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에 따른 호르몬대체요법 후 골밀도의 변화양상

        김정화 ( Jeong Hwa Kim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연구목적 : 자연 폐경 여성에서 IGF-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 양상과 호르몬 대체요법 후 골밀도의 변화 양상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한국 자연 폐경 여성 302명에서 1년간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였고 이런 여성에서 IGF-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 양상을 전기영동, genescan, 염기서열분석으로 측정하였다. 호르몬 치료 전과 1년에서의 요추 및 대퇴 근위부의 골밀도를 DEXA로 측정하였으며 혈청 IGF-1, CTX, BAP를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동형 접합의 192bp 대립인자를 가진 군에서 호르몬 대체요법 후 Wardtkarkr주에서의 골밀도는 감소하였던 반면 이런 대립인자를 가지지 않는 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다른 대립인자들의 복사수에 따른 골밀도 변화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GF-1 대립인자들의 복사수에 따른 호르몬 대체요법후 6개월에서의 골교체 인자 및 IGF-1 농도의 변화율의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1년 후 측정된 골밀도가 3% 이상 치료전보다 감소된 경우를 호르몬 치료에 비반응군으로 하였을 때 호르몬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에서의 IGF-1 192bp 대립인자의 분포양상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한국 자연 폐경 여성에서 IGF-1 CA 192bp 대립인자는 호르몬 대체요법에 의한 골밀도 변화양상을 반영하는 유전학적 인자 중 하나이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ytosine-adenine(CA) polymorphism in IGF-I gene and the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BMD)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Methods : The IGF-I CA polymorphism was analyzed by polyacrylamide-urea gel electrophoretic patterns, genescan and direct DNA sequencing in 302 postmenopausal Korean women receiving combined sequential HRT for 1 year. Serum GFI, bone alkaline phosphatase (BAP), and type I C-telopeptide(CrossLaps) were measured by immuno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 Eight IGF-I alleles were observed with product sizes ranging between 180-194bp. Guanine and adenine deletion were found following 3’ end of CA repeats. Women possessing two alleles of 192b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hange in BMD at the Ward’ s triangle after 1 year of HRT compared with women who did not possessed this allel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year change i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among other IGF-1 genotypes. No correlations between 6 months changes of IGF-I and bone markers after hormone replacement and IGF-I CA polymorphism were fou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IGF-I 192bp genotypes between HRT-responders and HRT-nonresponders (women with >3% bone loss per year). Conclusion : The IGF-I CA polymorphism is one of genetic factors which affect 1 year BMD change after HRT.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난포액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2,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과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

        권혜은 ( Kwon Hye Eun ),홍석호 ( Hong Seog Ho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김정훈 ( Kim Jeong Hun ),강병문 ( Kang Byeong Mun ),남주현 ( Nam Ju Hy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체외수정시술 시 난소의 미세 환경을 조절할 것으로 생각되는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인 난포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Ⅱ (insulin-like growth factor-Ⅱ, IGF-Ⅱ)와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3, IGFBP-1, 3의 임상적 의의와 이들과 누적배아지수 (cumulative embryo score)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과배란유도 (controlled ovarian hypersimulation, COH) 후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18명의 환자, 21주기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들로부터 난자채취 시 얻은 난포액을 원심분리한 상층액으로부터 IGF-Ⅱ, IGFBP-1, 3을 면역방사계측법 (immunoradiometric assay, IRM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이 결과를 임신군과 비임신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IGF-Ⅱ, IGFBP-1, 3의 난포 내 농도와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배아등급은 분할할구 (blastomere)의 모양과 크기의 균일한 정도, 절편 (fragmentation)의 퍼센트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였다. 높은 등급순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각 점수에 해당 배아의 분할구의 수를 곱한 후 이를 더하여 누적배아지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 난포액 내 IGF-Ⅱ의 농도 (ng/㎖)는 임신군 (중앙값 ; 668.0, 범위 ; 243.0-1019.0과 비임신군 (중앙값 ; 635.5, 범위 ; 301.0-885.0)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난포액 내 IGFBP-1의 농도 (ng/㎖)도 임신군 (중앙값 ; 100.0, 범위 ; 64.9-121.0)과 비임신군 (중앙값 ; 95.4, 범위 ; 13.3-131.0)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IGFBP-3 역시 임신군 (중앙값 ; 3242.0, 범위 ; 1006.0-4015.0)과 비임신군 (중앙값 ; 2926.0, 범위 ; 964.0-4977.0)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IGF-Ⅱ의 농도와 누적배아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IGFBP-3와 누적배아지수는 상관관계의 경향성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갖지는 못했으며 (p=0.053), 자유형 IGF-Ⅱ (free IGF-Ⅱ)를 반영하는 IGF-Ⅱ/IGFBP-1와 누적배아지수도 상관관계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6).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난포액 내 IGF-Ⅱ 그리고 자유형 IGF-Ⅱ의 농도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에서 향후 임신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 좋은 난자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e-like growth factor-Ⅱ (IGF-Ⅱ), insuline-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Ⅰ, 3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and the cumulative embryo score (CES) in the patient who underwent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21 cycles of 18 patients which underwent IVF-ET cycle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group.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and cumulative embryo score were evaluat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between the pregnant group and non-pregnant group. There were signifiant correlation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01). There might be correlations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BP-3, and free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53, p=0.05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follicular IGF-Ⅱ and free IGF-Ⅱ might have an influence to development of good-quality embryo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신장세포암에서 WT1과 IGF2 유전자의 발현

