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 영서지역 한우 공동브랜드 도입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2

        농축산업을 둘러싼 국내외적 여건이 급격하게 변화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영농규모가 영세한 우리나라 한우농가가 살아남기 위한 길은 개방화 시대에 적합한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한우농가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은 물론 비가격적인 경쟁력, 즉 품질 및 안전성의 측면에서 동시에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생산비절감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는 한편, 품질 및 안전성 등에서도 차별화 하는 것이 브랜드 사업이다. 한우를 공동브랜드화 한다는 것은 한우의 공식상품화를 의미하는데, 이의 성공 여부는 향후 우리나라 한우산업의 생존에 직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 영서지역에서 일찍부터 브랜드에 주목하여 공동브랜드를 도입하고 있는 하이록, 늘푸름 홍천한우, 횡성한우, 치악산한우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주요 브랜드 현황 및 경영개황 등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 및 고객확보를 위한 브랜드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및 인지도 조사에서 강원 영서지역 연합브랜드인 하이록이 단일지역 브랜드인 횡성한우는 물론 늘푸름 홍천한우에도 못미치는 인지도와 신뢰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강원 영서지역에 있어서는 아주 가까이 인접하고 있음에도 각기 경쟁적 차별화를 꾀하고 있어, 브랜드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및 관리적 측면에서 한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의 표현 이미지 유형 및 조형적 분석을 종합해 보면 우월적 브랜드 지위를 누리고 있는 횡성한우의 경우 자연자원을 활용한 캘리그래피한 브랜드로고와 적색의 강렬함으로 차별화를 확고히 하고 있으나 기타 브랜드에서는 경쟁적 우위를 확실히 점할 수 있는 브랜드 간 차별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발전 방안 측면에서 공동브랜드를 부착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시장점유율의 확대가 어렵다고 볼 때, 조직의 형태와 관계없이 추진실적에 따라 적합한 규모의 관리운영조직을 설립하거나 혹은 기존 주체 중에서 마케팅을 주도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주체를 중심으로 공생적 마케팅의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강원 영서지역에서 높은 인지도 및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 횡성한우의 브랜드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어, 횡성한우를 중심축으로 한 연합공동브랜드 도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Korean cattle farms should be competitive enough to survive the rapidly changing glocal markets. The competitiveness includes not only improved productivity but also non-price competitiveness such as quality and safety of the beef. Beef branding is a project that makes efforts on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s and the differentiation of product in quality and safety. Cooperative beef branding represents the public merchandising of Korean beef,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at is directly linked with Korean cattle industr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scheme of regional beef brands for improving consumer's reliability and drawing customers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and the management situation of 4 regional beef brands introduced earlier in the western cities and counties of Kangwon. The followings were found in this study. First, in brand reliability and recognition level, HiLok, the cooperative brand of the 5 western cities and counties of Kangwon, falls behind Hoeongseong Hanu of Hoeongseong county and Neulpureum of Hongcheon county. Second, the neighbouring cities and counties contrive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which hinders the effective conducting and managing of beef branding project. Third, in image expression and shape of brand, Hoeongseong Hanu which is superior to all other brands differentiates positively by getting the best out of calligraphic logo and red color. In conclusion, in development scheme, simply joining the cooperative beef branding project does not guarantee the increase of market share. Establishment of new management divisions based on performance or development of symbiotic marketing strategy built around the main brand body could be examined as important tasks. The brand Hoeongseong Hanu has a chance of success. Therefor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 cooperative beef brand introduction to the western parts of Kangwon with Hoeongseong Hanu as the leading figure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경상북도 광역브랜드 ‘참품한우’의 시장진입전략 사례연구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전략을 중심으로

