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뭉치로서의 한글 대장경과 그 활용

        서상규 ( Seo Sang Kyu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9 No.-

        이 연구는, 종교 영역에서만 주로 쓰이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특수 말뭉치1)의 하나로서 종교 언어 말뭉치가 왜 필요한지를 논하고, 나아가서 그 구체적인 구축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종교 언어 특수 말뭉치가 일반 말뭉치와는 다른 특성과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하기로 한다. 첫째, 일상 언어와 종교 언어 사이에 실제로 공통성이나 차이점이 있는지, 또는 종교 간에도 그러한 공통성이나 차이점이 실제로 드러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실험 말뭉치를 분석하여 규명한다. 둘째, 종교 언어 중 불교계의 언어 양상을 살펴볼 특수 말뭉치의 하나로서, 지난 2015년 이래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에서 추진해 온<한글대장경 말뭉치>의 실제적인 구축 과정과 그 활용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특수 말뭉치 구축에서 생기는 여러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propose the need to develop the religion corpus as a special corpu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of language in religious circumstances and then establish the methodology to develop the corpus. The paper is built up as follows. First,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between everyday speech and religious language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experimental corpus and those among different religious languages are also examined. Second, I give a review of establishing and utilizing the Hangul tripitaka corpus, which had been implemented since 2015. Finally, I show the challenges faced while establishing special corpus and the solution of them.

      • KCI등재

        언어 교실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를 사용하는 상황 연구 -한국어 교사 및 학습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신성철 ( Seong Chul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09 언어사실과 관점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언어 교실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를 사용하게 되는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실 언어를 선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실수업에서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가 갖는 역할과 사용 시점, 수업 활동별 교실 언어, 비언어 강좌의 수업 언어, 교실 언어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식 조사는 한국어 교사 27명과 한국어 학습자 38명으로 부터 얻은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이루어 졌으며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수업 운영과 교육적 효과라는 측면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운율과 담화 기능의 상호 작용 -문장 뒤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담화 표지 "뭐"를 중심으로-

        차지현 ( Ji Hyeon Cha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0 언어사실과 관점 Vol.25 No.-

        본 연구는 의문사에서 비롯된 담화표지 ``뭐``가 문장 뒤에서 나타나는 경우를 바탕으로 운율적 요소를 고려하여 그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 시도이다. 구어담화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담화표지는 의미적으로 명제적 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언어적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사적 제약이 적으며, 따라서 문장 내에서 자유롭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화 대화로 이루어진 LDC 말뭉치를 이용하여 담화표지 ``뭐``가 문장 내에서 나타나는 위치에 따라 그 기능과 운율적 특징이 다름을 밝히고, 문장 뒤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가 실제 담화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항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우선, ``뭐``는 문장 뒤에서 나타날 경우 선행절의 서술어와 함께 하나의 억양구(Intonation boundary)를 이룬다. 이 때, 선행절의 서술어와 함께 사용되는 어말어미는 ``-지, -네, -던데``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모두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어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선행절의 서술어 + 뭐]의 구조는 문장 뒤에서 하나의 억양구를 형성하면서 특정한 억양패턴을 나타내는데, 한국어의 서울말에서 나타나는 9개의 억양패턴 중 유일하게 HLH(%)와만 결합함을 보인다. 셋째, ``뭐``가 문장 뒤에서 실현될 경우, 문장 앞이나 문장 내에서 실현되는 경우와 구분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담화표지 ``뭐``가 한국어의 다른 담화표지와 달리 그 기능에 있어 더 세분화되어 있음을 증명하며, 이는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 정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Korean Migrant Children’s Language Use and Attitudes towards Language Maintenance and Cultural Identity: A China Study

        ( Weiwei Zhang ),( Seong-chul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49 No.-

