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 직업평가 체제에 대한 고찰 : 「시스템 2000」을 중심으로 Especially on 「system 2000」

        김삼섭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5 특수교육논집 Vol.2 No.-

        장애인을 위한 직업교육 ·훈련 직종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원만히 수행할 수 있는 직업, 즉 적성직업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적성직업을 알아보기 위한 직업평가는 직업적 접근과 직무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장애인의 직업능력은 한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넓은 의미의 직업에 초점을 두는 직업적 접근보다는 좁은 의미의 직무에 초점을 두는 직무적 접근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Valpar(社)에서 연구·개발한 「시스템 2000」(Valpar International Corporation, 1992a)은 특수교육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는 「시스템 2000」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 본 후, 이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검토하여 그 장점 및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장애인 직업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검사결과에 대한 해석상의 어려움, 검사 소요시간, 인적자원의 부족, 인식부족 등의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스템 2000」은 작업표본, 심리측정검사, 면접, 직무분석 등을 종합한 중다모형·준거참조 검사이므로 중증 장애인에게 적절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직업관련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는 점 등이 가장 큰 장점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데에 기인하는 문제점들도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직업재활은 이제 시작단계라 하여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때에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할 영역은 아마도 직업평가일 것이다. 직업평가는 장애인 직업재활의 출발점이자 핵심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장애인의 취업·훈련직종의 현황을 보면 직업평가의 중요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김삼섭(1995)은 여러 선행연구들을 종합·검토한 결과, 우리나라 장애인의 취업·훈련직종이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가장 큰 이유로 그들의 적성직업(適性職業)에 대한 기초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그런데 적성직업에 대한 기초연구는 적성직업평가를 통해서만이 가능하고, 적성직업평가는 타당한 도구가 개발·활용될 때만이 가능하다. 면접이나 지필검사를 통한 직업평가의 한계점을 어느 정도 극복해 줄 수 있는 방법은 표본작업평가이다. 표본작업평가는 실제작업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표본작업에 의한 장애인의 직업평가는 절대기준평가 이면서도 진단평가 이어야 한다. 일반사람들에 비해 어느 수준인가 보다는 무엇을 잘 할 수 있느냐 하는 개인차를 밝히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작된 평가도구로는 Valpar에서 연구·개발한 직업평가 시리즈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스템 2000」은 표본작업·직업적성검사·직업흥미검사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적성직업을 발견하는 데 가장 적절한 도구로 인정되고 있다(Valpar International Corporation, 1992a, b, c, d). 이 평가체제는 컴퓨터에 의해 검사가 실시되고 그 결과도 자동적으로 채점·처리되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사결과를 알아볼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평가도구들은 그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전문가적 지식이 필요했으나, 이 평가체제는 피검자가 수행가능한 직업 혹은 직무를 직접 나타내주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 평가체제는 뇌성마비인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번안한 연구(김삼섭, 1995)가 이루어졌을 뿐,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타당한 적성직업 평가도구를 개발하거나 외국의 도구를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여러 전문 분야간의 공동접근 및 검증기간 등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평가도구의 부재를 핑계로 적성직업을 발견하고자 하는 노력을 게을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적절한 도구가 연구·개발 혹은 표준화될 때까지는 외국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평있는 도구라면 당분간 이용하는 것도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최근 장애인 직업평가 분야에 있어 관심을 끌고 있는 미국 Valpar의 「시스템 2000」에 대해 살펴 본 후, 이 방법을 적응한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그 장점 및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시스템 2000」의 표준화를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밖의 다른 컴퓨터 직업평가체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에도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 직업적성검사의 전반적 동향분석: 정신지체인용 직업적성검사 개발을 위한 함의

        김삼섭,임경원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2

        언어력어휘, 언어, 언어적 추리력, 언어사용 능력, 언어논리, 철자법, 작문, 단어비교와 기호쓰기, 언어능력, 언어적성수리력수학적 계산, 수학적 추리, 논리ㆍ수학적성, 수리력추리력귀납적 추리, 분석추리, 추론하기, 추상적 추리력, 기계적 추리력, 수 추리력공간지각력공간적성, 공간적 시각화, 공간, 공간관계 지각력, 공간ㆍ시각 능력, 공간능력지각속도지각, 지각 유형, 지각 속도 및 정확도, 변별지각기계능력과학, 과학 기계, 전기정보, 기술, 기계적성, 과학적 사고력, 과학능력사고 유창성문제해결력, 사고유연성협응 능력근육운동 조정기능, 운동 협응, 운동, 신체운동적성, 협응, 신체ㆍ운동능력상황 판단력

