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왕실 불사(佛事)의 전승과 음악문화 연구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6 No.-

        본고는 조선 전기 왕실의 불교의례의 설행과 주악 관행, 왕실의 불교음악 환경, 주악의 구성요소와 형태 등을 고찰하여 지금까지 예악론 중심으로 이해되어온 왕실음악문화의 이면을 재조명한 연구이다. 억불숭유 의 기조 속에서도 비교적 활발하게 전개된 불교의례 관련 문헌 기록을 면밀히 조사하고, 이를 감로왕도의 도상 및 불교의식집을 참고하여 이에 따른 불교 음악 문화의 요소를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국행으로 설행된 천도재(水陸齋와 忌晨齋), 사찰의 중창 및 불상․불탑․불경․법구의 조성을 기념하여 설행한 낙성(落成) 경찬회(慶讚會), 일종의 가두행진 법회인 경행(經行), 사경(寫經) 및 정근(精 勤) 등의 불교의례 전통을 통해 범음구와 범패를 갖춘 불교음악의 전통이 이어졌다. 둘째, 왕실의 불교의례는 궁 밖의 사찰은 물론 궁 안에서도 설행되었다. 궁 밖에서 거행될 때는 주관자인 왕실 구성원부터 양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남녀의 구분 없이 광범위하게 참여하였다. 또, 궁 안의 내불당과 궁 가까이에 있던 정업원에서는 아침저녁으로 울리는 범패 소리가 궁 안까지 퍼진다는 지적이 비등할 정도로 불교음악은 왕실의 일상 속에서 지속성을 띠고 전승되었다. 셋째, 불교의례에 사용된 범음구의 종류는 나각ㆍ바라ㆍ법고ㆍ경자ㆍ운판ㆍ종ㆍ경 등 6종이었다. 조선 전기 태종부터 성종년간에 이르는 약 90년 동안 15차례에 걸쳐 일본(일본국ㆍ대마도ㆍ유구국)에 보내진 60여 개의 범음구 목록은 당시 국가기관에서 범음구를 제작한 사실과 종류를 확인시켜주며 동시에 조선 전기 왕실 불교 음악 문화의 지속성을 뒷받침해준다. 넷째, 왕실 불사에서의 범패는 근거 자료의 부족으로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다. 다만, 조선 전기의 의식집 을 보완하여 완성된 『천지양명수륙재범음산보집』(18세기)에 수록된 96편의 의식문과 배설도 및 감로왕도 의 의식장면 도상을 통해 그 윤곽을 살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범패는 최고의 전문범패승 ‘어산(魚山)’과 유망주 범패승 ‘범음(梵音)’이 범음구의 주악에 맞춰 범패를 부르고, 바라춤․법고춤․광쇠춤 등의 작법과 함께 연행하였다. 다섯째, 왕실 불사에서는 범음구 주악 및 범패 외에 관현합주와 무동과 여기의 무악, 무애희 등이 상연되 었다. ‘악공ㆍ배우의 무리’들이 담당한 불교의례에서의 관현합주와 무악을 『세종실록』에서는 ‘음성공양’이 라하였다. 이는 불전에 바치는 전래의 ‘기악(伎樂) 공양’의 전통과 관련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연행 방식은 『악학궤범』 소재 <학ㆍ연화대ㆍ처용무 합설>의 초입배열도의 구성과 ‘후도’와 유사성이 있다. 한편, 불교의례에서의 음악은 종교의 경건함을 돋울 뿐만 아니라, 왕실구성원부터 서민이 다함께 참여하 여 범음구의 주악과 범패, 관현합주와 무악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항오를 같이 돌며(回旋) ‘환희족도(歡舞足 蹈)’ 하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였다. 이는 유교의 예악문화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유교적인 정치윤리로 풀어 가기 어려운 천재지변에 대한 구원과 무병장수 및 사후명복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숭불 전통이 이어진 것처럼, 불교음악문화는 건국이후 새롭게 정비된 아악 문화가 해소시켜주지 못하는 전통적 정서 교감의 기능을 담당했을 것이다. 따라서 왕실 불사와 관련된 불교 음악 문화의 양상은 유교의 예악론과 함께 조선 전기의 왕실 음악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축으로 재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continuing performance of Buddhist ritual music on royal occas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espite the official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Buddhist rituals and ceremonies for national events were practiced, little is known on the role and status of Buddhist music during these occasions. Except for A Miracle of Sariri of Buddha (Sariyoungunggi), one of few surviving records of Buddhist ritual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only fragments remain from which we can obtain a glimpse of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 the chants, dances and so on. In this paper, I try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of Buddhist ritual music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Image of Amitabha (Gamnowangdo), manuals of Buddhist ceremony, and a list of Buddhist musical instruments that were gifted to Japan. Buddhist musical performances, beomeumgu (instrumental music) and beompae (chanting), were performed as a core part of rituals for royal Buddhist occasions such as ancestor memorial services (Jae, 齋), national processions (Gyeonghaeng, 經行), and ceremonies to celebrate the completion of a project (Gyeongchan, 慶讚). During these occasions Buddhist music was provided by an orchestra along with chant and dance. In the orchestra, nagak (Conch horn), bara (cymbals), beopgo (Buddhist drum), gwangseo (small gong), jong (bell), gyung (chime) and unpan (a cloud shape metal plate), were add to string and wind instruments to accompany the chants and dance. Over a period of ninety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Taejong (1367-1422) to Seongjong (1457-1494), the Joseon court sent musical instruments to Japan at the request of local rulers. This shows th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struments used in the court were activ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One of the Buddhist performances at the royal court called eumseong gongyang (chanting service) recorded in Sejong Sillok seems to be related to giak gongyang, an instrumental performance with dancing, and this form of performace, in turn, appears to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Hak, yeonhwadae, cheoyongmuhapseol recorded in the Akhakgwebeom (Korean traditional court musical canon). Buddhist events at the Joseon royal court seems to have played an important function in promoting social cohesion, since people of both genders and all social backgrounds were able to participate on equal terms. Therefor Buddhist rituals continued to exert a strong influence on the royal family and government for the case of nation-wide natural disasters, wishes for long life and after-life.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not only Confucian music, but also traditional Buddhist music,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royal musical cultur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군 자살자에 대한 심리부검; 해군 장병을 중심으로

