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리브랜딩 프로젝트 -마케팅전략을 통한 디자인 문제점 해결을 중심으로-

        류혜나,박예진,손예빈,송혜진,이종화,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한국의 뿌리, 동양의 미의식을 동시에 지닌 숙명문화원의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그래픽, 제품, 공간의 통합 및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 시간적 범위는 2017년 3월~6월까지 조사대상은 브랜딩이 미흡한 숙 명문화원의 문신미술관, 숙명박물관, 숙명역사박물관, 정영양자수박물관으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브랜드스토리인 ‘문신의 작은 우주’는 조각가 문신의 가치관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미술관으로서 포지셔닝 되었다. 또한, 문신미술관은 디자인과 마케팅 측면을 융합하여 로고, 사인물, 에코백, 머그컵 및 전시기획 등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문신미술관의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학 자원의 활용 사례 :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을 중심으로

        설원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최근 대학과 지역사회 간 협력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대학 자원을 활용하여 대학-지역-청년 간 상생을 추구하는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은 이에 대한 새로운 모델로 등장하였다. 숙명여대는 2016년 12월 서울시 캠퍼스타운 프로그램형 1단계 사업 13개 대학 중 하나로 선정되어 2017년 5월부터 사업을 수행 중이며,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용문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학 자원의 활용 사례로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의 경험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에서는 용문전통시장 재생을 위해 우선 현황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정의했으며, 이후 대학의 가용 자 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용문전통시장 소식지 창간, SNS를 통한 마케팅 강화, 시장 브랜딩・보드디자인・시장 고유의 명함 및 장바구니 제작을 통한 시장의 통일감 조성, 상인을 위한 맞춤 중국어 및 용문상인대학 모델 개발, 청 년층의 시장유입 촉진을 위한 청년창업 공모전, 인근 유동인구 증대를 위한 독립로드 개발 등이 본 사업을 통해 제안된 주요 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이슈는 크게 대학, 용문전통시장, 서울시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학의 경우 대학구성원의 태도 변화 필요, 프로그 램 개발 시 지속성에 대한 고민, 체험과 소통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 노력, 대학과 지역사회간 Win-Win할 수 있는 모델 개발 등이 주요 이슈로 파 악되었다. 용문전통시장 측면에서는 시장의 차별화, 시장상인의 변화에 대한 동참 유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변화 추진 등이 주요 논의사항이 며, 서울시에서는 다양한 기관의 중복지원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거버넌스 문제, 하드웨어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콘텐츠와 인력에 대한 지원 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주요 이슈로 제안되었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for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and the Campus Town project of Seoul City emerged as a new model by seeking a win-win university-community-youth relationship.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been engaged in the project since selected as one of the 13 universities in the 1 round of Seoul Campus Town project in December of 2016. It developed and implemented a range of programs to promote the commercial area in Yongmun Traditional Market, located in Yongsan-gu, Seoul. This study introduces the experienc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s an example of using university resources to develop community and discusses the issues found in the process. Campus Town projec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Yongmun traditional market and identified its problems and resources available at the university to revive the market, based on which various programs were developed. Major programs include publishing newsletter of Yongmun traditional market, SNS marketing, design for unity - market branding・board design・creating business card and basket, developing a model of customized Chinese for merchants and Yongmun Merchant University, 'Campus Town Startup Competition' to attract youth into the market, and developing 'Independent Road' to increase floating population. The issues have been raised mainly in three areas, such as university, Yongmun traditional market, and Seoul city. Requirements for the university include: changes in attitude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sustain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s,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 win-win business model for university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s for Yongmun traditional market, key issues include differentiation of the market, engaging merchants in changes, and implementing change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market. Finally, Seoul city is found to have issues such as governance to solve policy overlapping problem, need for contents and human resources support instead of the current policy focused on hardware. Keywords: Campus Town Project, Developing Community, Utilizing University Resources

