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한남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principles to support the teachers who practic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so,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llowing analysis of its conflicts and significa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achers considere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limited and found it har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eco-early childhood teacher. It also highlighted difficulties arising from poor support, and a lack of confidence in managing the program. On the positive side, however, repetitive reflective thinking allowed the teachers to begin grasping the concept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independent program, and to start understanding teachers' role within it. This means that the future support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emphasize its significance as a new paradigm, and that program planning is vital-such programs can support teachers by allowing them to participate and com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교사가 생태유아교육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실시하여 교사가 갖고 있는 갈등과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발견의 경험을 분석한 다음,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분석한 결과 교사는 생태유아교육을 몇 개의 제한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생태유아교육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보였다.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스스로 자신 없어 하는 프로그램의 운영과 부족한 지원 때문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반성적 사고를 반복 실시하면서 교사는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생태유아교육을 이해하고, 생태유아교사 역할의 의미를 찾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실시될 생태유아교육 교사 지원프로그램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유아교육의 의미를 강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가 실제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생태교육의 의미를 찾아보는 반성적 사고의 기회가 포함된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계획도 필요 할 것이다.

      • KCI등재

        팬데믹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번화 및 미래생태유아교육 실천방안 담론 탐색

        우은주(Eunju Woo)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팬데믹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변화와 미래생태유아교육 실천방안 담론에 담긴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현장 유아교사 12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4개월 동안 총 60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연관 키워드와 담론 내용의 범주를 도출해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인식변화로는 ‘생태 공간 인식의 변화’, ‘생명 공동체 인식의 변화’, ‘생태 놀이 인식의 변화’, ‘생태 감수성 인식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둘째, 미래생태유아교육 실천방안으로는 ‘물리적, 교육적 생태통합 서비스지원’, ‘획일화된 놀이터를 자연체험 공간으로 전환’, ‘생태미디어 교육의 재조명’, ‘생태소양 증진 및 생태융합교육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팬데믹 이전 생태교육인식이 숲과 자연체험 위주의 자연친화적인 생명현상을 바라보는 교육이었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자연과 인간이 상생하는 생명 공동체 중심교육과 생태 감수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태공간의 전환과 생태통합 서비스 및 미디어 플랫폼 지원과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실천방안이 시사하는 바를 탐색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co-education since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mplications of that discourse on action and support plans for future eco-educ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terviewed in depth for four months in 60 sessions. The relevant keywords and discours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discuss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ecological education including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ecological spaces, life communities, ecological play, and ecological sensitivity. Secondly, they proposed a few plans of practice for future ecological education including providing support for an integrated service of physical and educational ecology, converting a uniform playground to a space of nature experiences, shedding new light on ecological media education, an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and shifting the paradigm of ecological convergence educa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identifie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 from the old perceptions of ecological education for nature-friendly life phenomena around forests and nature experiences before the pandemic. The change includes growing perceptions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well as life community-centric education based on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man after the pandemic, the conversion of ecological spaces, support for ecological integration service and media platforms, and the need for paradigm shifts.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사 되어가기: 경력에 따른 생애사적 접근

        김은주,신미정,변지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involved the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both newly appointed and experienced,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life history research to look at stages from the preliminary teaching stage to life as a teacher i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and to identify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he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but they make efforts to adapt themselves to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actic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develop different views of education and a sense of duty as eco-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lived with autonomy as eco-early childhood teachers, making efforts to develop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ir pride for this type of education. They appear to keep their composure and live satisfactory lives, making different ecological cho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comprehend changes in the views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 teaching profession, children, instruction methods, etc.,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ife changes that result from assuming the role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생태유아교사가 되기까지 경험하는 것들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연구 참여자들의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현재의 삶까지 생애사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임교사는 생태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어려움은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적응과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져 교육관의 변화와 더불어 생태유아교사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교사는 생태유아교사로서 자율성과 자부심을 가지고 생태유아교육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몸과 마음의 여유와 생태유아교사로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교사의 개인적인 삶이 생태적인 삶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유아교사가 되어감에 따라 교사의 삶에서 드러나는 교직관, 아동관, 교수방법 등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변화가 개인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만5세반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과정 운영 연구

