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 KCI등재

        항공사 고객들의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과 지각된 위험이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Shin-Ok J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코로나19라는 감염병 인식과 감염병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2021년 6월 2일부터 24일까지 일년 이내에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0.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유효한 250부의 설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은 지각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은 위험감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의 지각된 위험은 위험감소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의 지각된 위험은 관광지 전환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위험감소행동은 관광지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감염병에 대한 항공사 고객들의 인식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위험과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의 장기적인 위기 속에서 외부 변수에 취약한 관광산업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a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of air traveller on risk reduction behavior and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air travelers with airline experience within a year.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n 2 and Jun 24, 2021, and 25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AMOS 23.0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of the COVID19 has effect on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Seco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has effects risk reduction behavior, but has no effect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ird, risk reduction behavior has effect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e finding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a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risk reduction behavior,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and academic researchers. This study has shown that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of the COVID19 is critical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코로나19 예방접종증명서의 국제적 인정에 관한 연구

        장수연(Jang Su Yun),권헌영(Kwon Hun Yeong) 한국IT서비스학회 2021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0 No.6

        After the COVID-19 outbreak in 2019, the spread of COVID-19 has not been easily caught despite preventive measures in each country. The spread of COVID-19 has hit the world, especially in the economic and tourism sector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asing restrictions on the movement of vaccinated people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Under the name of Vaccine Passport, Vaccination Certificate, and Digital Health Pass, vaccination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to allow vaccination recipients to use multi-use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movement of countries, and each country has its own immigration policy. In order to return to pre-corona daily life, global agreements must be reached from the movement of vaccinated people between countries, and standards and implementation methods must be determined.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f vaccination certificates suitable for the COVID-19 era. We will look at the spread of COVID-19 and its international response policies. In the case of COVID-19, we will investigate why vaccination certificate installation should be standardized and how far the current standardization has been discussed,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vaccination certificate installation and considerations. In order for the immunization certificate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institutional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are identified and security factors that may occur in each implementation are also presented. Finally,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case of vaccination certificate is discussed,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vaccination certificate is proposed. This paper can be used as a policy because of its timeliness in studying the standards of vaccination certificates and considerations for international recognition to restore movement between countries in the spread of COVID-19. In addition, if other infectious diseases occur in the future or similar cases where movement between countries is restricted,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support the movement of verified people.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인식변화가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진아,노영희 한국미용학회 2022 한국미용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 total of 230 hair salon user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and analyzed the results of i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ng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COVID-19 on the perception of hygiene of customers going to hair salons, and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due to people's risk perception about COVID-19, hygiene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has settled in society. Also, awareness of contagious diseases that may occur in hair salons ha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people's interest in respiratory infections has been recorded high. Second, since fears of COVID-19 infection have expanded individual's concept of hygiene from individuals to public places, it was found that more thorough hygiene standards are needed because there are many situations of close contact in hair salons, which are a type of multi-use facilities. Third, it was studied that customers, who feel greater psychological pressure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due to COVID-19, they require stricter hygiene standards as well as washing hands and wearing masks in hair salons. As the result, the need to change customers' perception in using hair salons safely has been raised. And in order to reduce users' concerns about COVID-19 infection and present social stability, it is considered that thorough quarantine, and nationally institutionalized rules and norms are needed, and the media and the press should provide correct information.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prepare for contagious diseases in various fields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and considering that COVID-19 is still going around, periodical studies are required when the pandemic is over.

      • KCI등재

        COVID-19 상황 인식이 백신 접종 의향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가 갖는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노환호,이태준,고명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1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은 신체적인 문제를 넘어 사회, 경제, 그리고 제도적 차원에서 다양한 문제를유발한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들 간에 전염되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개인적 노력이나 질병의 치유가 아닌 집단적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백신의 개발이후로 집단 면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백신 접종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백신접종에 대한 MZ 세대의 태도에 미치는 상황 인식과 정부 신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설문을 통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코로나바이러스 상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백신 접종 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정부 신뢰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황 인식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백신 접종 의도가 낮아지지만, 정부 신뢰가 높은 사람은 유의한 감소 효과가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spread of COVID-19 leads to a variety of problems in society, economy,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beyond physical problems. This is because COVID-19 is transmitted among people and causes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the collective effort and interest, not personal effort or healing of disea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government trust and the situational recognition of the MZ generation’s attitude toward vaccination in the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vaccination to form group immunity after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higher the vaccination inten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people with low situation recognition levels have lower vaccination intention, but those with high government trust have no significant attenuation effect.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그림표상활동을 통해 살펴본 유아들의 코로나19 상황 인식

        조소담,박수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children perceive the COVID-19 situation through picture representation activities. To this end, 55 four-year-old children and three teachers from three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the COVID-19 situation was a time that reminded them of the importance of friends and changed their daily lives. It gave them a lot of time to spend with their families. In addition, it gave them a play topic related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aught them to systematically learn clean habi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y highlighting the perspectives of young children experiencing the COVID-19 situation.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유아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림표상활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세 곳의 만 4세 학급 유아 총 55명과 담임교사 3명을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에게 코로나19 상황은 친구들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일상의 변화를 안겨주는 시간이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은 유아들에게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선물해주었고, 코로나19 상황과 관련된 놀이 주제를 주었으며, 청결한 습관을 체계적으로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겪고 있는 유아들의 관점을 조명해보면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문 기사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어휘 연구