        박종무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3

        ‘참품한우’는 농림부가 추진한 지역농업클러스터 정책사업의 재정지원을 받아 경상북도의 20개 시·군의 한우 사육농가와 관계기관, 그리고 대학이 경북한우클러스터사업단을 설립하여, 이 사업단에서 생산·판매하는 경북지역의 대표한우를 지향하는 브랜드이다. 본 사례연구는 초기 시장진입 단계에서 참품한우가 전개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과 실행과정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시장진입 당시의 우리나라 한우시장의 내·외적인 환경여건을 살펴보고, 지역농업클러스터와 참품한우의 생산과 판매 및 운영관리를 총괄하는 경북한우클러스터사업단을 기술하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참품한우의 마케팅전략을 분석하였다. 참품한우는‘고품질의 안전한 쇠고기’를 표방하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품한우를 지향하고 있다. 그리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면서 명품한우로서의 차별적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목표를 두고 실행하였다. 마케팅전략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참품한우가 실행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내용을 분석하였고, 전략을 실행하는 동안 참품한우가 직면한 문제점과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상의 과제를 특히 광고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제안하였다. ‘Charm Poom Hanwoo' is a Korean-produced beef that was created by 'Gyeungbuk Hanwoo Cluster' which was supported by Ministry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Gyeungbuk-do and a local university initiated hanwoo's development and promotion in order to protect hanwoo industry from imported beefs and also to increase farmers' incom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ve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of 'Charm Poom Hanwoo' and its implication of market penetration during the introduction stage. The study includes (1) Korean hanwoo market's environment in the early 2000, (2) 'Regional Agriculture Cluster' and 'Gyeungbuk Hanwoo Cluster' which initiated and managed Charm Poom Hanwoo's production and marketing, and (3) Charm Poom Hanwoo's marketing strategy emphasizing in communication strategy. 'Charm Poom Hanwoo' advertised its high quality and safety trying to become a prestige brand of beef. Main goal of this communication strategy is to increase Chanrm Poom Hanwoo's brand recognition as well as differentiate its image as a leading prestige hanwoo. The study also describes different advertising strategies using various media. Conclusion first analyzes Charm Poom Hanwoo's market strategy problems then suggests new communication method, especially advertising, to solve the problems.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청보리 사일리지 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E 급여 및 급여기간이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비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김종규 ( Jong Kyu Kim ),손용석 ( Yong Suk Sohn ),최창원 ( Chang Won Choi ),정준 ( Jun Jeong ),송만강 ( Man Kang Song ),장선식 ( Sun Sik Jang ),김광림 ( Gung Lin Kim ),진위적 ( Wei Ze Qi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는 주요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와 청호밀을 이용한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사료비, 그리고 도체특성과 등급판정 및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한우 거세우 송아지 80두를 대상으로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총 68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분리 급여하는 관행사양구(Control),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BS-TMR I),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BS-TMR I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RS-TMR 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RS- TMR II)로 구성하였다. 각 처리 당 거세된 송아지 16두 씩을 배치하였고, 처리 당 거세한우 송아지를 4두씩 4개의 pen에 수용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 방법으로 각 처리구의 pen을 배치하였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량은 관행사양구에 비해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서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비육 중기에서 현저히 높았으나(P<0.0001) 비육 후기에서는 RS-TMR II를 제외하고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 비해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서 다소 낮았다. 또한 비육 후기까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BS-TMR II 및 RS-TMR II)에 비하여 비육 중기까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료를 섭취한 처리구(BS- TMR I 및 RS-TMR I)에서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가 다소 감소되었다. 사일리지 TMR이 관행사료 급여에 비해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 등지방 두께 및 배최장근 면적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육량지수를 낮추었다(P<0.047). 다른 시험사료에 비해 청보리 사일리지 TMR이 근내지방도를 다소 낮추었으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한우 거세우 내 배최장근의 화학적 성분, 도체특성, 대부분의 육질 특성, 육색 및 지방산 조성은 시험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전단력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 비해 관행사양 방법으로 비육된 한우에서 낮았으나(P<0.046)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배합사료와 볏짚 중심의 관행사양방법에 비하여 BS 또는 RS를 이용한 TMR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크게 영향하지 않은 반면 증체를 개선하고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의 사료적 가치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80 Hanwoo steers(7.5 months of age, 204.4kg body weight) for 680 days from growing period to late fattening period to examine the feeding value of whole crop barley silage TMR(BS-TMR)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RS-TMR) on body gain, feed cost, slaughter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dorsi muscle. Dietary treatments were conventional separate feeding of concentrate and rice straw(control), feeding BS TMR up to middle fattening period and same diet as for control during late fattening period(BS-TMR I), feeding BS-TMR for whole experimental period(BS-TMR II), feeding RS TMR up to middle fattening period and same diet as for control during late fattening period (RS-TMR I) and RS TMR for whole experimental period(RS-TMR II). Sixteen castrated calves were assigned to each treatment (4 pens, 4 heads per pen). Pens in each treatment were randomly distributed. Feeding both BS silage TMR and RS silage TMR slightly increased body gain of Hanwoo steers at the stages of growing and early fattening, and increased(P<0.0001) at middle fattening compared to feeding control diet while control diet tended to increase body gain at late fattening stage compared to feeding BS-TMR I, BS-TMR II and RS-TMR I diets. Total body gain was slightly increased in Hanwoo steers fed both I and II for BS and RS TMR compared to that in control diet. Feed cost per kg gain per head was relatively low in the Hanwoo steers fed silage TMRs to that fed control diet. Carcass weight, back fat thickness and longissimus dorsi area of Hanwoo steers tended to increase but lowered(P<0.047) yield index by feeding silage TMRs. Feeding BS TMR slightly decreased marbling score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umber of head over grade 1 between diets. Control diet tended to improve yield grade compared to silage TMRs. Chemical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drip loss, cooking loss and pH, colo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were not 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and feeding duration of silage TMRs. Shear force, however, was increased(P<0.046) by silage TMRs without difference between them compared to control di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BS TMR and RS TMR could improve body gain and reduce feed cost without deteriorating meat quality compared to separate feeding of concentrate and rice straw. Overall feeding value was similar between BS TMR and RS TMR.

