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소기업 기술 인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업계 고교의 역할과 직업교육의 방향

        이병욱,류병구,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targets the general and present statu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are composed of the main fields in the Korean industries. It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analyzing the supply and demand of human resources. Accordingly, it is performed to suggest the advanced programs for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nnovative breakthrough of the vocation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general and present statu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as carried out,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xtremely advanced programs of innovativ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and boosting competitiveness. Secondly, it was put forth that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for focusing on the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irdly,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of technical high schools based on the radical changes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Finally. it was concentrated on the reformed models of vocational education which were reflected developed constructions of lifelong care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일반현황 및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하여 중소기업 기술 인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발전 방안과, 공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된 연구 내용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현황 및 인력수요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규명하고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혁신 주도형 중소기업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인력 양성 방안을 설정하였다. 셋째, 산업사회의 변화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술 인력 양성 방안과 직업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넷째, 평생직업능력 개발 체제 구축을 위한 직업교육 체제 경로 개선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업·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의 근로여건과 경력설계 실태

        임세영,류병구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mployment conditions and career planning of ex-participants of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CTP)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the specific Small and Medium Business through 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1. The average ex-participant of CTP was employed in small size company with 50 employees, earned 1 ~1.2 Million Won monthly, worked about 50 hours per week. 2. They were earnestly considering and worried about their career. They had their career goals : Engineer in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CEO of a company, Design engineer. 3. They were not able to invest enough time and energy in developing their capabilities and skills. 4. There were feelings of respondents, which the main barriers of their career achievement were : ① their deficiency of personal competencies and endurance. ②not time enough to learn ③ the fallacy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atmosphere. 이 연구는 기업․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의 경력설계 및 개발 촉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업․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념과 관련 정책, 경력설계 및 개발 이론을 검토하고 프로그램 수료 후 어떤 경력발달이 가능한지를 구안해보았다. 그리고 아직은 수료자들이 경력설계 초기단계에 있지만 향후 자신의 경력을 개발해 나가기 위해 현재 어떻게 근무하며 성장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수료한 근로자의 근무현황과 경력설계 및 개발 실태를 설문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료근로자들은 평균적으로 기업규모가 50여명 되는 기업에서 주당 50여 시간 근로하며, 초과근무수당 포함 월100만원~120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시 단기간의 OJT를 통해 직무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으며, 선배근로자(46%) 혹은 직반장들(42%)의 도움을 받아 초기 직무를 습득하고 있었다. 자신의 경력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도 이들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료근로자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상당히 고민하고 있었다. 이들은 대다수가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맞춤프로그램과 관련된 분야에서 쌓은 경험을 유리하게 활용하여 성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는데, “제조생산기술자(31.7%)“, “사장(30.5%)”, “설계기술자(13.8%)”, “연구개발기술자(12.0%)” 등의 순서로 경력개발목표를 설정하였다. 넷째, 수료근로자들은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었다. 목표 달성을 위해 하는 노력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은 “상사의 지시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60.5%)이었다. 다섯째,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장애로 예상되는 것은 시간부족(31.7%), 능력부족(30. 5%), 의지력과 지구력부족(25.6%) 등 자기 자신과 관련된 것이었다. 소수가 회사의 분위기나 가족의 후원 부족이 장애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컨소시엄 구성원의 인식 조사 연구