        이정호,김응석,김용섭,장성익,윤환중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IGF2 유전자는 제 11번 염색체 단완 (11p15.5)에 위치해 있으며 아버지로부터 유전된 대립형질만 기능을 하는 genomic imprinting되는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정상세포에서는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몇가지 암에서는 LOI에 기인한 과발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WT1 유전자는 제 11번 염색체 단완 (11p13)에 위치해 있으며 어머니로부터 유전된 대립형질만 기능을 하는 즉 IGF2 유전자와는 정반대의 genomic imprinting 되는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비뇨생식기관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유전자이며 암화과정에서는 암억제 유전자로서 기능한다. 소아신장에서 발생되는 Wilms 종양에서는 IGF2 유전자와 WT1 유전자의 고장이 주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성인에서 발생되는 신장세포암에서도 Wilms 종양에서의 결과와 같을 것인지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12명의 신장세포암 환자 ( 남자 6명, 여자 6명)로부터 얻은 조직을 이용하여 이들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남자에서는 43세에서 56세까지였고 여자에서는 23세에서 61세까지였다. 신장세포암에서 IGF2 유전자와 WT1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다같이 성별이나 연령과는 무관하였다. IGF2 유전자는 50%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발현정도는 저발현에서부터 중등도 그리고 과발현까지 다양했으며 주로 신세뇨관 부위에 있는 암세포에서 발현되었다. WT1은 56%에서 발현되었으며 과발현과 중등도 발현이 대부분이었다. IGF2 유전저의 발현과 WT1 유전자의 발현은 각 예에서 상이하게 나타나서 두 유전자간의 작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IGF2 gene which was located on chromosome 11p15.5 is expressed by the paternal allele. It stimulates the cell proliferation in normal cells, however, it is over expressed in some cancers due to LOI (loss of genomic imprinting). In contrast, WT1 gene which was located on chromosome 11p13 shows maternal specific monoallelic expression. It is a very much important gene in developing urogenital system, besides, it acts as tumor suppressor gene in some cancers. IGF2 and WT1 genes are the main causative genes in Wilms tumor which is developed in pediatric kidney. To understand the status of IGF2 and WT1 expressions in renal cell carcinoma which is developed in adult life, tissues from 12 cases patients (male 6 cases ; female 6 cases)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from IGF2 and WT1 genes.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ages between Wilms tumor and renal cell carcinoma, the patients age in renal cell carcinoma was ranged in 43-56 years old in man and 23-61 years old in female. No direct correlation was, in general, between gene expression of IGF2 and WT1 and age or sex of patients in renal cell carcinoma. Expression of IGF2 gene revealed six of twelve (560%) and expression of WT1 gene showed seven of twelve (56%) in renal cell carcinoma, respectively. The status of IGF2 gene expression was varied from low to high expression. In contrast, the status of WT1 gene expression was higher than in IGF2 gene expression. However,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in each cases. In conclusion, IGF2 and WT1 genes are very important in carcinogenesis of renal cell carcinoma, however interaction between two genes was obscure.