      • 장기공태 한우의 배란동기화법에 의한 수태율

        김의형,강희성,손동수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1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1 No.1

        최근 사료 값의 상승과 한우 값의 하락으로 한우 사육농가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 며, 한우 번식농가에서는 공태기간과 수태당 수정횟수의 증가 등에 의한 사육비용 증가 가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우 번식농가에서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와 3회 이상 인공수정하여도 임신되지 않은 저수태우의 생식기 상 태를 점검한 후 조기임신을 위해 배란동기화법인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장기공태 한우 52두의 수정기록 및 분만기록을 확인 후 생식 기의 상태를 검사하였다. 자궁 및 난소 등을 검사한 결과 자궁 상태는 모두 정상이었으 나 1두는 허약(BCS 2.0)과 난소기능 휴지로 시험축에서 제외하였다. 장기공태우 51두 중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는 13두로 평균 수정횟수 3.6회, 평균 공태일 123.8일, 평 균 산차 4.2회였으며,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장기공태우 38두의 평균 수정횟수 는 1.8회, 평균 공태일 115.9일, 평균 산차 3.3회였다.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 6두 에 Ovysynch를 처리하였고, 나머지 7두에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 38두는 19두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Ovysynch와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Ovysynch 처리는 발정주기 임의의 시기인 Day 0에 gonadorelin (Gonadon, Dongbang, Korea) 100 μg를 근육주사하였고, Day 7에 dinoprost(LutalyseTM, Pharmacia, Belgium) 25 mg을 근육주사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 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결정액 1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CIDR- based TAI 처리는 Day 0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와 CIDRⓇ(InterAg, New Zealand)를 질내에 삽입하였고, Day 7에 CIDR를 제거하고 dinoprost 25 m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 결정액 1 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수정 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에서 수태율 은 Ovysynch 처리가 50%, CIDR-based TAI 처리가 57.1%였다.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에서 수태율은 Ovysynch 처리가 63.1%, CIDR-based TAI 처리가 68.4%였다. 본 실험에서 장기공태우의 생식기 검사결과 52두 중 51두에서 정상적인 자궁과 난소상태 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장기공태 한우의 대부분이 미약발정, 발정관찰 미흡 및 배란지연 등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었다. 장기공태 한우 51두에 두 종류의 배란동기화법을 처리 한 결과 32두 임신으로 62.7%의 수태율을 나타내어 배란동기화법을 장기공태우에 적용 할 경우 양호한 수태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장기공 태우에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처리 비용측면에 있어서 Ovysynch 처리에 의한 배란동기화법이 효율적인 것 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경북지역 거세 한우의 출하 체중에 따른 도체특성과 부분육 생산수율