        서영희,김은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ers implemen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this end,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of the daily work habits of daycare teachers for five-year-old children were conducted in P Child Care Center.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 results, this study presents a qualitative analysis of how the purpose,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realized. The purpos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o allow children to play happily.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is focused on the child's life so that it will be suitable for various seasons. Regarding methods, teachers wait for children to learn how to achieve for themselves rather than directly teaching them how to do thing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recording changes in the children while they were receiving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onclud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basic educational perspectives professed by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어떻게 생태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생태유아교육기관인 P어린이집의 만5세반 유아교사의 일과를 참여관찰하고 면담한 결과를 토대로 생태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를 어떻게 실현해 가는지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유아교사의 일과를 분석해본 결과, 생태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목적은 신명나게 뛰어노는 아이로 키우는 것이었다. 교육내용은 계절 및 절기에 따른 삶을 살아가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직접 가르치기보다는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방법을 택하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과정을 실시하면서 생긴 변화를 기록하는 것으로 평가를 하고 있었다. 종합해 볼 때, 생태유아교육과정은 생태유아교육에서 표방하고 있는 기본적인 교육관점에 따라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생태유아교육과정은 의도된 교육과정과 실행된 교육과정 간에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김은영,권성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이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생태유아교육효과에 대해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19.2%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에 대해 생태실천행동, 경력 및 생태유아교육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21.7%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생태실천행동, 생태유아교육효과 및 교사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30.9%였다. 마지막으로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효과는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생태실천행동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ve an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were used by medium. For this study, 274 kindergarten teachers living in Daegu and Gyeungbook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 of survey was analyzed. The first, as the results indicated,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affecte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ly, explaining 19.2% of the variance. The second, the eco-life behaviors, career an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ffected the teacher efficacy positively, explaining 21.7% of the variance. The third, the eco-life behaviors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an teachers' job satisfaction, explaining 30.9% of the variance. And finally,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Overall, the eco-life behavior had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had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연수와 생태유아교육 실시 경험 및 생태감수성이 생태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ers'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ife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ec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raining and implement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so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ideal models for eco-life behavior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a background questionnaire and th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ife behaviors' scales, and differences, relationships, and explanatory power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implement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high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ife behaviors. Second, the higher the ecological se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eco-life behaviors. Third,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mplementation experience, and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ecological sensibility were all significant. Therefore,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Nuri curriculum, which takes the cultivation of an ecological worldview that respects and love people and nature as its main compositional focus, promoting the eco-life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key.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execution 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연수 및 생태유아교육 실시 경험 유무에 따라 교사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실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탐색하여 유아교사가 생태실천행동의 바람직한 모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교사 경험 설문지와 ‘생태감수성’ 및 ‘생태실천행동’ 척도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 프로그램으로 차이와 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연수와 생태유아교육 실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생태감수성과 생태실천행동이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생태감수성이 높을수록 생태실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태실천행동에 대한 생태유아교육연수 및 생태유아교육 실시 경험, 생태감수성의 상대적 설명력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생태주의적 세계관의 함양을 주요 구성방향으로 삼고 있는 누리과정의 목적성을 고려할 때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증진은 핵심 과제이며, 이를 위해 교사의 생태실천행동과 생태유아교육 실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태유아교육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육기관과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의 체격 및 체력 비교 연구

