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품사의 분류 기준과 분류 체계―언어유형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건희 한글학회 2013 한글 Vol.- No.300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form, function, meaning)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language typological analysis. (1)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form’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inflectional language is not fit to the inflectional language altogether, so the fact is kept in mind that the word classes are the collection of the words which have the different nature just as in view of the language typology. (2)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function’ have some connection with the ‘Pumsatongyong’ and the sentential constituent and the assertion of Croft(1991, 2000) is refereed (3)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meaning’ is actually inherent quality, so meaning is not dealt along with the other criteria(form, function)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lso this kind of meaning must be distinct from the semantic type of the language typological analysis. Consequentl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are not in serial order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word classes is synthetically constituted with ‘form’ and ‘function’ and the ‘meaning’ which h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is only the outcome of this class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품사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품사의 분류 기준 ‘형태, 기능, 의미’와 분류 체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해 언어유형론적 논의들을 통해 새로운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먼저 품사 분류 기준 ‘형태’가 굴절어 내에서도 온전히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품사가 본래 서로 다른 중요성을 가진 이질적인 단어의 집합이라는 관점을 보여주는 언어유형론적 분류 체계에 주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기능’에 대해서도 품사들이 유표적인 기능을 가질 때는 특정한 형태, 통사적 표식을 동반한다는 크로프트(Croft)의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이러한 ‘기능’의 문제는 품사 통용 및 문장 성분의 논의와 관련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변별력이 가장 약한 품사 분류 기준으로 알려진 ‘의미’는 실은 품사의 내재적인 속성으로 ‘형태, 기능’의 분류 기준과 동궤의 선상에서 고찰할 수 없다는 것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재적 속성의 국어 품사 분류 기준 ‘의미’는 언어유형론적 접근의 의미 유형과는 구별된다는 점도 제시했다. 이와 같은 품사의 분류 기준에 대한 논의들을 토대로 기존의 주장처럼 분류 기준들이 순차적인 적용 순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능’과 ‘형태’를 분류 축으로 한 종합적인 분류 체계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곧 의미를 나타낸다고 하는 품사(명칭)들은 결국 분류 기준이 아니라 품사 그 자체로 형태, 기능에 의한 분류 결과가 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방요순,김희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3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RPS Form을 적용하여 작업치료에서의 임상적 평가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적용 사례를 단계적으로 설명하여 실제 사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1세의 척수손상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RPS Form을 적용한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상전문 가 6인과 RPS Form의 효용적 측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과 : RPS Form은 척수손상 환자의 신체구조 및 기능, 활동 및 참여 이외의 환경적 요소까지 효율적으로 평가할수 있었고, 논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어 임상에서 적용하기 유용하였다. 환자의 중재에 대한 반응, 또한 긍정적이었다. 결론 : RPS Form은 건강에 대한 ICF의 재활관리 서비스를 한 장의 평가지로 시각화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그 내용 이 분명하여 임상적 추론을 주도하기에 용이하였다. 또한 타 재활 전문영역과의 원활한 팀 접근과 함께 근거기반의 작업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RPS Form의 폭넓은 적용을 위해서는 임상의 각 질환별 특징을 반영한 ICF Core sets의 첨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based on the ICF-model and logical clinical thinking of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RPS) Form. Methods : The patient was a 31-year-old man who injured spinal cord. A plan of care was to address impairment, activity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by using RPS Form. And we discussed about clinical utilities of RPS Form with 6 clinical experts.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 participated in computer lecture more often and for longer duration. And he expressed positive attitude about intervention. Experts mentioned agreeable opinion about using RPS Form in clinic. Conclusions : RPS provides a visual simpleness and clearness and it also guides logical thinking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RPS Form can be used to enhance multidisciplinary patient management and assists in clarifying clinical roles as par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The case report demonstrates that the RPS Form can be a viable strategy for occupational therapy.