        김진형,Hoa Van Ba,성필남,김윤석,강선문,조수현,문성실,강세주,박범영,서현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경북지역 거세 한우의 출하체중에 따른 도체 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을 조사하여 고기의 생 산성을 도체로부터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북지역 거세 한우 51두를 도착체중 700kg미만, 701~750kg, 751~800kg, 801~850kg, 850kg초과 5그룹으로 나누어 가공단계별 중량변화, 도체규격, 대분할 부위 생산량 및 수율, 소분할 부위 생산량 및 수율, 부산물 생산량 및 수율을 조사하였다. 가공 단계별 중량변화는 한우의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체중, 냉도체중, 대분할육, 소분할육, 뼈량, 지방량이 증가하였다. 도체규격은 한우의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장, 전사분체장, 흉장, 경폭, 흉 폭, 퇴폭, 흉위, 퇴위, 흉후가 증가하였다. 부산물 생산량은 한우의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머리, 앞 족, 뒷족, 가죽, 간, 소장, 배지방, 생식기, 신장, 기타지방량이 증가하였다. 도체부산물은 한우의 출하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사골, 꼬리반골, 도가니, 마구리, 잡뼈, 갈비뼈량이 증가하였다. Total number of 51 Hanwoo steers were purchased from Gyeongbuk province farms based on the different market weight in which ranged loss than 700 kg, 701~750 kg, 751~800 kg, 801~850 kg, excess 850 kg. After slaughtering, they were evaluated to estimate the productivity of carcass components by market weight, and to predict the beef cascass yield. As market weight of Hanwoo increased, the hot carcass weight, cold carcass weight, primal cuts lean meat weight, sub- primal cuts lean meat weight, bone weight, fat weight tended to increase. As market weight of Hanwoo increased, Side length, Forequarter length, Thoracic Vertebrae length, 7th Cervical Vertebrae carcass breadth, 5~6th Thoracic Vertebrae breadth, 5th Sacral Vertebrae breadth, 7~8th Thoracic Vertebrae girth, Coxae thick, 7~8th Thoracic Vertebrae thick tended to increase. As by-product weight of Hanwoo increase, the head, fore feet, hind feet, skin, liver, small intestine, abdominal fat, pizzle, kidney, other fat tended to increase. As carcass by-product weight of Hanwoo increase, the beef bone leg bones, oxtail, beef knees, rib cartilage, mixed bone, rib tended to increase.

      •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의 채란 성적과 이식가능 수정란 비율과의 비교 결과

        염규태,고응규,김남태,박미숙,박해금,박수봉,김성우,김현,김동훈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6 No.2

        수정란 이식기술은 가축의 효율적인 증대와 조기번식에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단 기간에 다량의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다. 수정란 이식기술은 한우의 개량 및 육종과 희소한 우의 조기증식 및 유전자 다양성 확보, 유전자 보존 등의 목적에 접근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한우와 희소한우간의 비외과적 채란 성적과 이식 가 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일반한우 13두, 희소한우 11두를 공시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4일간 FSH (Antorin) 28AU를 12시간 간격으로 점감 주사하였다. FSH(Antorin)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고, PGF2α(Lutalyse) 3 ml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 (Lutalyse) 주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에서 회수 된 수정란 총 개수는 각각 87개, 77개로 그 중 이식 가능 한 수정란 수는 51개, 53개였다. 평균 회수란 수는 각각 6.69±1.54개, 7.00±1.13개로 차이 가 없었으며, 평균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3.92±1.11개, 4.82±1.09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이 같은 결과들로부터, 일반한우와 희소한우 간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간의 비율의 차이는 소의 종 특이적인 차이보다 같은 종 내의 개체 차이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의 채란 성적과 이식가능 수정란 비율과의 비교 결과

        염규태,고응규,김남태,박미숙,박해금,박수봉,김성우,김현,김동훈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36 No.2s

        수정란 이식기술은 가축의 효율적인 증대와 조기번식에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단 기간에 다량의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다. 수정란 이식기술은 한우의 개량 및 육종과 희소한 우의 조기증식 및 유전자 다양성 확보, 유전자 보존 등의 목적에 접근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한우와 희소한우간의 비외과적 채란 성적과 이식 가 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일반한우 13두, 희소한우 11두를 공시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4일간 FSH (Antorin) 28AU를 12시간 간격으로 점감 주사하였다. FSH(Antorin)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고, PGF2α(Lutalyse) 3 ml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 (Lutalyse) 주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에서 회수 된 수정란 총 개수는 각각 87개, 77개로 그 중 이식 가능 한 수정란 수는 51개, 53개였다. 평균 회수란 수는 각각 6.69±1.54개, 7.00±1.13개로 차이 가 없었으며, 평균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3.92±1.11개, 4.82±1.09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이 같은 결과들로부터, 일반한우와 희소한우 간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간의 비율의 차이는 소의 종 특이적인 차이보다 같은 종 내의 개체 차이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Rsb 분석법을 활용한 칡소의 선발신호 탐색 연구