      • SCOPUSKCI등재

        Insulin-Like Growth Factor 1(IGF-1)이 멜라닌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조양훈(Yang Hoon Cho),박재경(Jai Kyung Park),이무형(Mu Hyoung Lee) 대한피부과학회 2000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8 No.10

        Background:Human growth hormone(hGH) plays a central role in linear bone growth and body metabolism. Its mitogenic effect in human tissues is mediated via direct and indirect actions. As proposed by the somatomedin hypothesis, many circulating GH-mediated effects are exerted indirectly and systemically via stimulation of hepatic synthesi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IGF-1). Given additional evidences for the expression of growth hormone receptor(GH-R) and IGF-1 receptor(IGF-1R) on many target tissues including keratinocytes, melanocytes, and fibroblasts, it is now evident that the GH can act via systemic IGF-1 secreted by the liver and locally produced IGF-1, as well as directly through the GH receptor.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t only the effect of IGF-1 on the morphologic changes, proliferation, and melanization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but also on its signal transduction pathway through the IGF-1R. Methods:Melanocytes were exposed to IGF-1 at 10, 25, 50, 75, 100ng/ml and we examined the changes of cell morphology, number of cells, [3H]-thymidine incorporation, MTS assay, and melaniz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imes of IGF-1. Also, the activity of p44/42 MAPK/ERK according to the various exposure times of IGF-1(25ng/ml) was examined using the Western blotting method to find out about the signal transdution pathway of IGF-1.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re were no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of cell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imes of IGF-1. 2. The effects on melanocyt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IGF-1 5 days after adding IGF-1 : 1) The number of cells,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MTS assa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all experimental groups(p<0.05). 2) The melanin content showed an insignificant decrease in all experimental groups. (Korean J Dermatol 2000;38(10):1315~1324) 3) The melanocytes responded independent of the IGF-1 concentration in the assay of cell number,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MTS. 3. The effects on melanocytes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s(3 days, 5 days, 7 days) of IGF-1(25 ng/ml) : 1) The number of cells,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MTS assay increased as time went by,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t all exposure times(p<0.05). 2) The melanin content decreased after exposure of IGF-1, especially that of 3 days exposu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p<0.05). 4. The activities of p44/42 MAPK/ERK increased suddenly at 5 minutes with a peak at 60 minutes and then abruptly decreased at 120 minutes after adding IGF-1 Conclusion:In summar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GF-1 has no effect on the morphology, but it does increase the proliferation and slightly decrease the melanization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IGF-1 plays a role in regulation of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via the receptor PTK pathway with activation of p44/42 MAPK/ERK.

      • KCI등재

        C2C12 세포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I이 p38 MAPK, ERK1/2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

        Chan Ho Park(박찬호),Hye Jin Kim(김혜진),Tae Un Kim(김태운),Won Jun Lee(이원준)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C2C12 근육 세포에서 IGF-I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IGF-I 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엔드로젠 수용체의 coactivator인 GRIP-1, SRC-1, ARA70 유전자들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38 MAPK와 ERK1/2 신호전달 경로 억제제인 SB203580과 PD98059를 IGF-I과 함께 처리한 결과 IGF-I에 의한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가 엔드로젠 물질이 없이도 IGF-I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다는 사실은 운동에 의해 근육에서 분비가 증가하는 IGF-I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근육 세포에서 엔드로젠 수용체 활성화 안정에 기여하는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IGF-I의 하부신호전달 경로로 잘 알려진 p38 MAPK와 ERK1/2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였을 때는 발현이 억제되었는데 이를 통해 IGF-I이 근육세포 내에서 p38 MAPK, ERK1/2 경로를 통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근육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IGF-I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IGF-I에 의한 리간드 비의존적인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 조절에 있어 p38 MAPK와 ERK1/2는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임을 확인하였다는 데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향후 다양한 성장인자들에 의한 coactivator 발현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corepressor의 발현 억제 기능 및 신호전달 경로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and androgen receptor (AR) coactivators are well known effectors of skeletal muscle,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signaling pathways integrating AR coactivators and IGF-I in skeletal muscle cells has not been previously examin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GF-I treatment on the gene expression of AR coactivators in the absence of AR ligands and the roles of the p38 MAPK and ERK1/2 signaling pathways in IGF-I-induced AR coactivators induction were examined. C2C12 cells were treated with 250 ng/ml of IGF-I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fic inhibitors p38 MAPK (SB203580) or ERK1/2 (PD98059). Treatment of C2C12 cells with IGF-I resulted in increased in GRIP-1, SRC-1, and ARA70 protein expression. The levels of GRIP-1, SRC-1, and ARA70 mRNA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5min of IGF-I treatment. IGF-I-induced AR coactivator proteins were significantly blocked by pharmacological inhibitors of p38 MAPK and ERK1/2 pathway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ose inhibitors on IGF-I-induced mRNA level of AR coactivators, suggesting that AR coactivators are post-transcriptionally regulated by IGF-I. Furtherm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IGF-I stimulates the expression of AR coactivators by cooperative activation of the p38 MAPK and ERK1/2 pathways in C2C12 mouse skeletal muscle cells.