      • 『東文選』문체 분류의 성격

        김종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문체 분류 자료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료들이 지니고 있는 분류기준과 방법, 성격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만 각 자료가 지닌 문체 분류 개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당연히 논의되었어야 했음에도 지금까지 한번도 본격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동문선』이 지니고 있는 문체 분류기준과 방식 그리고 그러한 기준과 방법으로 형성된 『동문선』문체 분류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동문선』은 문학의 형식을 분류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장을 분류함에 있어서 먼저 辭賦·詩·文의 문장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治敎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지닌 문장들을 모아 형식 분류하였다. 文類들을 나열하는 순서에 있어서도 辭賦→詩→騈體의 奏議類→散文體의 文類→有韻文인 儒彿道의 哀祭類와 같이 형식별로 나열하여 형식 분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보여 주고 있다. 다음으로 『동문선』은 文類를 제시하고 그 아래에 직접 문장을 제시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選文層次 분류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문체론이나 子目분류 없이 문장을 선집하여 직접 제시하는 선문층차 분류 방식은 詩文의 형식적 다양성을 문체론이나 자목의 제시 없이 선문된 문장으로 직접 보여주는 것이다. 『동문선』 편찬자들은 바로 이러한 선문층차 분류방식을 이용하여 중세 한문학의 다양한 형식적 모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동문선』은 騈文과 散文의 문류들을 균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騈散兼宗의 문체 분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동문선』이 문체 분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류들을 살펴보면 "詔勅→敎書→制誥→冊→批答→表箋→啓→狀→露布→檄書→箴→銘→頌→贊→奏議→箚子→文→書→記→序→說→論→傳→跋→致語→辨→對→志→原→牒→議→雜著→策題→上梁文→祭文→祝文→疏→道場文→齋詞→靑詞→哀詞→뢰→行狀→碑銘→墓誌"와 같이 분류되어 나타나고 있다. 詔勅에서 箚子까지는 四六의 騈文인 奏議類 문장이고, 文에서 策題까지는 文藝文으로서 산문의 형식을 가진 문류이고, 上梁文에서 墓誌까지는 의례에 사용되는 有韻文의 형식을 가진 문장들이다. 이렇게 『동문선』은 騈文문류와 散文문류 그리고 有韻文문류를 모두 포함하는 병산겸종의 성격을 나타낸다. 이상의 논의 결과로 『동문선』이 『문선』의 체계를 본받았다는 평가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시문선집들이 지니는 분류기준과 자료형태라는 보편성의 측면에서는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시문선집이 자료로서 지녀야 하는 개성적인 측면 즉 문체 분류 방식과 그 성격에 있어서는 『문선』과는 선명한 차별성을 지닌 개성적 문체 분류 자료라는 것이다. In studying the material for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each work would be shown only when the standard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specific character, and so on should be precisely suggested.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Dongmoonseon which have not genuinely been discussed once so far even though they should have been done. First of all, Dongmoonseon used a form of literature as classification standard. On classifying the sentences, they were classified after collecting the useful sentences to teach people, having the forms of writings such as Sabu, poetry, and prose as subject. According to the order arranged the kinds of sentences, it shows the clear position to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by plac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like Sabu -->poetry -->Joouiryoo of Byeonche -->sentences in prose -->Aejeryoo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 Yoowoonmoon. Next, Dongmoonseon takes the simplest way of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type of sentence and presents the sentence below it directly. The way of classification like this shows the formal variety of poetry and prose with the anthologized sentences straightly without presenting stylistics or Jamok. The compilers of Dongmoonseon tries to systematically show a variety of form of Korean literatures during the medieval times by using this way of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Dongmoonseon is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like Byeonsangyeomjong, which equally and generally includes all the types of sentences such as Byeonmoon, prose, and Yoounmoon.

      • KCI등재

        건축형태 인지과정의 범주화에 관한 모형 비교 연구

        서동연,우창훈,최영준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4

        The cognition and classification of human have been continuous subject in cognitive science for a long time. This study focuses especially on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forms in cognition process by comparison experiment. A artificial similarity model was used to clarify that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forms occurs more by which of the two - similarity and concept. The experiment which compares the response of human with artificial similarity model shows that human and artificial model are together affected in response by forms' typic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forms in cognition process is dependent more on the similarity of forms than the concepts created by similarity.