      • 發展途上國에의 經濟協力의 實態와 問題點

        朴珉植 숙명여자대학교 경제연구소 1975 論文集 Vol.4 No.-

        Thanks to the versatile economic cooperation, the world economy enjoyed a rather smooth progress after the World War Ⅱ ended. At the turnaround of 1960s, it was confronted with a rapid change of the economic environments: stagnation of the free trade. emergence of the resources nationalism, and disruption in the monetary system. Today,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international trade arsies from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classical theory of division of labor is no longer valid to solve these present problems. Even UNCTAD also made an abortive efforts to come up with a satisfactory solution. The present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n be renovated only when it is put on the basis of their mutual cooperation. It should be designed to develop on an interdependent basis, and take a proper step to reinforce the traditional pattern of the economic cooperation. which gives emphasis on the national interests in foreign trade. Obstacl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to be eradicated. This thesis tackles thess problems in the following format. Chapter Ⅰ : Introduction Chapter Ⅱ : Definition of economic cooperation Chapter Ⅲ : Dillemmar of economic development Chapter Ⅳ : Realities of economic cooperation in the developing countries Chapter Ⅴ : Problems relative to the economic cooperation Chapter Ⅵ : Conclusion Chapter Ⅰ presents the nature of the problems and review their significance. Chapter Ⅱ arranges the concep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and explains the types of aid by the classification of DAC.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al data chapter Ⅲ makes an analysis of the unequitable distribution of income, the chronic deficit of the international payments, and the accumulation of the foreign debts, which present themselves as a dilemma to the progress of the developing nations. Chapter Ⅳ, the main body of this thesis, discusses the performance of the economic cooperation in the developed n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61 to 1973. Discussion is made by the items of the aggregate value, ODA, PE technical assistance and the conditions of ai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analysis in the previous chapters, chapter Ⅴ presents various kinds of problems to arise in connection with the economic cooperation. Finally chapter Ⅵ presents the summary of this thesis and the direction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1. Even during Ten Year Period of Development designated by U.N.,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rather getting worse in spite of their mutual efforts towards the improvement. Dilemmar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were deepened; unfavorable conditions of the free trade, accumulation of the external debts and the adverse balance of the international payments. 2. The development aid of the developed countries on the government level has come yet short of the U. N. objective. The aid conditions of some countries are still far from recommended by DAC in 1965 and 1969. It is urgent that the development aid on the government basis be expanded with its conditions mitigated. 3. A positive approach should be taken by the major aid-giving countries to encourage the aid with no string and achieve the improvement of aid quality. Such an approach should be expand into an international scale. 4. Technical assistance to the developing countries should further be promot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Mos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of searce capital and low technology. 5. Increase of the expor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is a key factor to their economic development and self-supporting economy. It is required not only for the proceeds of foreign exchange to buy capital goods, but for the increase of effective demand. Further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promote the economic cooperation on a private base. 6. The final goal of the economic development by the developed countries is to speed up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help the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ir establishment of a self-supporting economy. Therefore, both of the developed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should endeavor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economic structure for a rational division of labor so that they come to a closer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

      • 애기장대의 Athb-12 유전자에 대한 불활성 돌연변이의 선발

        손오라,이현정,천충일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1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2

        애기장대의 homeobox gene인 Athb-12는 ABA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이 보고되어 water stress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knockout mutants를 찾고자 하였다. T-DNA insertion에 의한 불활성화 돌연변이들의 pools을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에 의해 pools을 screen하였다. 1차 screen에서 정확하게 Athb-12유전자에 insertion된 돌연변이체를 Southern blots 및 DNA sequencing으로 확인하였고, 이들을 2차 screen에서도 성공적으로 맞는 mutants를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mutant를 찾아내면 Athb-12의 기능연구에 유용하리라 예상된다. Sine the Athb-12 gene, a homeobox gene from Arabidopsis, was reported to be expressed by ABA induction, it was expected to be important in plant response mechanism to water stress. Screening for knockout mutant for the gene was performed to study the function of the gene. Polymerase Chain Reactions(PCR) were used for screening pools of T-DNA inserted inactivated mutants. From the primary screening, the exact inserted mutant at the Athb-12 gene was found and confirmed by Southern blots and DNA sequencing. The correct mutant was successfully selected from the secondary screening, too. Finding the final insertion mutant will be useful in studying the function of Athb-12.