        이병욱,류병구,김태훈,박동열,홍주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study aims at surveying the perceptions of such stakeholders as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technical college professors and industry individuals, which identifies the critic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echnology Officer Training Program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in which consortium high schools, colleges and industries alike take part and collaborate.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generally believe that the goal of Technology Officer Training Program is to educate technical professionals working in industry fields, and that the graduates are supposed to work in machinery operations and product designs as interdisciplinary human capital in techniqu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reas. Second, the selection process for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emphasize such criteria as personality, diligence, capacity and aptitude that trainees have, and such policy program as alternatives to serving in military duties are thought to be offered in order for participants to actively apply to and enroll in the program. And the selection measures are in demand for companies with outstanding performance to be recognized. Third,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Program ought to be oriented into industry and practice in order of fostering excellent professionals who are expected to solve practical issues and problems facing companies. And working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necessary relating to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mong colleagues. Fourth, the systematic, cooperative efforts of improving their skills and quality,building continued reliability in the consortium,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graduates are emphasized. Lastly,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the differed degree or level of and expectations towards the consortium are to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reflect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and satisfactions among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technical college professors and industry participants.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 프로그램’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개발을 위하여 컨소시엄 구성원으로서 시범 사업에 참여한 공업계 고교 교사, 전문대학 교수, 산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하여 조사 대상자들은 중소기업의 현장기술 인력 양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술사관 졸업생의 주요 업무로는 숙련된 기능․기술․공학 융합인재로서의 기계 조작, 제품 설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주요 선발 기준으로 학생의인성, 근면성, 소질, 그리고 적성이 중요하며, 본 사업에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유도하기 위해 병역 특례 등에 대한 제도 정비와 우수 중소기업체의 선정 방안이마련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인력이 양성되기 위해서는산업체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과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중요하며, 참여 학생들에게 현장에서의 의사소통 능력과 작업자 간 협동 능력 등 현장 중심의 실무 능력 배양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중소기업 기술사관 컨소시엄 구성원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될 인력의질적 제고를 위해서 컨소시엄 구성원간의 신뢰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과 졸업생에대한 인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공업계 고교, 전문대학 교원 및 산업체 인사 간의 주요 성공 요인에 대한중요도와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컨소시엄 구성원별 맞춤형 지원 방안이요구된다.

      • KCI등재

        공업계 고교에서 양성할 기술 영재의 개념과 능력 추출에 관한 연구

        이병욱,류병구,홍주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echnically-gifted students required in the changing industrial society and to pick out the basic ability elements and subsidiary ability elements to be possessed by such technically-gifted students. The major content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described below. Technically-gifted students were defined as “the talents who has the creative ability and attitude or has the potential ability and attitude to analyze and solve technical problems by expressing and implementing ideas in the technical areas.” The basic abilities to be possessed by the technically-gifted students are categorized as six area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idea expression ability, idea implementation ability, ability to apply technical knowledge, and technical attitude. i) The subsidiary elements of creativity consist of fluency, originality, elaborateness, sensitiveness, and flexibility. ii) The subsidiary elements of the ability to solve technical problems consist of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analyze technical problems, the ability of trouble inspection, the power of observation and insight, the ability to group and integrate technical problems, the ability to establish the plans to solve technical problems, the ability to solve technical problems, and the ability to appraise the solutions of technical problems. iii) The subsidiary elements to express ideas consists of 2D expression ability, 3D expression ability, verbal expression ability, and technical document preparation ability. iv) Idea implementation ability consists of imitation ability, design ability, drawing understanding ability, operation and utilization ability of devices, machines, and tools, and project implementation ability. v) The subsidiary elements of the ability to apply technical knowledge consis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the knowledge of related technical areas, mathematical ability, scientific application ability, and technical aesthetics. vi) The subsidiary elements of technical attitude consist of tenacity of task, intellectual curiosity, challenge spirit, self-confidence and pride, and leadership and teamwork.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산업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업계 고교에서 양성할 기술 영재의 개념을 정립하고, 기술 영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 요소와 하위 능력 요소를 추출 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리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공업기술교 육․공학․교육학 전문가를 통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된 연구 내용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 연구에서는 기술 영재를 “기 술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구현하여 기술적 문제를 분석․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과 태도가 있거나 잠재력을 지닌 인재”로 정의하였다. 기술 영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은 창의성,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아이디어 표현 능력, 아이디어 구현 능력, 기술적 지식의 적용 능력, 기술적 태도 등 6개 영역 으로 범주화 되었다. 구명된 각 영역별 하위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하위 요소로는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민감성, 융통성으로 구분된다. 둘째,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의 하위 요소는 기술적 문제 인식 및 분석 능력, 고장 진단 능력, 관찰력과 통찰력, 기술적 문제의 유형화 및 종합 능력, 기술적 문제 해결 계획 수립 능력, 기술적 문제 해결 실행 능력, 기술적 문제 해결 평가 능력으로 구 분된다. 셋째, 아이디어 표현 능력의 하위 요소는 2차원 표현 능력, 3차원 표현 능력, 언어 표현 능력, 기술 문서 작성 능력으로 구분된다. 넷째, 아이디어 구현 능력은 모방 능력, 설계 능력, 도면 해독 능력, 기기․기계․ 공구 조작 및 활용 능력, 프로젝트 수행 능력으로 구분된다. 다섯째, 기술적 지식의 적용 능력의 하위 요소는 관련 기술 분야 지식 이해 및 응 용력, 수리 능력, 과학 응용력, 기술적 심미성으로 구분된다. 여섯째, 기술적 태도의 하위 요소는 과제 집착력, 지적 호기심, 도전 정신, 자신감 및 자존감, 리더십 및 팀워크로 구분된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에 관한 연구