      • 영어 문장형식의 연구 및 적용 - 영문법 5형식의 재조명

        정덕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0 교양교육연구 Vol.4 No.2

        English 5 sentence patterns, which has taken deep root in Korean English education since the Japanese colony period, originated from an English linguist, C. T. Onions(1904). When Hosoe Izuki(1917) introduced the concepts of Onions' 5 predicate forms into Japan. those concepts were rapidly absorbed into Japanese school grammar and had settled down as essential elements in Japanese English education since, which came into Korea direct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there have been so many confusions in sentence analysis using the English 5 sentence patterns among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as well as element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at the sentence patterns have been blamed for hindrance to understanding diverse forms of sentence and to generating precise styles of sentence.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intrinsic problems in both Onions' 5 predicate forms and English 5 sentence patterns popular in Korea in the light of Bae(2003) and tried to resolve the following problems: lack of consistency in classification, counter-generalization of grammatical rule that denies the syntactic common grounds of tensed clause, infinitive clause and small clause, the presence of sentences defying the application of sentence classification by the 5 forms or patterns, and obligatoriness of locative adverbials. Following Han(2007), efforts to strengthen ‘functional approach’ which was the intrinsic key criterion of Onions' predicate form classification turned out to accommodate obligatoriness of adverbials while getting rid of the 5th form, which connotes theoretical redundancy, and consolidating it into the 3rd form. As a result, the author suggested English 4 predicate forms as the alternative to English 5 sentence/predicate/verb forms for teaching English sentence patterns acknowledging the obligatoriness (argumenthood) of locative complement whose syntactic form is adverbials. 일제 식민지 교육시기부터 한국 영어교육에 자리잡아온 영어문장 5형식 개념 기원은 영국의 영어학자 C. T. Onions(1904)이다. Onions의 술부 5형식 개념을 호소에 이쯔키(1917)가 일본에 소개한 이후 이 개념은 급속하게 일본 학교 문법에 침투되어 일본 영어교육에 필수적 요소인 5형식 개념으로 자리잡고 일제강점기 중에 한국의 영어 교육에 그대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직 교사와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문장 5형식이 문장 분석에 있어서 혼선을 빚기도 하며, 그 한계로 인해 문장형식을 이해하거나 정확한 문장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논고에서는 Onions의 술부 5형식 개념과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영어문장 5형식 개념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들에 관해 배영남(2003)의 관찰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하여도 모색해 보았다-분류의 일관성의 결여, 시제절과 부정절 그리고 소절을 아우를 수 있는 문법규칙의 일반화에 대한 역행, 문장유형 파악기준의 적용이 어려운 문장들의 존재, 필수부가어의 존재. 한학성(2007)의 제안에 따라 Onions가 지향하는 ‘기능’ 중심의 분석을 더욱 철저히 하기 위해 ‘부사적’ 필수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론적 중복성을 야기하는 제5형식을 폐기하고 그것을 제3형식 문형으로 통합하였다. 그 결과, 부사어구의 형태이지만 필수 요소인 처격 보어를 요구하는 술어를 재배치하여 영어문장 유형의 교육에 술부 5형식을 문장 5형식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

        이성준,백승학,김상철,국윤아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치열궁간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Ⅰ급 114명. Ⅱ급 119명, Ⅲ급 135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 중에서 가장 협측면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 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square ovoid, tapered형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한 결과 Angle 분류와 남녀 성별에 따른 특별한 치열궁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특정 치열궁 형태의 빈도는 Angle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열궁 크기의 계측항목에서는 대구치간 폭경에서만 남녀 성별 차이를 보였으며, 치열궁 크기에 있어서 Ⅰ급과 Ⅲ급, Ⅱ급 부정교합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열궁 형태의 분포는 Ⅰ급과 Ⅲ급 부정교합군에서는 square, ovoid, tapered 형태 순이었고, Ⅱ급 부정교합군은 square, tapered ovoid 형태 순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mandibular dental arch form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114 Class Ⅰ, 119 Class Ⅱ, and 135 Class Ⅲ malocclusion cases. The most facial portions of 13 proximal contact areas were digitized from photocopied image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es. Clinical bracket points were calculated for each tooth based on the data of the mandibular tooth thickness. Four linear and two proportional measurements were undertaken. The dental arches were classified into square, ovoid, and tapered forms to compare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single arch form specific to any particular Angle classification or sex. It appeared to b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arch form that varies among the Angle classifications. In comparison of arch measure between male and fema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in the intermolar width. In comparison of arch size measurements among the different Angle classifica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ass Ⅰ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s and between Class Ⅱ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s. In comparison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in Class Ⅰ and Ⅲ malocclusion groups, the square form demonstrated the highest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ovoid and tapered forms in that order. In the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the square form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tapered and ovoid forms in that ord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 KCI등재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태’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이지수 ( Lee Jisu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1 언어사실과 관점 Vol.52 No.-

