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 KCI등재

        해외연구소개 :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 Yoon Mi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 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 (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 -2000년대 중반 이후를 중심으로-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교육학의 기초분야 연구에 대한 위기가 회자되는 최근의 한국 상황을 인식하면서, 일본의 연구자들은 어떤 주제와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일본의 교육사 연구자들이 몸담고 있는 학계의 상황 및 이들이 매년 개최하는 교육사학회의 분위기도 전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살펴본다는 단순한 궁금증 해소를 넘어, 같은 동양 문화권의 인접 국가이면서 서로 다른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생긴 교육사연구 및 교육사학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사연구와 학회활동의 지점과 방향을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trend o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Japan after the mid 2000s. I examine the Japanese researchers`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journal. Also, I try to understand the academic circumstances through the programs of the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historical studie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ages of the educational histo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before now, it is ascending the interests to the people``s history,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that has been research methods of other fields. To reenact the vivid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past, these research methods should be used and applied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pool the primary sources. A proper view of history is based on the exact record of the past. To collect and organize record of the past, we look for the state aid and the inquiring mind of the researchers.

      • KCI등재

        중국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연구 동향

        류춘매,김병욱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It also searches for alternative ways of studying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by reflectively reviewing its development since little critiques and reflection have been made so far. In addition, it tries to introduce research trends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to Korean academic society and to facilitate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ocieties.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d already begun in 1890s. However, the real starting point was in 1922, which was almost 40 years earlier than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Despite this early start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suffered from Chinese political dynamics, namely, the communism between 1949 and 1978. With the new open policy in 1978 Chinese academic societies accepted Western social sciences and since then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met its reviving era by discussing its identity as an appropriate and useful academic discipline for China. It mainly shows theory-oriented approaches, and thus, it lacks practical explorations and suggestion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Interestingly enough, it takes structural functionalism in socialistic China different from 1980s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The academic society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s weakness in research manpower and journal publication. It also faces the deman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research perspectives and method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action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fe history methods. Through these approaches it can develop Chinese theory for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중국 교육사회학은 잉태․창건 시기(1922∼1949년), 정체․침몰 시기(1949∼1979년), 재건설․발전 시기(1979∼2001년)의 3단계를 거쳐 발달해왔다고 할 수 있으며. 각 발달 시기는 해당 시기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구국강병을 위해 서양에서 도입한 여러 학문 중의 하나인 중국 교육사회학은 1922년 토우멍허(陶孟和)의 『사회와 교육』이 출판되면서 그 기초를 마련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교육사회학이 출발한 시기보다 무려 40여 년 앞선 것이다. 그렇지만 중국 교육사회학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부침(浮沈)의 과정을 거쳐 왔다. 특히 좌파 계획경제시기(1949~1979년)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소멸의 위기를 겪었고, 1979년 이후의 개혁개방시기를 맞으면서 부활하여 비로소 학문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1992년부터 시작된 시장경제시기 이후 중국 교육사회학은 활성화 되고 있다. 현재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기능주의적 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1980~90년대에 비판적 이론들이 팽대했던 한국의 교육사회학과는 대조를 이룬다. 주로 거시적, 이론적, 사변적, 문헌중심적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중국 교육의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나 미시적 연구는 드물다. 한편, 학회와 학회지 그리고 연구 인력 등의 측면에서 중국 교육사회학은 취약함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자체 평가나 반성적 논의는 그동안의 중국의 정치적 현실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각 발달 단계에서의 특징 그리고 현재의 학문적 상황과 연구 동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한국 교육사회학계에 소개하여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관심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韓國敎育史硏究의 課題」에 對한 討論

        金英宇 한국교육사학회 1989 한국교육사학 Vol.11 No.-

        금번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연차 학술발표회의 대주제를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과제, 전망으로 하고, 소주세로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한국교육사연구의 과제, 한국교육사연구의 전망으로 세분하여 각 소주제별로 나누어서 주제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과제, 전망이란 대주제를 전개함에 있어서는 먼저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이 먼저 파악되어야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교육사연구의 과제가 도출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교육사연구의 전망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체류 중국 유학생들의 한류와 한국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조혜영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2