      • KCI등재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김삼섭,전병운,정해동,박은영,고진복,박은송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2

        A Mid- to Long-term Scheme of Supply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교원 수요를 다양한 측면에서 예측하고,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법적ㆍ제도적 측면과 특수교육의 실제를 반영한 현실적 측면 두 가지 접근을 시도하고, ① 특수교육기관의 학교과정별 학급당 학생수, ② 특수학교ㆍ학급별 교원배치 기준, ③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의무교육 시행, ④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무상교육 시행, ⑤ 특수교육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⑥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여섯 가지 변수들을 선정하여 예측값을 산출하였다. 변수들을 고려한 예측값과 특수교육 교원의 퇴직자수를 반영하여 수요예측값을 제시하였고, 이를 대학과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 교원 양성규모,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원의 수 등을 고려한 공급예측값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중 특수교육 실제를 반영한 특수교육 교원 수요예측값과 공급예측값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료는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제어> 특수교육 교원 수급 예측, 특수교육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부모의 가족생활 어려움

        김삼섭 한국발달장애학회 2016 발달장애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difficulties of parents who have ㅓ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in their family life and to see whether any differences are in the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ir children’s gender, types and degrees of their dis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factors of difficulty were shown in order of economic life, parenting activities, social relations, health maintenance, and family relation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der of their children Third, the age of the children did not influence on the difficulties. Fourth, the types of disability didn’t show any differences generally, but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more difficulties tha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household, relationships with extended family and neighbors, and social activities. Fifth, the severe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the more difficult parenting activities, health maintenance, family relations, daily life, social relations were. Especially, the more severely disabled the children were, the worse sleep,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family event, daily necessity purchase, household, rest, leisure, and friendship were in parents’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make family support plan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부모 217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부모가 가족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어려움은 장애자녀의 성,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생활, 양육활동,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건강유지, 가족관계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전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사활동, 확대가족과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 친구 모임 등 친교활동에서 자폐성장애 부모가 지적장애 부모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양육활동, 건강유지, 가족관계,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생활 범주는 4개 하위요인 모두 장애정도와 관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면, 부모-자녀 관계, 가족 행사, 생활물품 구입, 가사활동, 가정 내 휴식, 여가생활, 친교활동은 장애 정도가 클수록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인 부모 혹은 가족 지원 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장애와 고용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job maintenance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250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on 2016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dvantag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ub-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sex were revealed as prediction factors of job maintenance. Second, job competency were revealed as prediction factors of job maintenance. Third, There were not revealed as factor of job-related factors. Conclusion: Analysis showed that sex and job competency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job maintenance.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 범주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직업관련 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범주별 하위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250명의 지체장애인을 분석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직업관련 요인의 하위변인 중에서 직업유지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밝혀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 직업유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관련 요인 중에서 직업유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직무수행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관련요인 중에서 직업유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성(남)과 직무수행능력인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영유아 권리보장에 대한 인식

        김삼섭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level of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teachers' variables(gender, age, working experienc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institution type, establishment type, scale, area). We surveyed 36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found out dif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ag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y working experience. Fourth, the recognition by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mbit of rights to life, protectio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Fifth,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type show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ights to life an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ights to protection and participation. Six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about the rights to life, protectio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education institutions. Seven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y for the promotion of educational rights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에서는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영유아 권리보장 수준에 대한 인식이 교사변인(성, 연령대, 근무경력)과 교육기관 변인(유형, 설립형태, 규모,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 성별 인식 차이는 없고,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연령대별 인식 차이도 없으며,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근무경력별 인식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기관의 유형별 인식 차이는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영역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기관의 설립형태별 인식 차이는 생존권과 발달권은 차이가 있고, 보호권과 참여권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기관의 규모별 인식 차이는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영역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육기관의 지역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유아의 교육권 증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