      • KCI등재

        Ethanol이 배양된 흰쥐의 간세포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Ⅰ (IGF-Ⅰ)와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IGFBP-1) 분비에 미치는 효과

        이선미(Sun-Mi Lee),강창원(Chang-Won Kang) 한국실험동물학회 2004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0 No.4

        본 연구는 배양된 간세포를 이용하여, IGF-Ⅰ, IGF-Ⅰ 유전자 발현, IGFBP-1 및 LPO활성 등을 측정하여 알코올이 IGF-Ⅰ 분비와 유전자 발현 및 IGFBP-1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배양된 간세포에 0, 1, 5, 10, 50 및 l00mM 알코올을 처리한 결과 알코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50-100mM 알코올에서 IGF-Ⅰ 분비와 10-100mM 알코올에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었다(p<0.01, p<0.05). 또한 IGFBP-1 분비는 5-100mM 알코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LPO은 10-100mM 알코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1, p<0.05). 일차 배양된 간세포에서 50mM 알코올에 의한 IGF-Ⅰ 분비 억제, 유전자 발현 억제, IGFBP-1 증가 및 LPO 활성 증가 효과는 항산화제인 GSH에 의하여 차단됨을 관찰하였다(p<0.05). 산화제인 H₂O₂를 단독 처리한 일차 배양된 간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IGF-Ⅰ 분비 억제, 유전자 발현 억제, IGFBP-1 분비 증가 및 LPO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따라서 본 연구는 배양된 간세포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가 IGF-Ⅰ 분비, 유전자 발현 및 IGFBP-1 분비 변동에 관여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ethanol on 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Ⅰ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1 secretion using RT-PCR, western immunoblotting and radio-immuno assay (RIA)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IGF-Ⅰ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with different dosages of ethanol (1, 5, 10, 50, and 100 mM) were suppressed in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IGF-Ⅰ secre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 ranging from 50 to 100 mM, and gene expression inhibited with ranging from 10 to 100 mM ethanol treatment (p < 0.01, P < 0.05). However, IGFBP-1 secretion and lipid peroxides (LPO) activity were increased with ranging from 5 to 100 mM and from 10 to 100 mM ethanol treatment (p < 0.01, P < 0.05) respectively. Glutathione (GSH) treatment block inhibition of IGF-Ⅰ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as well as of IGFBP-1 secretion and LPO activity at 50 mM ethanol. H₂O₂ treatment also decreased IGF-Ⅰ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but increased IGFBP-1 secretion and LPO activity (p < 0.05). Taken together, this data suggests that ethanol may be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on changes in IGF-Ⅰ secretion, gene expression and IGFBP-1 secretion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 KCI등재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