      • KCI등재

        여대생 대항경기에 관한 연구: 숙이전, 이숙전의 라이벌 역사

        최영금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숙이전> 혹은 <이숙전>으로 불렸던 숙명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스포츠 정기 교류전의 역사 를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밝혀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두 대학의 교류전은 1965년 여자대학 농구연맹 조직 준비단계에서 서울 신문사 주최 제1회 여자대학 친선 농구대회가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둘째, 1981년 다시 부활한 숙이전은 농구와 배구, 교수와 교직원들의 테니스가 주 종목이었다. 대학 아마추어 경기로서 재학생들을 모집했으나, 체육과 단과대학의 고립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2회 대회로 끝나게 되어 대중들에게 각인되지 못했다. 셋째, 양 대학의 교류전은 비록 그 지속성이나 규모는 미미했으나 여대생만의 주체적인 개최 속에 당시 여대생에 게 스포츠 애호 정신을 심어주었다. 숙이전은 여대만의 유일한 대교 경기로서 여성 스포츠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The study revealed the history of regular match betwee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were called "Sukijeon" or "Lee Sookje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and interviews,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match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began in 1965 when the first Women's University Friendship Basketball Tournament hosted by the Seoul Newspaper was held at Jangchung Gymnasium in preparation for the organization of the Women's University Basketball Federation. Second, Sukijeon, which was revived again in 1981, was mainly played in basketball, volleyball, and tennis by professors and faculty. It recruited students as a college amateur, but was not recognized by the public as it ended in a second round, failing to escape the isol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college. Third, the match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instilled a spirit of love for sports amo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at time, although its continuity and scale were minimal. Sukijeon is the only match in women's universities, and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women's sports.

      • KCI등재

        1960년대 여자대학 학보 연구 -『이대학보』, 『숙대신보』의 글을 중심으로-

        김지윤 ( Kim Jiyoo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1960년대 여대생 집단은 70~80년대 본격적인 여성문학의 시대를 열어간 주역이 된 세대이며 변화된 여성 의식과 행동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공동체로 재조명되어야 한다. 기존에 1960년대 ‘젊은-여성’ 그룹을 중심으로 한 교양담론에 대한 기존 연구는 가정주부나 독신여성을 중심으로 연구된 경우가 많았고, 여대생을 다루더라도 당시 사회가 여대생에 대해 갖는 인식을 규명하려는 것이라 당대를 살아가는 주체로서의 여대생 자신이 어떤 세대의식과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글은 여대생들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직접 만든 매체와 그들이 쓴 글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들의 공통감정, 시대의식 및 변화한 젠더의식을 규명하려 했다. 학보는 여대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주체가 되어 기획하고 글을 쓰고 만들었던 매체라는 점에서 그들이 갖고 있던 시대와 현실에 대한 공통감각을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학보는 대학사회의 여론형성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으므로 여자 대학 학보의 글을 통해 여대생 집단 내의 공동의 문제의식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학보가 변화한 여성 의식을 표출할 공론장이며, 자신들의 의견과 이해를 표명하는 미디어라고 생각했고 그들의 글쓰기는 공공성을 창출하기 위한 시도였다. 여대생들이 주체가 되어 기획하고 내용을 구성하며 절차와 운영을 정했던 대학 내 미디어는 여자 대학생들의 미디어 공공성을 창출하는 장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일간지 대학소식란에서 여자대학 학보 기사를 발췌 편집해온 보도 태도나, 학보의 외부 필진 청탁 글들의 논조를 보면 당시 사회가 여자대학 신문과 여대생에 대해 가지고 있던 젠더화된 시각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여자대학 학보는 새로운 여성의식과 미디어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준 매체이며, 여대생들 역시 1960년대의 교양담론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가치 담론에 갇히기를 거부하며 공공성을 실현하는 참여적 주체가 되려는 정신적 공동체였다는 사실이 재평가되어야 한다. 이 글은, 그간 주목되지 못하고 누락되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복원하며 이들이 변화된 여성 의식과 행동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집단일 뿐만 아니라 1960년대 세대적 역사적 주체의 이름으로 부각되었던 ‘문학청년’과 동일한 범주 내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는 당대의 청년담론은 물론 이후에도 계속 되는 여성담론의 계보를 다시 살펴보려는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Journal of Women's University in 1960s that have not been noted academically. In the '60s,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re-examined as an important community that shows a changed way of women's consciousness and behavior.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generation of consciousness and perspective a female college student of the time had. Starting with this sense of problem,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mselves tried to study and analyze the academic records of planning and making. The articles of the Journal of Women's University are appropriate to grasp the common sense of the times and reality they had in the sens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writing and making. In addition, the academic records play a role in forming public opinion in the university community, so the writings of the academic records show a common sense of problem within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at time, female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the university newspaper was the public sphere to express their changed feminine consciousness, and their writing was an attempt to create publicness. They are the same generation that opened the era of women's literature in earnest in the 70s and 80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cademic reports of women's universities, which were not subject to academic lighting, and to identify the internal, common feelings, and women's consciousn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the time.