        김태훈,이병욱,류병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factors of key competenc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based on the analysis of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re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areas. In particular, ‘work of produc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onducting drawing’ is derived from the area of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rackdown on viola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making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Additionally,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o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knowledge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production and technology’, ‘regulation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terms in intellectual property’, ‘procedures of having intellectual property a right’, ‘laws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scope of patent right’, ‘technique of paten analysis’, and ‘work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suggested. Also,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required on the perspective of function, function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assessment’, ‘understanding products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patent’, ‘understanding work’, ‘conducting drawing’, ‘understanding drawing’, ‘understanding document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re suggeste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fundamental data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systematically. Thus, sustainable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have the factors developed as subjects at school for liaison with curriculu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share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 the suggested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grouped to be developed into a subject, which can be later concluded as a subject which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and also, a subject which focuses on practice. In conclusion,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available to make concrete the scope of curriculum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hape direction of personals education.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accrediting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 수준에서 양성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 졸업 수준에서 접근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을 지식재산 창출 영역의 ‘생산 직무’, 지식재산 보호 영역의 ‘도면 작성 직무’와 ‘지식재산 정보 제공 직무’, 지식재산 활용 영역의 ‘침해 단속 직무 수준’에서 도출하였다.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지식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제품 및 기술’, ‘지식재산 관련 제도’, ‘지식재산 관련 용어’, ‘지식재산 권리화 절차’, ‘지식재산 관련 법’, ‘특허 권리 범위’, ‘특허 분석 기법’, ‘지식재산 업무’와 관련된 지식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평가’, ‘제품 및 기술 이해’, ‘특허 이해’, ‘업무 이해’, ‘도면 작성’, ‘도면 이해’, ‘문서 이해’, ‘의사소통’, ‘대인관계’와 관련된 기능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는 체계적인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특성화고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해서 교과목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을 지식과 기능의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유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실습 통합 교과 성격의 교과목 또는 실습 중심의 교과목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핵심 역량 요소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범위의 구체화와 실무 인력 양성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나아가 지식재산 실무인력 자격 제도의 확립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인재상에 대한 기업체 인식 조사

        이병욱,김태훈,류병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ractical manpower of intellectual property to be cultivated from the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draw the right people of practical manpower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ompanies on practical manpower of intellectual property.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shown. First, the chief tasks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include ‘general office work for patent’, ‘patent and design drawing work’, and ‘information search for advanced technology’. And they are satisfied with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mong the colleagues at work, ‘elaboration of work performing abilities and skills’, ‘abilities to utilize equipment and working tools’, and ‘abilities to maintain and repair equipment’, and they evaluate positively ‘understanding on their work’, ‘figuring out problems and having abilities to solve and improve them’ in general. Second, most companies are reluctant to hir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and it is because the tasks of intellectual property require expertise and skills which are deepened specialized above the college level and also specialized work processing skills for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Third, the desirable aspects of practical manpower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can be suggested by dividing it into literacy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The right people of practical manpower in literacy education are to ‘search for, classify, and communicate with information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lated systems, laws, terms, technologies, and products’ while in practical education are to ‘understand related systems, laws, and terms and search for and classify information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and also understand, apply, and communicate with technologies and products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in each of the industrial field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수준에서 양성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에 대한 기업에서의 인식을 바탕으로 특성화고 수준의 지식재산 실무인력 인재상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졸업자의 주요 업무로는 ‘일반 특허 사무직’, ‘특허 및 디자인 도면 작업’, ‘선행 기술 정보 검색’ 등의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직장 내 직원들 간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 ‘작업 수행 능력 및 기능의 숙련도’, ‘설비 및 작업도구 활용 능력’, ‘설비의 유지 및 보수 능력’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으며, ‘작업에 대한 이해 및 문제 파악’, ‘해결 및 개선 능력’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대다수 기업에서 특성화고 졸업자를 채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지식재산 분야의 직무가 대학 이상의 심화된 전문 기능 및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지식재산 분야의 전문적인 업무 처리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 졸업생 수준의 지식재산 실무인력 인재상을 소양 교육과 실무 교육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소양 교육에서의 인재상은 '지식재산 관련 제도, 법, 용어, 기술 및 제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식재산 정보를 검색 및 분류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인재'로 제시할 수 있으며, 실무 교육에서 인재상은 '지식재산 관련 제도, 법, 용어를 이해하고 지식재산 정보를 검색 및 분류할 수 있으며, 산업 분야별 지식재산 관련 기술 및 제품을 이해․적용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인재'로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명·특허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유형과 이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