        김은주,김솔미,임재택,하정연,백영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children's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comparing children in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with and the General Childhood Education Center. Such a comparison can be helpful in setting up recommendations based on children's body conditions follow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For this study, GAIA KIKO and Helmas Ⅲ are applied to measure the physique(height, weight, body fat rate, and amount of body fat) and physical fitness(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reflexes, agility, balance, and flexibility) of 71 children(5 years old) in both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nd the General Childhood Education Cen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these facilities exhibited no differences between height and weigh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body fat rate and amount of fat. The amount of body fat and body fat rate are higher at the General Childhood Education Center than at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Furthermor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agility are higher at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Balance and flexibility, however,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의 체격 및 체력을 비교해봄으로써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건강 상태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생태유아교육기관과 일반유아교육기관의 만5세반 유아 71명을 대상으로 GAIA KIKO와 Helmas Ⅲ를 활용하여 체격(신장,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및 체력(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들의 신장 및 체중은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생태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보다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은 생태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평형성과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임재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8 생태유아교육연구 Vol.7 No.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oughly examine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has developed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First of all,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was examined to divide into three parts such as books, articles, and other kinds of research materials from 1970 up to recently, and the result showed extreme insignificance 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which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few researchers as well as researche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tudying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research from the aspect of history of national education, develop the materials for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ate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rain the specialized researchers. Finally,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nvestigated on the meaning, realization, research state, and task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1990년대 초 한국에서 태동한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은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저서, 논문 및 기타 관련 연구물 등 3부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양적․질적 수준에서 극히 미진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유아교육학계에서 유아교육사 연구 분야는 물론 전공 연구자도 거의 없는 실정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과제는 유아교육사 연구에 대한 인식 전환, 민족교육사적 관점에서의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한국유아교육사 교재 개발, 유아교육사 연구의 활성화 및 전문 연구인력 양성 등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부분은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생태유아교육학의 성립과 연구 현황 및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이소영,임재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ublic Kindergartens attached to Public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455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Seoul, Incheon,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 -do, Jeolla-do, Gyeongsang-do, and Jeju-do.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version 12.0.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f philosophy and curriculum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ame out to be 3.92 on average. The score for the philosophy was 3.76, and the score for the understandings of curriculum was 3.98. Teachers' perception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varied by the region, the teachers' age, and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Second, the result of the teachers' degrees of practices in fostering environment, administration, and program came out to be 3.30 on average. The score for the degrees of practices of the environments was 3.39, the score for the degrees of practices of the administration was 3.35, and the score for the degrees of practices of the program was 3.32. Teachers' perception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varied by the region, the teachers' age, and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교사들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 현황을 알아봄으로써, 생태중심의 세계관에 근거한 현시대적 요청과 생태유아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그리고 제주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사상과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생태유아교육사상에서는 아동관에 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을 제외한 지역, 연령, 교직경력, 연수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의 실천 정도는 생태유아교육 환경 실천, 생태유아교육의 운영실제 실천, 그리고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이 순으로 나타났다. 실천정도의 차이는 연령에서만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

        ‘예술’로서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이화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currently leading discussions on the artistic value of teaching and investigate its possibility as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Discussions on teaching as art originated from the criticism of the modern scientist view of teaching as a science. It is being developed actively in the trend of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with the emergence of postmodern discourse and constructionism as background. Eisner proposed a new curriculum model that views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s of art by criticizing Tyler's scientific curriculum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goals are not set in advance but revealed upon completion of teaching. In this way, Eisner criticizes the scientific curriculum model as a unilinear goal-means model, proposing instead a circular mode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In addition, he proposes educational evaluation in a new assessment format that reflect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xperiences. Accordingly, Eisner's artistic model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eaching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of the role of teacher. Moreover,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appears to be a viable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play-centered and interest-centered activities. 본 연구는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의 주요개념을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함의를 살펴보고, 예술로서의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현적 결과, 교육적 감식안과 비평, 우연한 조우로서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이끈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을 살펴보고,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적 결과를 유아교육과정 안에 끌어들이기’와 ‘교육적 감식안과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 되기’를 제안하였다. 이처럼 예술의 속성에 비추어 교육과정을 바라본 아이즈너의 모형은 단순히 교육목표 설정방식이나 수업방법에서의 기술적 변화가 아니라, 교육활동구성 및 평가, 교사의 역할 등 수업의 본질이나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놀이중심, 흥미중심의 활동이 주요원리로 포함되어 있고, 이미 계획화된 수업 계획안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유아의 흥미중심에 근거한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는 유아교육과정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은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대안적 담론으로의 가능성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