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사에너지가에 따른 재래흑돼지육의 냉장 중 물리적 변화
강선문,김용선,이성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4
본 연구는 사료 내 대사에너지가와 성별에 따라 재래흑돼지육의 냉장 저장 중 발생되는 물리적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일, 대사에너지가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드립감량과 가열감량은 저장기간동안 증가하고,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에서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적색도는 감소하였지만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적색도와 황색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이 미경산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대사에너지가에 따른 조직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거세돈이 미경산돈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사육면적에 따른 비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pH, 보수력,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 비교
강선문,정연복,김태실,박연수,송영한,이성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7
본 연구는 사육면적에 따른 비육후기 28개월령 비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PH, 보수력,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 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축전 6개월 동안 사육면적(9, 18, 27 m<sup>2</sup> )에 따라 공시하고 도축후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4±0.5℃ 에 9일 동안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 3일까지 27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이 9, 18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후강직후 48시간의 드립 감량은 27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이 9, 18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C20:5n3(EPA)과 PUFA n3 지방산 총량은 27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이 9 m<sup>2</sup> 에서 사육한 한우육보다 유의 적으로 높았으며(p<0.05), PUFA n6/n3 비율은 낮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 패턴은 저장기간 동안 사육면적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27 m<sup>2</sup> 에서 사육한 비거세 한우육의 보수력 및 PUFA n3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PUFA n6/n3 비율은 가장 낮았다.
라이신 수준에 따른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해동후 냉장중 품질비교
강선문,채병조,김용선,강창기,이성기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구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05 동물자원연구 Vol.16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black porks and modern genotype pork fed high and low lysine levels of diets at growing and finishing st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M. longissimus from Korean native black pigs (gilts) with a live weight of 65 kg and modern genotype pork (gilts) with a live weight of 110 kg were frozen at -80 ℃ for 1 month and placed in the dark room at 1℃ for 7 days after thawing. The moisture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modern genotype pork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than to the other treatments (p<0.05), but crude fat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dern genotype pork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p<0.05). The pH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native black pork than to modern genotype pork (p<0.05), and the drip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Korean native black pork (p<0.05). CIE L*, ho and hunter 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odern genotype pork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than to modern genotype pork fed low lysine level of diets (p<0.05). Myristate, palmitate an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Korean native black pork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than to Korean native black pork fed low lysine level of diet (p<0.05), but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UFA/SFA ratio were higher in Korean native black pork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p<0.05). Consequently, as Korean native black pigs were fed high lysine level of diets at growing and finishing stage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pork increased but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UFA/SFA ratio of pork decreased. And the water-holding capacity, color stabil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native black porks were better than those of modern genotype pork.
사육고도에 따른 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보수력, 육색 안정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 비교
강선문,송영한,이성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7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사육고도에 따른 비육후기 28개월령 거세 한우육의 냉장중 보수력, 육색 안정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도축전 6개월 동안 사육고도(200, 400, 800 m)에 따라 공시한 후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3±0.2℃ 에 8일 동안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 동안 400 m 한우육이 200 m 한우육보다 높았으며(p<0.05), 드립 감량은 저장기간 동안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낮았다(p<0.05). 표면 육색에서 L<sup>*</sup> 은 저장 4일까지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으며(p<0.05), 저장 8일에는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높았다(p<0.05). a<sup>*</sup> 와 C<sup>*</sup> 는 저장 0일에는 200, 800 m 한우육이 400 m 한우육보다 높았으며(p<0.05), 저장 4일부터는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p<0.05). b<sup>*</sup> 는 저장 0일에는 2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으나(p<0.05), 저장 4일부터는 800 m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p<0.05). MetMb과 R<sub>630</sub>/R<sub>580</sub> 값은 저장기간 동안 400 m 한우육이 200, 800 m 한우육보다 높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 패턴은 신선육에서만 사육고도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200, 800 m에서 사육한 거세 한우육의 보수력과 800 m에서 사육한 거세 한우육의 육색 안정성이 냉장저장기간 동안 가장 우수하였으며, 전자코에 의해 사육고도에 따른 향기 패턴의 분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녹차 추출물의 첨가 수준이 김치 발효 소시지의 젖산균, 산화안정성 및 향기에 미치는 영향
강선문,김태실,송영한,권일경,조수현,박범영,이성기,Kang, Sun-Moon,Kim, Tae-Sil,Song, Young-Han,Kwon, Il-Kyoung,Cho, Soo-Hyun,Park, Beom-Young,Lee, Sung-Ki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level (0 ppm, 400 ppm, 800 ppm, and 1,200 ppm) of green tea extract on the lactic acid bacteria, oxidative stability, and aroma in kimchi-fermented sausage. The sample sausages were fermented at $24^{\circ}C/RH$ 89% until attained to a pH value of 4.9 (for 17 h), and then dried at $10^{\circ}C/RH$ 75-80% for 6 d.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and pH value were 7.5-7.7 Log CFU/g sausage and 4.30-4.33, respectively, at 6 d of ripening. The results of tho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reatments. The formation of TBARS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increasing the addition level of green tea extract. During ripening periods, the CIE $L^*$ and $a^*$ values decreased; however, the $b^*$ value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 Utilizing an electric nose, the aroma pattern was clearly discriminated between green tea extract treatments and the control. Therefore, in kimchi-fermented sausages, the high addition level of green tea extract improved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addition level, green tea extract changed the aroma while reducing the color stability. Moreover, i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강선문,채병조,이성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4
본 연구는 사료 내 라이신 수준과 성별이 재래흑돼지육의 냉장기간동안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 5일까지 감소하였으나 7일째에 증가하였다. 그리고 high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igh, medium 처리구의 거세돈과 low 처리구의 미경산돈에서 높게 나타났다. 드립감량과 가열감량은 저장기간동안 감소하였으나 라이신 수준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라이신 수준이 낮을수록 적색도와 황색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도와 점착성은 감소했고, 거세돈육의 경도와 점착성이 미경산돈육보다 낮았지만 라이신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재래흑돼지육의 진공포장 숙성중 지방산 조성과 SPME-GC/MS에 의한 향기성분 분석
강선문,김용선,이성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6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육의 진공포장 숙성중 지방산 조성과 SPME-GC/MS에 의한 향기성분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지방산 조성으로 C14:0, C16:1n7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으며(p<0.05), C18:1n7, C22:4n6는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숙성기간 동안 향기성분은 숙성 0일에 2-decanone, 2-ethyl hexanol, hexa -noic acid가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숙성 6, 12일에는 butanoic acid, 2.3-butanediol, benzen -acetaldehyde, benzeneethanol, 2-hexadecal, hexanoic acid가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