        문대영,이병욱,최유현,이한규,류병구,이창훈,강경균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 the career types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areer types for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survey method to accomplish the purpose. Through this study seven career typ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Entering a profession as a drawer of patent attorney´s office 2) Entering a profession as a specification-drafter of patent attorney´s office 3) Entering a profession as a clerk of patent attorney´s office 4) Going on to university of invention & patent related department 5) Going on to univers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department 6) Starting business based on invention idea 7) Starting business based on drawing freelancer In this study some strategies and plans of career guidance for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proposed. Teachers of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recognized that these seven career types were reasonable in the order of going on to university(4.25), starting business(3.98), entering a profession(3.77). 이 연구는「발명 · 특허 특성화고」학생의 예상 가능한 진로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 · 특허 특성화고」운영 계획서의 진로 지도 계획을 분석하고 학생의 진로 유형과 대응 전략을 도출한 후 각각의 진로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업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1) 특허변리사무실 도면원 취업, 2) 특허변리사무실 명세서원 취업, 3) 특허변리사무실 사무원 취업의 세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고, 진학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4) 발명특허 관련 전공 학과 진학, 5) 지식재산권 관련 전공 학과 진학의 두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창업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6) 발명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창업, 7) 도면작성 대행 프리랜서를 기반으로 한 창업의 두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발명 · 특허 특성화고」교사들은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진로 유형에 대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명 · 특허 특성화고」졸업생의 진로 유형으로서 진학(4.25), 창업(3.98), 취업(3.77)의 순으로 그 적합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통합형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김기수,이병욱,우연제,이창훈,류병구,김종승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범 운영되고 있는 통합형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통합형고등학교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시범운영 중인 11개 통합형고등학교의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형고등학교 운영 전반에 대해 교사, 학생, 학부모 집단 모두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둘째, 통합형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편성 · 운영에 있어 교사, 학생 집단의 경우, 만족도가 높지 않다. 셋째,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간 상호 탐색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교사, 학생 집단의 경우, 만족도가 높지 않다. 넷째, 진학과 취업 과정에 대한 선택교과목의 편성 · 운영에 대해 교사, 학생 집단의 경우, 만족도가 낮다. 다섯째, 통합형고를 졸업 한 후의 학생들의 진로선택(진학 및 취업)에 대해 학생, 학부모 집단의 경우,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여섯째, 취업한 업체 및 동일계열 진학에 대해 교사, 학생, 학부모 집단 모두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 outcomes based on a survey with the model integrated high schools. And also this study presents fundamental materials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integrated high school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 outcomes,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teachers,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of the students' in 11 model integrate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re satisfied for the most part with the general operation of integrated high schools.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highly satisfied with curriculum developm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 integrated high schools. Third,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highly satisfied with cross-search program between general courses and technical courses. Fourth, teachers and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elective courses related to continuing studies in higher level institute and employment processes. Fifth,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 choice on the course of students' life after graduating from integrated high schools. Six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anies where students find employment and continuing studies in interrelated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