        고양심,이수연,김원,조수철,황평한,김정수,이대열,Koe, Yang Sim,Lee, Soo Yeon,Kim, Won,Cho, Soo Chul,Hwang, Pyoung Han,Kim, Jung Soo,Lee, Dae-Yeo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손상된 세뇨관 상피세포의 재생은 순환하거나 국소적으로 생성된 성장인자나 cytokine, 생리적 인자 및 주위 환경들의 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 회복에 따른 혈중 IGF-I의 변화와 전체 신장조직과 각 부위에 따른 IGF-I, -II, VEGF, $TGF-{\beta}1$, CTGF의 mRNA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 체중이 250-300 g의 백서를 대상으로 급성 허혈성 신손상을 시켜 유발된 급성 신부전 모델을 이용하여 급성 신부전의 진행과정에 따라 혈청 IGF-I치와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급성 신부전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혈청 IGF-I 농도는 iodinated IGF-I과 polyclonal anti-IGF-I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장에서 성장인자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신장조직에서의 RNA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준하였다. 신장에서의 IGF-I과 CTGF의 분포는 anti-IGF-I 항체와 anti-CTGF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양측 신동맥을 결찰한 후 1일째부터 체중 감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3일째에 가장 현저하였다. 혈청 IGF-I은 신손상 후 1일 째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 더 증가되었다가 5일째부터는 신손상 전으로 회복되었다. 2) 신기능 회복에 따른 성장인자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다. IGF-I, IGF-II, $TGF-{\beta}1$ 및 VEGF의 mRNA 발현은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는 신손상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7일째에는 거의 신손상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3) IGF-I과 IGF-II는 정상 신장에서는 주로 수질부 특히 바 깥쪽 수질부에서 발현되었고 허혈성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3일째에는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TGF-{\beta}1$은 정상에서 신수질부에서 주로 발현되었고 1일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CTGF와 VEGF는 정상 신장의 수질부와 피질부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가 3일째부터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4)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 IGF-I은 주로 피질부위의 신세뇨관에 분포하였고 사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 신장의 피질부위에서는 IGF-I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CTGF는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는 주로 혈관에 분포하는 소견을 보였는데 신손상 3일째에는 세뇨관에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이번의 연구로 저자들은 IGF-I, IGF-II, $TGF-{\beta}1$, CTGF, VEGF 등과 같은 성장인자가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과 세뇨관세포의 회복과정에 발현의 변화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기능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여러 성장인자를 급성신부전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generation and repair after ischemic renal injury appears to be modulated by circulating or locally produced growth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erum insulin like growth factor(IGF-I) and renal expression of IGF-I and II,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and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CTGF) during the active regeneration period after acute ischemic injury. Methods : Sera and kidney tissue samples(whole kidney, cortex, outer medullae and inner medullae)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one, three, five and seven days of 40 minutes bilateral renal pedicle clamping. Acute renal failure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Serum IGF-I level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he mRNA expression in kidney was measured by RT-PCR. The distribution of IGF-I and CTGF was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ts : Serum IGF-I concentration after one day following acute ischemic renal inju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preischemic value. The mRNA levels of IGF-I, IGF-II, $TGF-{\beta}1$ and VEGF in whole kidney were temporally decreased on day one of ischemic injury. IGF-I and IGF-II expressions in outer medulla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one after ischemic injury. $TGF-{\beta}1$, CTGF and VEGF expressions were markedly decreased in medullae after one day of ischemic injury compared to other kidney sections. IGF-I was markedly decreased in cortical tubules on day one of uremic rat. CTGF was markedly increased on tubule within three days of ischemic injury.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GFs, $TGF-{\beta}1$ and CTGF may involve in the pathogenesis or the recovery from acute ischemic renal injury.

      • SCOPUSKCI등재

        폐암세포주에서 IGF-1R 억제를 이용한 TRAIL 및 gefitinib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위한 연구

        이윤진 ( Yoon Jin Lee ),박미영 ( Mi Young Park ),강영애 ( Young Ae Kang ),권성연 ( Sung Youn Kwon ),윤호일 ( Ho Il Yoon ),이재호 ( Jae Ho Lee ),이춘택 ( Choon Taek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1

