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전 및 육종 :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한 국내 토종 닭의 깃털 조만성 양상과 유전자형 빈도
손시환 ( Sea Hwan Sohn ),박단비 ( Dhan Bee Park ),송혜란 ( Hae Ran Song ),조은정 ( Eun Jung Cho ),강보석 ( Bo-seok Kang ),서옥석 ( Ok Suk Suh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4
초생추의 성 감별은 양계산업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 대표적인 병아리의 암수 감별 방법은 우모 발생속도에 관여하는 반성유전자를 이용하여 깃털의 형태적 차이로 성을 식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성감별 토종 닭 종계 개발을 위하여 국내 보유하고 있는 토종 순계를 대상으로 깃털 조만성의 분포 양상 및 이의 유전자형 빈도를 분석하고 더불어 병아리의 깃털 발생 양상에 따른 조우성과 만우성의 식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생 직후 병아리의 주부익우 형태에 따른 조만우성의 식별은 조우성의 경우 주익우가 부익우보다 현저히 길어 형태적 차이가 뚜렷하나, 만우성은 주부익우 간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꼬리 깃 형태에 따른 조만성의 식별은 5일령 이후 조우성의 경우 꼬리 깃의 성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반면 만우성의 경우 이러한 성장이 보이지 않았다. 두 방법 공히 깃털 형태에 따른 조만우성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주부익우 형태와 꼬리 깃 성장에 의한 식별 간의 판정 일치도는 98% 정도로서 발생 직후 주부익우의 형태적 차이로 거의 모든 개체에서 조만우성의 식별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공시된 품종들의 조만우성 분포 양상 및 유전자형 빈도는 토종 외래계인 흑색 코니시종, 로드아일랜드레드종 및 한국재래닭 적갈색종에서만 조우성과 만우성 개체가 혼재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모두 열성 조만성 유전자 빈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국내 토종 순계로서 갈색 코니시종, 오골계, 한국재래닭 황갈색종, 회갈색종, 백색종, 흑색종 및 백색레그혼종들은 모두 조우성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토종 품종을 이용하여 병아리의 깃털 성 감별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만우성 모 계통과 조우성 부 계통을 조성한다면 생산되는 병아리의 깃털 형태로서 쉽게 암수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ethod of sexing based on differences in the rate of feather growth provides a convenient and inexpensive approach. The locus of feather development gene(K) is located on the Z chromosome and can be utilized to produce phenotypes that distinguish between the sexes of chicks at hatching. To establish the auto-sexing native chicken strains, this study analyzed the genotype frequency of the feathering in domestic chicken breeds.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slow- and rapid-feathering chickens was also investigated. In the slow-feathering chicks, the coverts were either the same length or longer than the primary wing feathers at hatching. However, the rapid-feathering chicks had the primary wing feathers that were longer than the coverts. The growth pattern of tail feather also distinctively differed between the rapid- and slow-feathering chicks after 5-days. The accuracy of wing feather sexing was about 98% compared with tail sexing. In domestic chicken breeds, Korean Black Cornish, Korean Rhode Island Red, and Korean Native Chicken-Red had both dominant(K) and recessive(k+) feathering genes. The other breeds of chickens, Korean Brown Cornish, Ogol, White Leghorn, Korean Native Chicken-Yellow, -Gray, -White and -Black had only the recessive feathering gene(k+). Consequently, feather sexing is available using the domestic chicken breeds. Establishing the maternal stock with dominant gene(K-) and paternal stock with recessive gene (k+k+), the slow-feathering characteristic is passed from mothers to their sons, and the rapid-feathering characteristic is inherited by daughters from their fathers.