        Locating Korean Wave(Han-Ryu) and the Image of Korea: An Ethnographic Study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류 인식 실태 및 한국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래에 지구화 및 세계화 논의가 보편화되는 가운데 대부분의 논의가 거시적 차원의 문화 및 자본, 기술, 이념의 흐름과 세계화 경향에 주목하여왔다. 이러한 가운데 국경을 넘는 흐름의 주체인 개별 행위자의 인식 파악에는 소흘해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거시적 흐름과 함께 미시적 차원의 행위 주체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시도로서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들의 한류 인식 및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국경을 넘는 문화의 흐름으로써 한류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한류의 주요 수용자라 할 수 있는 중국 청소년들은 실제로 한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한류와 관련하여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한류의 방향성과 관련하여 중요하리라고 보여진다. 한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시키는데 기여를 했고 한국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다. 한중수교 이후 한국체류 중국 유학생들이 급증하고 있고 이들은 한류와 직간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한국을 방문하게 되며 한류를 통하여 얻어진 한국에 대한 서구적, 개방적, 세련된 이미지는 한국 체류 경험을 통해 긍정적으로 입증되거나 부정적인 반전을 겪기도 한다. 이들이 한국에서 배우는 것은 교육기관 내부에서 전달되는 지식을 넘어서는 한국 사회 문화의 전반적인 부분이며 그러한 인식이 향후 초국적적 흐름의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 교수·학습사회학에의 초대: 교육사회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하여

        오욱환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9 No.-

        2019년 한국교육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선정한 주제의 핵심 개념은 ‘교사’이지만, 교사는 학생과 관련짓지 않고는 의미가 없으므로 실제로는 ‘교사와 학생’이 핵심 개념이 된다. 더욱이 교육학자는 교사와 학생이라는 명칭(名稱)보다는 그들의 활동(活動)을 탐구해야 하므로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3) 한국교육사회학회는 학습에 관해서는 관심을 조금 가졌지만, 교수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간과하고 외면하였다.4) 나는 오늘 그 이유를 살펴보고 교육사회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해서‘교수·학습사회학’의 복귀(復歸)를 촉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오욱환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4

        한국 교육사회학계는 이론 논쟁의 풍토를 갖고 있다. 이 전통에 힘입어, 한국의 교육사회학자들 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직시하고 비판하는 데 충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분위기 가 줄어들면서 교육사회학의 정체성까지 희미해지고 있다. 이 글은 한국 교육사회학계가 교육의 ‘현 실에 대한 비판’과 ‘발전을 위한 변화’의 견인차 역할을 회복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론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자 한다. 구조기능주의 교육사회학을 비판하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던 구조론적 마르크스주 의를 되새긴 후,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변혁적 교육사회학 이론은 교 육이 사회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1)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주체로서 인간의 존재를 확인하며, (2) 전면전(全面戰)과 기동전(機動戰)에 의한 전복적(顚覆的) 사회변화를 극복하고 실질적 인 인본주의 사회 건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구상된다. 이 글을 통해서, 지배집단의 이데 올로기 독점을 불가침의 철칙으로 받아들이는 구조론적 마르크스주의 교육사회학이 비판된다. 이 글을 통해서 어떤 집단도 이데올로기를 독점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피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가 대 항력을 갖추어 국가권력을 지배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주도권 쟁탈이 집단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음 을 부각한다. 어떤 유형의 교육도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교육은 본질적으로 헤게모니 과정임을 밝힌다. ‘헤게모니로서 교육’은 곧바로 교육이 사회 유지나 변화와 직결됨을 의 미한다. 교육은, 사회의 존속과 유지에 공헌해 왔듯이, 사회변혁을 이끌 수 있다. 교육이 사회변혁을 주도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교육이 적극적, 역동적, 능동적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 Sociologists of education in Korea have enjoyed theoretical discussion and debate. Based on this argumentative climate, they can develop their own viewpoints and academic insights. Also they can find their own way out of dogma. Nowadays however, the tradition has slowly disappeared ever since they became infatuated with descriptive and fact-finding research projects. As the result, their papers and presentations cannot set off argument, discussion, or debate. Therefore, I want to invoke theoretical discussion and debate through reviving an authentically disputable topic in sociology of education, Marxist sociology of education. Marxist sociology of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versions according to how they define and interpret ‘ideology’: structural and ideological Marxist sociologies of education, which I respectively renamed ideology-monopoly theory and ideology-hegemony theory. According to ideology-monopoly(structural Marxist) sociologists of education, the ideology of ruling class pervades, dominates, and functions as frame of reference and habitus. And schooling is the most effective and legitimated way of disseminating the ideology to the ruled class. However, the ideology-hegemony(ideological Marxist) sociologists of education reject the soleness of the ruling-class ideology in society and argue that the ruled class also have their own ideology, which can counter the ruling ideology.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of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education. I try to rename it ‘transformat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ve education theory, every educational process should be either to domesticate the people or to liberate them. If we re-conceptualize education positively, actively, and dynamically and broaden its realm unlimitedly, education can be a camp for agents initiating social change and the site of ‘war of position’, which is a possible and realistic strategy in modern society. Through transformative education we can wish for a