        배경: 폐암의 새로운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TRAIL은 암에 선택적으로 apoptosis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cytokine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gefitinib (Iressa)는 폐암의 적용된 최초의 표적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암세포에서는 이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에서 외부의 apoptotic 자극에 저항성을 보이는 IGF-1R를 억제함으로 TRAIL 및 gefitinib의 항암작용을 증가시키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암세포주는 TRAIL 및 gefitinib에 민감한 NCI H460와 두 약제에 중등도의 저항성을 보이는 A549의 폐암세포주로 시행하였으며 IGF-1R의 억제는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던 IGF-1 pathway를 dominant negative inhibition을 할 수 있는 adenovirus-IGF1R(482 ST, 950ST) 및 IGF-1R tyrosine kinase inhibitor인 Tyrphostin AG1024를 사용하였고 gefitinib에 대한 실험에서는 RNA interference를 이용하여 IGF-1R의 발현을 억제하는 adenovirus- shIGF-1R을 이용하였다. 결과: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폐암세포주(A549)에서 adenovirus-IGF1R(482ST, 950ST) 및 AG1024로 IGF-1R를 억제한 후 TRAIL을 투여한 경우 항암효과가 증대되었다. A549에 adenovirus- shIGF-1R을 감염시켜 IGF-1R의 발현을 억제한 결과 gefitinib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었다. 결론: 여러 기전을 이용한 IGF-1R의 억제는 TRAIL 및 gefitinib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던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폐암의 임상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향후 여러 종류의 암세포주에서의 검증 및 in vivo 실험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TRAIL is a cytokine that selectively induces apoptosis in various cancer cell lines. Gefitinib is new targeted drug applied in lung cancer that selectively inhibits EGFR tyrosine kinase. However, lung cancers have shown an initial or acquired resistance to these drug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GF-1R and its blockade on enhancing the sensitivity of lung cancer cell lines to TRAIL and gefitinib. Methods: Two lung cancer cell lines were used in this study. NCI H460 is very sensitive to TRAIL and gefitinib. On the other hand, A549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TRAIL and gefitinib. The IGF-1R blockade was performed using adenoviruses expressing the dominant negative IGF-1R and shRNA to IGF-1R and AG1024 (IGF-1R tyrosine kinase inhibitor). Results: The adenovirus expressing dominant negative IGF-1R(950st) induc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defective IGF-1R on the lung cancer cell surface, and the adenovirus-shIGF-1R effectively decreased the level of IGF-1R expression on cell surface. The genetic blockade of IGF-1R by the adenovirus-dnIGF-1R and AG1024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A549 cells to TRAIL. The reduction of IGF-1R by transduction with ad-shIGF-1R also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A549 cells to gefitinib. Conclusion: The blockade of IGF-1R through various mechanisms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lung cancer cell line that was resistant to TRAIL and gefitinib. However, further studies using other cell lines showing acquired resistance as well as in vivo animal experiments will be needed. (Tuberc Respir Dis 2007; 63: 42-51)

      • KCI등재
      • KCI등재

        C2C12 myotube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I 이 FAT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Hye Jin Kim),이원준(Won Ju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2

        본 연구에서는 C2C12 근육 세포에서 IGF-I이 지방산 저장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FATP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IGF-I이 FATP1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을 유의성 있게 조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골격근에서 IGF-I이 근육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근부피 유지 및 증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 패턴들에서 벗어나, IGF-I이 골격근 세포의 분화에 있어 지방산의 수송을 담당하는 FATP1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IGF-I에 의한 FATP1의 지방산 저장의 수준과 산화 과정에 있어 상호작용하는 기타 매개체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atty acid transporter protein 1 (FATP1) is highly expressed in skeletal muscle and modulates fatty acid uptake and metabolism. However, the influenc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a master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cells, on FATP1 in skeletal muscle cells has not been demonstr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GF-I on FATP1 and the expression of the IGFBP5 protein, differentiated C2C12 murine skeletal muscle cells were treated with 20 ng/ml of IGF-I at different time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IGF-I increased FATP1 and IGFBP5 protein express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To determine whether this induction of FATP1 by the IGF-I treatment was regulated pretranslationally, the mRNA level of FATP1 was measured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The IGF-I treatment resulted in very rapid induction of the FATP1 mRNA transcript in C2C12 myotubes. FATP1 mRNA increased 169% and 132% after 24 and 48 h of the IGF-I treatment, respectively, and it returned to control levels after 72 h of the treatment, suggesting that the FATP1 gene is regulated pretranslationally by IGF-I in skeletal muscle cells. This is the first evidence that IGF-I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FATP1. In conclusion, IGF-I induced rapid transcriptional modification of the FATP1 gene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and had modulating effects on fatty acid uptake proteins and oxidative prote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