        Part of speech classification in school grammar focuses on certain functions performed by language units in sentences. However, these functions usually appear in a certain form.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verbs are inevitably different from other sentence components.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centered on ‘form’ is a dualistic grasp of the combination of body language and postposition and the combination of stem and ending. As a result, it has the advan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t it consistently show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verbs in Korean sentences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erbs. The ‘form’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has problems that the concept of ‘words’ is difficult to be applied consistently, and the classification of predicative case postposition is ambiguous. However, the question of predicative case postposition is still a question that arises even when ‘distribution’ is used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not a problem of the standard of part-of-speech classification, but rather a problem of the specificity of ‘Ida’. And in the case of the problem of word concep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at learners, intuitiv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language phenomena seem more important than the consistency of the concepts.

      • KCI등재

        조선시대 가훈서의 분류 체계에 관한 검토

        정무곤 ( Moo Gon Jeong )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가훈서는 중요한 교육사학적 연구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간과되어 왔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가훈서를 폭넓게 검토하면서 그 분류 체계를 규명한 것이다. 앞으로 가훈서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사료적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가훈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기초 작업으로써 내용과 형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가훈서를 내용에 따라 강목과 조목으로 구분하였다. 그리하여 강목에 의해 수신, 제가, 처세라는 큰 틀이 도출되었고 이 대분류에 따라 개인생활, 가정생활, 거향과 거관생활과 관련된 조목들을 가훈서 내용 파악을 위한 세부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가훈서를 내용에 따라 기록 형식과 현존 형태로 고찰하였다. 기록 형식에 따라 서간, 유훈, 일지 등으로, 형존 형태에 따라 필사본, 간본, 문집에 포함된 가훈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미발굴된 가훈서를 이해하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recepts books of Choseon. I have categorized family precepts book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For extant contents, I have examined tables of contents and important contents of family precepts books. Through this analysis,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urned out to include three areas: ① cultivation of self(修身), managing one`s family(齊家), and conduct of oneself(處世) ② personal life, domestic life, and community life. For extant forms, I have considered a record form and an existing form of family precepts books. Also through this analysis, the form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areas: ① letter writing(書簡), the teaching left by ancestors(遺訓), and a diary ② copied books(筆寫本), published books(刊本), and family precepts books included within anthologies. In classifying the family precepts books, interactions among the criteria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since they may overlap in contents and form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ould help making better accounts on unknown family precepts books.

      • KCI등재

        일본어 오노마토페의 형태적 고찰

        강소정,이정숙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일어일문학 Vol.58 No.-

        Vocabulary acquisition is important in learning of Japanese. Among them, acquisition of Onomatopoeia is known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peaking Japanese. However, to acquire Onomatopoeia is considered to be the hardest part to Japanese learners due to its massive amounts and various kinds. In this study, based on the「擬音語?擬態語の一?」of『Japanese education dictionary』,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Onomatopoeia was examined by form and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Onomatopoeia form was examined by dividing ‘morphological features’ into repetitive form and expansion form.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in Onomatopoeia is repetitive form such as ABAB form and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o the expansion form is adding the note of「っ」「ん」「り」. It was seen that extension was occurred by「repeat」「a voiced and p-sound」. These extension elements can be produc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dding location and can be vanished by time by time or absorbed into a different form. Because the expansion of each element implies the distinctive conno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tle nuances can be occurred by the extension of element while maintaining the basic meaning. Onomatopoeia is the extended vocabulary with rules which has a systematic structure although it displays the morphological diversity. Therefore, if the learners are to identify and recognize these rules they are able to infer its meaning more easily when faced with a new vocabulary and it will make Onomatopoeia acquisition more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