단위가축영양 : 모돈에 대한 생강 및 황금 분말 급여가 초유와 혈청의 항산화력과 IgG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상범 ( Sang Bum Kim ),김인철 ( In Cheul Kim ),송영민 ( Young Min Song ),이성대 ( Sung Dae Lee ),정현정 ( Hyun Jung Jung ),박준철 ( Jun Cheol Park ),조성백 ( Sung Back Cho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0 한국축산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에서는 생강과 황금 건조 분말의 급여가 모돈의 유질과 자돈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2산차 F1 임신모돈 24두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CON) 사료에 생강건조분말(GDP)과 황금건조분말(SDP)를 0.3 % 대체하여 분만 전 30일부터 이유 21일까지 시험사료를 급여하였다. 모돈 혈청에서 항산화력과 IgG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유에서 항산화력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유의 IgG 함량은 GDP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초유의 유성분 함량에서, 단백질 함량은 GDP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하였다 (P<0.05) 지방과 유당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유의 아미노산 조성은 SDP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각각의 아미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0일령과 21일령에서 자돈 혈청의 항산화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다른 구에 비해 GDP구가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IgG 함량은 0일령에서는 측정되지 않았고, 21일령에서는 GDP구가 다른 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생강 건조분말은 초유의 IgG 함량과 자돈 혈청 IgG 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어 모돈 사료의 유질개선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inger and Scutellaria on antioxidant capacity and IgG concentration in plasma and colostrum of sows. Twenty-four sows (Landrace x Yorkshire) in parity 2 were assigned to 3 treatment groups (8 sows per treatment) from 30 day before farrowing up to weaning on day 21 after farrowing.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I) CON (Basal diet), 2) GOP (0.3% ginger dry powder was used as the replacement of wheat in basal diet) and 3) SOP (0.3% Scutellaria dry powder was used as the replacement of wheat in basal die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antioxidant capacity and IgG concentration in plasma of sows among all the three treatments. Antioxidant capacity in colostrum was not affected by replacement of ginger and Scutellaria dry powder. IgG and protein concentration in colostru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OP than that in CON and SOP. However, fat and lactose concentration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The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in colostru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OP than that in CON and SOP. Plasma antioxidant capacity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in piglet on 0 day and 21 day, but tended to increase by supplementation of ginger. On o day, plasma IgG in piglet was not detected by replacement of ginger and Scutellaria dry powder. However, plasma IgG concentration in piglets on 21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OP than that in CON and SO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ostrum IgG concentration in sows and plasma IgG concentration in piglets were improved by feeding ginger dry powder 30 days before farrowing in comparison to basal diet.
축산물 및 가공 : 물 및 에탄올 추출을 통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저장 중 가열 돈육패티의 툼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일석 ( Il Suk Kim ),양미라 ( Mi Ra Yang ),진상근 ( Sang Keun Jin ),박재홍 ( Jae Hong Park ),추교문 ( Gyo Moon Chu ),김재영 ( Jae Young Kim ),감석남 ( Suk Nam Ka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ed with water extract(WE) and 50% ethanol extract(EE) from white ginseng on cooked meat patties during storag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xtracts were examined (0.25%, 0.5%, and 1.%, respectively, dry base w/w). A significantly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WHC) was observed in samples supplemented with ≥0.5% WE(p<0.01); however, E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WHC of meat patties. Samples supplemented with ≥0.5% WE or E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dness(a*-value) compared to the control(p<0.01). The total plate counts(TPC) and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of all treated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atile basic nitrogen(VBN) values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between the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ginseng extract improves color and inhibits lipid oxidation and bacterial population at doses >0.25%, prolonging the shelf-life of meat products and acting as a natural colorant.
국립축산과학원 신기술 정보 : 국내,외 가축유전자원 수집,보존과 확대를 위한 기반 구축(가축자원 종자주권 확보 및 복원 기반 조성)
최성복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4 축산기술과 산업 Vol.5 No.1
국가적으로 중요한 우리 고유 재래가축인 칡소, 재래염소, 재래닭 등 20계통 34,500두(수)를 보존,관리하고 이들에 대한 정액, 수정란 등 13천개를 동결보존함으로써 악성질병 발생 등 유사시에 종 복원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였고, 국제협력사업을 주관하여 해외자원 확보 기반 구축 및 국제위상을 제고하였다.
영문지(JAST)게재논문 : 배합사료의 가공형태가 거세한우의 비육성적,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일 ( Sung Il Kim ),서보천 ( Bo Cheon Seo ),장인석 ( In Surk Jang ),김욱 ( Ouk Kim ),최창본 ( Chang Bon Choi ),정근기 ( Keun Ki Ju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4 축산기술과 산업 Vol.5 No.2
본 연구는 배합사료 가공형태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성적,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5.1 ± 0.8개월령(평균 체중 147.05 ± 10.85 kg)의 거세한우 42두를 FC구(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후레이크 배합사료 급여구, 18두)와 GC구(육성기, 비육전기 가루 배합사료, 비육후기 후레이크 배합사료 급여구, 24두)로 나누어 평균 30.0 ± 0.8개월령까지 총 758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육성기와 비육전기의 일당증체량은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고, 비육후기의 일당증체량은 GC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 비육기간의 종료 시 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GC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도체특성은 냉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으며, 등심단면적은 GC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 및 육질등급 1++ 등급 출현율은 GC구에서 각각 18.4, 48.0% 더 높게 나타났으며, 도체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은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총 수입에서 경영비를 제외한 두당 수익은 FC구와 GC구 각각 1,034,343, 1,647,512원으로 나타나, GC구에서 59.3% 증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한사료급여를 실시하는 육성기와 비육전기에는 가루형태의 배합사료를 급여하고, 사료섭취량이 증가되는 비육후기에는 후레이크 형태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일당증체량, 육질등급출현율 및 경제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