      • KCI등재

        교양과학 교과목과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의 접목 : 숙명여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정세권(Jeong, Se-K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논문은 숙명여대에서 2013년부터 개설해 온 교양과학 교과목 강좌에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시도한 과정과 그에 대한 평가, 그리고 향후 교양과학 교과목과 글쓰기 교육의 접목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숙명여대는 2013년 교양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교양과학 교과목인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개설했다. 이 교과목은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 속에서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과학기술의 다양한 성격과 쟁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13년 하나의 강좌가 개설된 이래 여러 분반, 그리고 다른 주제의 교양과학 교과목이 증설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기여해 왔다. 또한 해당 교과목의 수강생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한 편 시청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를 작성하여 과제로 제출했고, 과학기술학을 전공한 교수가 간단하게 첨삭하는 방식으로 피드백해 왔다. 그런 와중에 2020년 2학기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구축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인 [사]을 활용하여 수강생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글쓰기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학생들은 강좌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고,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통하여 글쓰기 교육 전공자로부터 표현, 구성, 내용까지 다양한 글쓰기 지도를 받았고, 이를 수정하여 교수에게 최종 제출했다. 본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교과목에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접목했을 때 어떤 교육적 효과가 나올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향후 과학기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encounter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on-line writing feedback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20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rom lecture evaluations. While other universities has developed <Writ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courses for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and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since the early 2000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two specific backgrounds for this encounter. Firstly, the science liberal course, <Science,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has dealt with the history and social, moral, ethical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on science/technology, and additional courses have been installed until now.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itiated the project for innovation of liberal education in 2019, and this projec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In 2020, students at this course, after lectures dealing with some issues on biomedicine, had to submit review paper about a documentary on genetic diagnosis and personal, social questions to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Four experts on writing teaching read students" papers and made comments on expressions, structures, contents of papers via on-line feedback system, and students had to submit their revised paper to professor of this course.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write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s and targets,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of education have to be pondered on, and new experiment to integrate science liberal education with writing teach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educations which have been promoted at many domestic university about two decades.

      • KCI등재

        용산구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시각디자인 연구 이후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 이태원과 숙대입구역을 중심으로