        임다정,이승환,최봉환,손주환,조용민,채한화,김태헌,강희설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4

        Korean cattle (Hanwoo)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breeds according to their color,namely brown, brindle and black. Among the three breeds, Chikso (brindle Hanwoo) have beenmaintained at very low population sizes in South Korea and have unique brindle patterns. Inthis study, Rsb method was applied to identify genomic regions of artificial selection for traitsin Chikso. To identify traces driven by the artificial selection process, we scanned the genomeof set of brown and brindle Hanwoo using 50K SNP Chip. As a result, we identified 37 highlyhomozygous regions that seem to be very strong and/or recent selections in Chikso compared to the brown Hanwoo from Rsb analysis. Among these regions, BTA11:100-102.5 Mb is thestrongest selection signal having 17 significant SNPs. To go furth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observed signatures of selection, we subsequently performe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using207 candidate genes. As a result, candidate genes have enriched GO or KEGG pathway termssuch as unsaturated fatty acids metabolic process(e.g., PTGES2 and ANGPTL2) or immunesystem (e.g., Fc gamma R-mediated phagocytosis). They have important roles in thedomestication process of livestock. We also detected the common signature (BTA1:2 – 2.5 Mb)of selection between Chikso and brown Hanwoo. SYNJ1 gene residing within the region isassociated with the horn development as candidate gene.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Chiksoand brown Hanwoo have a common genetic characteristic as Hanwoo breed duringdomestication. However, only one selection signature means that they seem to be processed in adifferent way during domestication. Chikso may has a founder effect as very low populationfrom the results of heterozygosity and fixed SNPs calculation. From the results, this analysisalso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candidate genes as having a strong signal of artificial selectionin Chikso.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칡소는 한우의 원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제주흑우와 비슷하게국내 희소품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sb 분석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 영역을탐색하였다. 그 결과, 37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한우와 비교하였을 때 칡소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수 있었다.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불포화지방산 대사 과정, 면역 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칡소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칡소만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가지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황갈색 한우의 선발신호와 칡소의 선발신호를 비교한 결과, 염색체 1번 2-2.5Mb 영역이 진화적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선발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의 유전자를 살펴본 결과, 각 발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우라는 공통적 특성을 가지며 진화적으로 유지, 보존하고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칡소와 황갈색 한우가가지는 선발신호는 거의 대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Rsb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집단 내 고정된 단일염기서열변이 및 이형접합율을 비교한 결과 소수 집단에서 가지고 있는 유전적 변이 감소, 유전적 흐름의 급격한 변화 등의 유전적 특성이 칡소 집단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칡소의 선발신호 분석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칡소를 비롯한 국내 한우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국내 한우 집단 차이의 정확한 원인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3차원 영상으로부터 결정된 체적을 이용한 한우의 체중 추정