        이 논문은 중국 한인 사회내 한국계 자녀들이 직면하고 있는 언어 사용, 언어 유지 및 한국어 계승어에 대한 태도의 문제를 다룬다. 한국과 중국 간의 외교 관계 수립후 베이징, 상하이 및 총칭 등 중국 대도시에 많은 수의 한국인 이민자 및 한국어 화자가 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한인 사회는 지금까지 사회언어학 연구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했다.이 연구는 한국계 자녀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계승어 한국어를 (어느 정도로) 유지해왔는지,한국어와 문화 정체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조사연구하였다. 또한 언어 유지 (및 언어 이동 혹은 상실)에 영향을 준 요인과, 어떤 방법으로 계승어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지, 이를 위해 한인 사회내 어떤 자원을 활용하는지 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취하였며, 연구 데이타는 일정하게 규격화된 전화 인터뷰 방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인터뷰는 남중국 지방의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5명의 자원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언어 유지 및 문화 정체성 형성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s of language use, maintenance and attitudes towards the heritage language faced by Korean children in the Korean community in PR China. Despite a large number of Korean migrants and speakers settled in China’s major cities such as Beijing, Shanghai, Chongqing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Korean community in China has not to date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sociolinguistic researchers.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migrant children communicate in their daily lif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y have maintained their heritage language, and what perceptions they have towards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identity. It also examines factors that have impacted on the maintenance (or shift or loss) of language and cultural identity, in what ways the students are attempting to maintain its heritage language and what community resources are utilised to that end. This study has utili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semi-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volunteer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China. The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result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language maintenance and the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한국어 준구어와 중국 국내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관형사의 쓰임을 중심으로 -

        노성화 ( Lu Xinghua ),안양 ( An Ya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9 No.-

        Several early studies show that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in the use of determiners existing in dialogue texts of Korean listening materials published in China. In order to reveal the cause, the author uses the interval reasoning method of statistics, from two aspects, to discuss the determiners in hearing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researcher firstly divides determiners into three parts, shape determiners, numeral determiner, demonstrative determiners. Next, they are divided into inherent word system, Chinese word system, “inherent+Chinese”word system. And then these determiners are compared with Korean quasi-oral system respectively. Comparison result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ervice of the determiners existing in dialogue texts of Korean listening materials published in China. At last, based on the above comparison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come forward in writing demonstrative dialogues of Korean listen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자료의 특성과 구축 방안 -말뭉치언어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안의정 ( Eui Jeong Ah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4 언어사실과 관점 Vol.33 No.-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data volum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nd to study construction measures of narrative data for linguistic study. Name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linguistic structure of narrative data, and to discuss the documentation and formation measures upon building bulk of narrative corpu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Narrative study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story in the flow of qualitative study; however, in recent corpus linguistics or computer science-like discourse analysis, narrative research results attempting quantitative approach are produced. In spite of active narrative studies in many research sectors and many data accumulated thereby, there has hardly been researches that focused on the construction measure by approaching narrative as a data object. The reason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arrative study tends to be built in small-scale data centered on individual researcher and used by individual protocol. This study, therefore, argued about narrative data construction methodology that can be used both in qualitative study centered on small-scale data and quantitative study based on bulk of narrative data by focusing on corpus linguistics point of view. This study took the following questions as the starting point for this study. Firstly, what types of narrative are there for humanities and languages study? Secondly, what should be considered upon building narrative data? Thirdly, how to make narrative archive for researcher?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ata (chapter 2), researched collection, input, markup and annotation measures of narrative data, and discussed how to design narrative archive in Korea by investigating domestic and foreign major narrative archives (chapter 3).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패턴 변화종단연구

        류한레이 ( Hanlei Liu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6 No.-

        The study, with years of writing materials by the Chinese Korean learners from primary to advanced levels as the research material, keeps records of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ir vocabulary-use pattern. And it investigates the vocabulary-pattern conversion by the Korean learners in each semester and finally proves that by studying their vocabulary -pattern conversion, we can conclude that the Korean learners’inter -language follows a specific and regular pattern. The subjects investigated are the Korean majors from Chinese undergraduate universities. The study aims to focus on the learners’ inter-language in a diachronic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e of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pattern conversion in their writing materials of the final examination from the primary to the advanced levels(from the 2ndto6thsemesters),it explains clearly the vocabulary pattern conversion can reflec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interlanguage of the Korean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