      • KCI등재

        한국 교육사회학의 토대 강화를 위한 이론과 주제의 확대

        오욱환 한국교육사회학회 2001 교육사회학연구 Vol.11 No.3

        Korean sociologists of education have failed in arousing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and discovering new meaningful research topics. Nowadays many Korean sociologists of education may feel an identity crisis because they enjoyed popularity with their students and fellow scholars in the 1980s. They have not been successful in demonstrating the view that the sociology of education is constructed by various and contrasting theories and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I think that the first step to rescue the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is to critically review both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ologists of education and their research papers. They have taught students and conducted research in sociology of education based only on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y. They have not seriously discussed even these two theoretical paradigms. Therefore, they have lost many meaningful classical and modern social theories, which can be us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ed for the 20th century. We can figure out the development through reviewing three readings which were edited by (1) Halsey, Floud and Anderson(1961), (2) Karabel and Halsey(1977), and (3) Halsey, Lauder, Brown and Wells(1997). Sociologists of education in the U.S. and the U.K.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oretical reference and have applied various methodologies in conducting researches. Sociology of Education in America and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both published four times per year, have shown the variety of theory and methodology. And newly published anthologies or readings, such as Hallinan's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2000) and Demaine's Sociology of education today(2001), are very useful to catch up with the research trend of active sociologists of education. 한국 교육사회학이 정체성을 확립하고 토대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제와 이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교육사회학계는 기능론과 갈등론을 이론적 준거로 사용해 왔다. 그 결과, 한국의 교육사회학은 토대가 약화되었고 제한된 몇 가지 주제들을 단조롭게 다루게 되었다. 이런 시점에 서 한국 교육사회학의 연구 풍토를 반성하고 토대를 강화하며 주제를 확대하기 위하여 고전 및 현대 사회이론을 재검토하고 영?미 교육사회학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토와 분석에 근거하여 한국 교육사회학계에 준거 이론의 다변화와 주제 및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사회학연구 20년: 궤적, 성취, 그리고 과제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publication patterns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a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 founded in 1990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The study provides the first longitudinal overview of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contributing to a broader discussion of the Journal's role in advancing the scholarship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Korea. A total of 461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10 of the Journal were analyzed for authorship, research method, and article content, using content analysis. In general, publishing patterns witnessed for the first twenty years of the Journal are characterized by gender imbalance of authors, decline in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rticles regularly over time, increase in collaborative work and quantitative research over time, and shifting emphases of subject matter. Meanwhile, the Journal is regarded as highly selective and accepts only high quality articles, obtaining the highest level of impact factor(IF) among the social sciences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aken together, it is imperative to expand and broaden the researcher base for the advancement of the scholarship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Korea. With this in mind, several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are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교육사회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의 저자 특성 및 내용을 종단적으로 개관하고자 수행되었다. 1990년에 창간된 이후에 처음으로 시도되는 교육사회학연구에 대한 이러한 포괄적인 범위의 종단적 추이 분석은 한국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발전 및 저변 확대를 위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연구자는 1990년부터 2010년 사이에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총 461편의 논문에 대해 저자 특성, 연구방법, 연구주제 등을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난 20여 년 동안에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에서 드러난 특성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저자 성비의 불균형, 논문을 안정적으로 게재하는 저자의 감소, 공동 연구 및 양적 연구의 증가, 연구주제의 빠른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교육사회학연구는 완성도가 높은 논문들만을 엄선하여 게재함으로써 국내 사회과학 영역의 학술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인용도 지수(IF)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한국 교육사회학계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학문적 발전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연구자 저변을 확대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