        장동화 ( Dong Hwa Jang ),김철수 ( Chulsoo Kim ),김용현 ( Yong Hyeo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한우의 체중은 발육단계별 적정 사양관리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종래의 체중계를 이용하여 한우의 체중을 측정할 때 작업자의 노력 과다 및 부상 위험, 체중계의 관리 미흡에 따른 측정 오차 발생, 한우 스트레스 부담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영상으로부터 한우의 몸통 체적을 추출하고, 체중을 추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ToF 카메라(StarForm Swift, Odos Imaging, Scotland)와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였다. 전북 정읍시 관내 농장에서 샘플링 된 한우 146두를 대상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에서 화소단위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을 분리한 후 k-nearest neighbor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였다. 전처리된 한우의 점구름데이터(point cloud data, PCD)를 체적 계산이 가능하도록 들로네 삼각분할(Delaunay triangulation) 기반의 선형 보간법을 통해 점의 집합 형태에서 격자 모양의 데이터로 변환시켰다. 체적을 추정할 때 꼬리의 움직임과 위치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자 한우 정면을 기준으로 앞다리의 끝 지점과 뒷다리의 시작 지점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몸통 체적으로 정의하였다. 몸통 체적에 해당하는 PCD가 카메라의 화각 때문에 좌우 경계에서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체적이 다르게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좌우 경계에서의 높이를 기준으로 몸통 체적을 volume1과 volume2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체중 추정을 위해 각각의 몸통 체적과 체중 사이의 단순회귀분석을 적용하였고, 추정된 체중과 실제 체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calibration dataset과 validation dataset은 각각 전체 데이터의 70%, 30%로 설정하였다. Volume1과 volume2로서 체중을 추정한 결과 오차 평균은 각각 6.7%, 15.6%이었다. 오차는 주로 체중계의 프레임에 몸을 기대고 있는 한우의 영상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한우의 체중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3차원 영상정보로부터 계산된 체적을 이용하여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 획득이 필요이다. 또한, 3차원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측정되는 한우의 몸통이 체중계의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기존의 제원보다 더 큰 체중계의 제작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우의 성별에 따른 도체특성과 부분육 생산수율 조사

        서현우,김윤석,강선문,설국환,성필남,문성실,김진형,조수현,Hoa Van Ba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한우의 성별에 따른 도체 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을 조사하여 도체로부터 고기의 생산수율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180두(암소 80두, 수소 29두 및 거세우 71두)를 도축한 다음 가공단계별 중량변화, 도체규격, 대분할 부위 생산량 및 수율, 소분할 부위 생산량 및 수율, 부산물 생산량 및 수율을 조사하였다. 한우의 절식체중은 안소 634 kg, 수소 721 kg, 거세우 754 kg이었으며, 가공단계 별 중량변화는 냉도체중 381.01~467.60 kg, 대분할육 240.79~310.36 kg, 소분할육 208.27~276.47 kg, 뼈 57.23~76.28 kg, 지방 89.19~138.97 kg을 나타내었다. 한우 도체규격은 거세우에서 전장, 후 사분체장, 경장, 요장, 선장, 퇴장, 흉폭, 요폭, 퇴폭, 흉위 및 흉후가 가장 길었다(p<0.05). 도체중량은 생체중의 성별에 영향을 받았으며, 정육율, 지방율 및 뼈수율은 성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대분할 정육율은 수소가 등심,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양지, 사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p<0.05). 도체부산물 수율에서 거세우는 가장 낮은 꼬리반골 및 갈비뼈 생산 수율을 나타내었고 (p<0.05), 암소의 사골 및 잡뼈 생산수율이 가장 낮았다(p<0.05). 도체규격과 부분육 생산수율 조사는 도체특성에 따라 부분육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he primal cut yields from carcasses according to the sex of Hanwoo. Experimental animals comprised 80 cows, 29 bulls, and 71 steers. After slaughtering, they were evaluated to estimate the productivity of carcass components by market weight, and to predict the beef carcass yield. The average of fasting weight of cow, bull and steer were 634.75 kg, 721.86 kg, and 754.10 kg respectively. Market weight of Hanwoo at cold carcass weight, primal lean cut weight, sub-primal lean cut weight, bone weight and fat weight were 381.01~467.60 kg, 240.79~310.36 kg, 208.27~276.47 kg, 57.23~76.28 kg and 89.19~138.97 kg respectively. Body measurement traits had side length, hindquarter length, cervical vertebrae length, lumbar vertebrae length, sacral vertebrae length, 6th lumbar vertebrae~heel length, 5~6th thoracic vertebrae breadth, 4~5th lumbar vertebrae breadth, 5th sacral vertebrae breadth, 7~8th thoracic vertebrae girth and 7~8th thoracic vertebrae thick were highest length in steer. Carcass weight (CW) were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sex and live weight. The lean meat percentage, fat percentage and bone percentage based on the weight of cold carcas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sex groups. The primal cuts rate for deungsim, moksim, abdari, udun, suldo, yangjee and satae were higher in bulls than those of the caws and steers. The carcass by-product weight rate in steer had lower oxtail and rib cartilage than cow and bull, while cow showed lower beef leg bones and jappyeo than bull steer (p<0.05). Body measurement traits was always important for primal cut weight estim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