        이숙의(Lee, Suk-eui)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3 No.-

        본고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코로나-19에 관한 사회적 담론의 생산, 발전,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일반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고빈도 어휘의 사용 양상과 의미 부류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방역], [의료], [교육]과 [경제] 위기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다는 점, 질병의 [발생]과 [증감], [통계] 정보가 신문을 통해 많이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체명 인식 결과 코로나-19의 의미적 특수성을 반영한 직위/직책명(CV_POSITION)과 나라명((LCP_COUNTRY), 도시명(LCP_CITY), 도, 주 지역명(LCP_PROVINCE), 발병 원인과 관계가 깊은 종교단체명(OGG_RELIGI ON)과 신체 조직 및 기관의 명칭(TM_CELL_TISSUE) 등의 출현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발생 시점부터 현재(2021년 8월)까지 신문에 사용된 어휘를 형태소 분석 결과별, 개체명별로 폭넓게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production,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OVID-19 discourse, which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was examined through lexical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al with the use of vocabulary from the first occurrence of COVID-19 to the present(Aug, 2021). Patterns of use of high-frequency vocabulary and semantic classes were analyzed focusing on common nouns and verbs. As a result, social interest in the [prevention] and [medical], [education] and [economic] crises was very hig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lot of [occurrence], [increase/decrease], and [statistics] information of diseases were distributed in newspaper articles. As a result of NER(Named Entitiy Recogniti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s of words belonging to title/position name (CV_POSITION), country name (LCP_COUNTRY), city name (LCP_CITY), state name (LCP_PROVINCE), religious group name (OGG_RELIGION), and body organization name (TM_CELL_TISSUE) was high. All of those vocabularies reflected the semantic specificity of COVID-19.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의료기관 종사자의 불안 및 우울 관련요인

        정연자,최성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본 연구는 COVID-19에 대한 의료기관종사자의 불안,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불안,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자료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에 위치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488부이다. 연구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불안, 우울은 종교, 음주, 주관적 건강상태, 직장만족도, COVID-19 관련 교육, 사회적 거부, 연령, 결혼, 흡연, 소재지, 병상 수, 총 경력, 개인보호장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둘째, 불안과 우울은 위험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은 안전환경, 개인보호장비 착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기관 종사자의 COVID-19에 대한 불안 영향요인으로 음주, 주관적 건강상태, COVID-19 관련 교육, 직업 때문에 사회적 거부나 다른 부정적인 경험, 위험 인식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 병상 수,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개인보호장비, 위험 인식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COVID-19에 대한 의료기관종사자들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 기간 헌혈 인식과 대한적십자사 대응에 관한 설문조사

        배혜진,안병선,윤미애,박돈영 대한수혈학회 2021 大韓輸血學會誌 Vol.32 No.3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employees and blood donors regarding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response of the Korean Red Cross Blood Servic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ternal groupware targeting employees of the Korean Red Cross Blood Center and Blood Laboratory Center. For the blood donor survey, a text message containing the survey URL was sent to 20,000 blood donors on July 31, 2020,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ose who received text messages, 63.7% of staff and 8.6% of blood donors participated. Of the employees surveyed, the greatest urgency was the need to prepare after COVID-19; strengthening safety and protection measures of employees showed the highest result. In the concern on future blood services, the highest result was the deterioration of blood supply due to decreasing number of blood donors. In a survey of blood donors, 16.0% answered that the spread of COVID-19 had a very negative or somewhat nega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blood donation, and 80.4% responded positively to sending an ‘emergency disaster message requesting blood donation’ when blood stocks dropped sharpl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blood donation promotion and prepare systematic blood donor management measures for a stable blood supply during a pandemic, such as COVID-19. The emergency disaster message requesting blood donation helped solve the blood shortage, but it appears that an effective use pla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Korean J Blood Transfus 2021;32:191-200)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

        강유진 ( Kang¸ Eugene ),정도준 ( Jeong¸ Dojun ),박지훈 ( Park¸ Jihun ),김지나 ( Kim¸ Jina ),박종석 ( Park¸ Jongseok ),남정희 ( Nam¸ Jeonghe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4

        COVID-19 팬데믹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 시스템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다. 준비 없는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로 볼 때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교육의 목표와 방법, 과학탐구활동을 포함한 비대면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와 초등교사의 대응, 비대면 수업 경험 후 비대면수업의 장단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과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포함하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시행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53명)와 포커스 인터뷰(9명)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3가지 결론과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에 따라 일방향 강의와 쌍방향 강의를 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조사나 토론 등 강의 외의 수업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탐구활동의 어려움으로 현장 피드백의 어려움, 준비물 확보의 어려움, 안전 확보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개인 실험을 위한 실험 꾸러미와 실험 영상을 제공하고 온라인에서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협동적 논의와 피드백을 통해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의 장점으로 IT 기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가능하고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단점으로는 탐구활동이나 협동학습과 같은 대면 기반 수업이 어렵고, 학생의 이해 정도를 알 수 없어서 피드백이 어려우며,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어렵고, 학습 격차가 벌어진다고 인식하였다.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education systems worldwide, including in Korea. Due to COVID-19’s social distancing policies, the education system was suddenly switched to distance learning, resulting in many problems in primary schools without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education techniques, responses to issues in science classes, including inquiry activiti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roles after experiencing distance learning. Survey and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d previously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such as online content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e study findings showed three conclusions: 1) Prim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one-way and interactive lectures in online classes. It is vital to improve a teacher’s digital literacy to improve other teaching methods such as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n online classes. 2) Prim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the challenges of field feedback, inquiry item preparations, and safety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classes, by providing individual experimental packages and videos and using online discussion and feedback among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3) Prim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various types of classes using IT device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ere possible as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As for disadvantages, it was acknowledged that inquiry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immediate feedback, and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challenging. Furthermore, learning gaps were wider in distan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