을 위한 34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1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 으며, 수업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강좌를 이수한 학생들은 강의 중심의 운영뿐만 아니라 기술창업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과 대학과 연계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희망하 였다. 둘째, 참여 강사로 동문선배 창업가와 기술창업 CEO 등 전문가에 의한 실제 사례 위주의 경험담을 통한 보다 직접적인 학습과 체험을 희망하였다. 연구활동 지원부분에서는 동아리 활동을 희망하였고, 기술창업 동문 네트워크 활성화 등 전문가 의 조언을 직접 얻을 수 있는 멘토링 지원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Imagine - a challenge - to foster the entrepreneurial spirit and skills opportunities the creative economy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generati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talent develop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to verify that the effect is appli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rough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develop training programs and were reviewed for relevance and advice to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is purpose. Fir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the loc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actice typ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erator experience with this subjec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s and models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Second, for the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veloped a program of 34 periods. Third, we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rial was intended to apply to Korea Science Academy 150 students, implemented a quantitative study to conduct satisfaction surveys after class. Thus, these finding is below. First, we hope to participate in a technology start-up process, you can experience the College Experience Program and associated programs, as well as the center of lecture students who complete the course are. Second, the senior lecturer in alumni participation by expert entrepreneurs and technology start-ups, including CEO driven by the experiences of real-world examples we hope to learn and experience more direct. Research activities was supported in part hope the club activities, expert advice alumni network of technology start-ups enabled mentoring support was required to obtain directly.

      • KCI등재

        중학교 기술교과에서의 전통기술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 탐색

        강경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strategy or material for instruction of traditional technology at the middle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purpose, strategies pertaining to instruction of traditional technology were analyzed with suggested content about traditional technology in the revised curriculum, technology textbooks of 2009, and quality data from the instructor. As a methodology, this study contains analyses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several expressions were found. They pertained to traditional technology in the standard accomplishment of features, purposes, contents, and grades in revised technology textbooks of 2009. However, in the standard accomplishment of learning conten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tandard accomplishment of researching traditional technology in the book 'World of the Technology' for grades one to three of middle school. Second, after researching 11 different kinds of middle school revised-curriculum textbooks in 2009, the findings were that the contents about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echnology were more varied than the content about biotechnology,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after researching educational needs of traditional technology from the examples of 4 applicants related to the traditional technology and teaching and study strategy and material in school, traditional technology can be used in museums as learning tools for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as educational communication method. Moreover, although traditional technology was important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we had to research and teach that in the center position of technology itself. In addition, one can learn that traditional technology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education. One can also find the possibility for using multiple experiential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전통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기술교과서에 제시된 전통기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전통기술을 가르치는 교수자의 질적 자료를 통해 전통기술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를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 분석과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교과에서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학년군별 성취 기준에서 전통기술에 대한 내용 및 표현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학습 내용별 성취 기준에서 ‘중학교 1~3학년군, 기술의 세계 단원’에 전통기술을 탐색하는 성취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1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전통기술의 내용에 있어 제조 기술과 건설기술의 내용이 수송 기술, 통신 기술, 생명 기술보다 더 많고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기술을 소재로 하여 네 명의 참여자의 사례를 통해 전통기술의 교육적 요구와 학교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전략과 자료를 탐색한 결과, 전통기술이 학교 안과 밖의 교육적 소통으로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위해 박물관, 과학관을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민족의 정체성 확립으로서 전통기술이 중요하지만, 기술의 중립적 입장에서 전통기술을 탐색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기술이 융합교육으로서의 중요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학습을 계획할 때 융합적 체험활동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틀(Framework) 개발

        강경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framework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for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studied and developed entrepreneurship semantics,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tents.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Delphi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entrepreneurship is Innovative mind-set to create true value by experience into life in order to pursue 'self full-filling life' as the organizer of life. Second, the natu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is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ims to find and solve new problems through self-management to young people who will lead the future, and to create dynamic challenges and creative changes to create innovative values. Leadership skills, challenging spirit, and abilit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Third, we developed a general goal for youth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oa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urth, as a domai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 have developed 'core discovery', 'entrepreneurial skills', 'becoming an entrepreneur' and developed key the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linkage and educational condition creation for young people outside schools; entrepreneurship program applic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ree-learning semester system; the strengthening of business start-up support for youth in late adolescence,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utilize related institutions in local communities and ot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내용으로서 기업가정신 의미, 기업가정신 교육 성격, 기업가정신 교육 목표,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을 구명하고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은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의미는 ‘삶의 주관자로서 ‘나 다운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생활 속에서 몸소 부딪히며 참된 가치를 창출하려는 혁신적인 마음가짐’이다. 둘째,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성격은 ‘기업가정신 교육은 미래를 이끌어 나아갈 청소년에게 자기 경영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찾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며, 나아가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려는 역동적인 도전정신과 창의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개척정신, 주인정신, 리더십, 도전정신,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등을 길러준다’이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청소년 대상 총괄목표와 초․중․고등학교 학교 급별 목표를 개발하였다. 넷째,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 영역으로서 ‘근간 찾기’, ‘기업가적 소양 갖추기’, ‘기업가 되어보기’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핵심 주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하여 체계적인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 연계 및 교육 여건 조성,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활용 및 교육 여건 조성 마련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 탐색

        강경균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ploring exampl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vocational level in the national government programs and specializ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a multi-case study was conducted on experts to derive a strategy for vocational high schoo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aim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lay the foundation for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Seco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be operated as creative and self-direc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arious forms by acquiring theories and functions through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engaging with the curriculum. Third, school enterprise type, cooperative type, and club type were derived as the types of operation to experi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urth, collaboration with members is important as an activation strategy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fth, overall experience education about the start-up should be made from the production, sales, and management of objects using their own skills. Six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utside of school is important along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chool. Sevent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 and learning by conducting linkage programs with universities, municipalities, wards and ward offic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policy of vocational high school, to establis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nd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사례를 통하여 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정부기관 프로그램과 2015개정교육과정에서의 전문교과에서의 직업계고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중사례연구를 통하여 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은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기술 기반의 창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 한다. 둘째, 직업계고의 교육과정을 통해 이론 및 기능을 습득하고 교육과정과 맞물려 창업교육은 다양한 형태에서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실무 중심의 창업교육으로 운영될 수 있다. 셋째, 직업계고에서 창업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는 형태로는 학교기업 유형, 협동조합 유형, 동아리 유형이 도출되었다. 넷째, 창업교육 운영을 위한 활성화 전략으로서 구성원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섯째, 자신의 기술을 활용한 물건의 제작에서부터 판매 그리고 경영까지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체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 안에서의 창업교육과 함께 학교 밖에서의 창업교육이 중요하다. 일곱째, 지역사회인 대학, 시ㆍ도ㆍ구청 등과 함께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서 지원의 폭과 배움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의 중요한 정책으로서 창업교육 운영이 필요하고, 창업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교원의 전문성 확보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