        황순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Beautiful Yongsan, Public Design' ITAEONE 2013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as a research and cooperation project by Yongsan District Office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11, has changed the region 10 years afterward. As a research method, I conducted field research methods such as analysis of books, papers and reports related to the case of Yongsangu urban regeneration area, and visited Hackney community in London, UK, similar to Itaewon, a multi-cultural area, to conduct field trips and interviews. In 2010, the Yongsan District Office proposed cooperation in government-academic studie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order to find ways to build local branding image in underdeveloped areas of Itaewon, while the research team designed six urban regeneration programs, including Itaewon, as visual storytelling, to solve all problems. The results of the project were fed back through exhibitions at the Yongsan District Office and seminar discussions involving local residents, which included some positive feedback. The Yongsan District Office played an active role for the project, shedding lights on the potential of public visual design by holding debates and briefing sessions between lawmakers and shop owners in Itaewon. Yongsangu District Office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first visual design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continued as a "Campus town Program"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expande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academic institutions and urban renewal public design. The London-based Hackney's example of urban renewal design provided great implications as a successful long-term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resident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designers. As a conclusion, the urban regeneration program of Yongsangu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19 was derived from the revitalization of local humanities and traditional market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Campus Town Project’, resulting in differentiation. However, instead of ending it with a one-time, short-term project, the government should make a long-term plan and move toward continued mutual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residents and research institutes, as shown by the example of the London Hackney. As of October 2019,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desirable presentation of future cooperation urban regeneration design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of past and present changes by visiting the research case areas of the visual design urban regeneration program in Yongsangu, which was conducted in 2011. 본 연구는 2011년 용산구청과 숙명여자대학교에 의해 관․학 협력 사업으로 진행했던 ‘아름다운 용산, 공공디자인 ‘ITAEONE 2013’ 프로젝트가 10년 후 현재 해당 지역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용산구 도시재생 지역 사례 관련의 도서, 논문과 보고서 분석 등 문헌 연구와 현지 조사법을 병행하였고 ‘ITAEONE 2013’ 프로젝트에서는 관내 다문화 지역인 이태원과 유사한 영국 런던의 해크니(Hackney) 커뮤니티를 방문하여 현장답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2010년 용산구청은 이태원의 낙후지역에 대하여 지역 브랜드 이미지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숙명여대에 관․학 협력을 제안했고 연구팀은 이태원 등 6곳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비주얼 스토리텔링으로 디자인하여 제반의 문제 해결을 도모하였다. 프로젝트 수행 결과물을 용산구청 내 전시와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한 세미나 토론을 통해 피드백하고 내린 결론은 긍정적이었다. 용산구청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도시기획과를 중심으로 공공 시각디자인의 순기능 가능성을 인정하고 지역 구의원 및 이태원 상가 주인들을 중심으로 한 토론회와 설명회를 여는 등의 능동적 역할을 했다. 용산구청과 숙명여대의 관․학 협력 첫 도시재생 시각디자인 프로젝트는 이후 ‘캠퍼스타운 프로그램’으로 지속, 숙대입구역의 굴다리 변화 등 더 확장된 관․학 협력 도시재생 공공디자인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용산 이태원을 통해 제시된 런던 해크니의 도시재생 디자인 사례는 지역주민, 학교와 지역 커뮤니티, 디자이너와의 장기간 지속적인 협력 체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결론으로 2019년 용산구와 숙명여대의 관․학 도시재생 프로그램은 지역 인문학 및 전통시장 활성화, 캠퍼스타운 조성과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파생, 분화의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일회성, 단기간 프로젝트로 끝내지 말고 런던 해크니 예를 보듯이 장기간 계획을 세워 지역 커뮤니티, 주민, 연구기관과의 지속적 상호 협력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현재, 2011년 진행했던 용산구 시각디자인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연구 사례 지역을 방문 조사하여 과거와 현재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관학 협력 도시재생 디자인프로그램을 바람직하게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프로농구감독의 코칭지식 개념적 모형개발

        정지혜 한국체육과학회 200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5 No.2

        To achieve and practical model of the coaching knowledges of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Sequential study with three step is required to build a complete and at the same time practically applicable model of the coaching knowledge. In the first step, the coaching knowledge should be classified properly into knowledge elements which may be conceptual but should be homogeneous in nature. The second step is to measure quantitatively how important each classified element is in the actual coaching activities. Each step of th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t first, logical approach with carefully designed a priori will be applied to construct the model. However, theoretical approach is not sufficient since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results should be checked or the quantitative nature of the results should be investigated. Empirical parts of the study are based upon the survey results of interviewing 14 head coaches of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with a carefully designed questionnaire. The first step of the study is completed in which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structure of the coaching knowledge model is tested basted upon the data gathered from the above-mentioned interview survey. The high-level classifications in general.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is purely empirical one. Using the survey data, the relative importances of the high-level and middle-level knowledge elements are measured.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coaching application knowledge of the high-level elements, which is similar to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he teaching knowledge model,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among the knowledg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