        송혜진 한국과학수사학회 2013 과학수사학회지 Vol.7 No.2

        Many suicide cases have occurred in the military-navy. Because of naval personnel’s working and living in tight quarters they are often exposed to a medical condition such as claustrophobia which could lead them to suicidal behavior. For this reason, the military has tried to discover the cause(s) of suicide in a military context. In recent years, the military has begun to apply psychological autopsy techniques, although this is currently in early stages. The psychological autopsy was first used in 1950 in order to discover the cause of military suicides. Since then, it has been conducted in many countries, such as the U.S.A., Japan and Finland. The military has conducted psychological autopsies in consultation with a private organization if an investigation is required or the victim’s family desires that it be performed. When the military investigates the cause of death, it may help the victim’s colleagues to better cope with the loss. In this study, psycholog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naval personnel in order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auses and impact of suicides.

      • KCI등재
      • KCI등재

        동해 남부 연안 정치망어업의 수온에 따른 종조성 변동 특성 연구

        송혜진,송영선,황강석,손동화 한국수산과학회 202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5 No.5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is an important area affected by large warm currents as it connects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South Sea, and Dokdo. From 2017 to 2021, the average catch per unit effort (CPUE; kg/day/ ship) of set net fishery at six ports in the Gyeongbuk region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was the highest in Gampo, Gyeongju, and the lowest in Hupo, Uljin. Although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CPUE differed by region and year, it was generally high in autumn. In the set net fishery in Pohang from 2019 to 2021, we identified 72 species, which decreased to 56 species in 2019, 46 in 2020, and 41 in 2021. The species diversity index slightly increased over the three-year periods.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catch (kg) of subtropical species in autumn and the water temperature at 50 m. Among the most abundant species, we found substanti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Scomber japonicus, Scomberomous spp. and Carangids. We also no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Todarodes pacificus, Seriola spp. and Carangids.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중앙행정부처 기록전문직 직무인식에 관한 연구

        송혜진,김유승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2 No.3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records professions' job areas and conduct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Under the perception whi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cords professions' job for securing their roles and identity, this study conducts a job analysis and categorizes records professions' job into 4 duties, 19 jobs and 78 job elements. The 4 duties includes records management, records office operation,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nd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Furthermore, it researches jobs' importance and performance using the IPA. Accordign to the analysis, the jobs which rank at to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ist are jobs concerning appraisal and disposal. The jobs which ranks at bottom are jobs related to services. In general the current ‘one man records office system' is not appropriate to carry out all the records management busines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lighten records profeesions' workload through the job adjustment in government institutions. 본 연구는 중앙행정부처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직무 영역을 파악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록전문직의 역할과 정체성 확보를 위하여 직무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직무영역 및 요소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의 직무를 기록물관리, 기록관 운영, 기록관리 인프라, 기록정보 서비스의 4개의 책무와 19개의 업무, 78개의 업무요소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중요도와 수행도 빈도를 조사하는 IPA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업무 영역인 평가 및 폐기 업무가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서비스관련 업무는 중요성과 수행도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1인 1체제의 기록관에서 모든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기에는 과중한 상태로 파악되었으며 조직 내 직무 재배치를 통한 업무량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도상의 재해석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08 한국음악연구 Vol.44 No.-

        본고는 지금까지 평양감사를 위한 향연도로 해석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Peabody Essex Museum)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의 8폭 그림의 도상구성과 주제를 재검토한 연구이다. 이 그림은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의 기획전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100년 전 한국풍물-유길준과 개화의 꿈>을 통해 국내에 처음 공개된 이래 화면구성, 필치, 채색 기법 면에서 뛰어난 전문화가의 그림이라는 점, 기록화에 걸맞는 구체성과 사실성이 돋보이며, 한 시대의 각 계층의 인물이 두루 망라 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상을 반영하는 그림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도상의 여덟 폭의 그림 내용은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채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는 평양감사의 부임을 축하하는 연회로 해석되어 왔다. 특히 2003년에 간행된 ꡔ조선시대 풍속화Ⅱꡕ에서는 이 그림이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가 죽마고우인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평양감사로 부임하자, 그곳에서 유흥에 빠지지 말고 선정(善政)하기를 경계할 목적으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짓고, 이를 그림으로 그린 ‘관서악부도’ 성격의 <평양감사향연도>라고 소개하였으며 작품의 배열순서를 정하고, 각 폭의 제목을 명명한 바 있다. 그러나 유사 주제의 도상자료 및 관련 문학자료를 비교해 본 결과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환영도>에 대한 기존의 해석에 결정적인 오류가 있다는 점과 더 나아가 국문학, 민속학, 음악학 분야의 연구에서도 그림의 오역(誤譯)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첫째, 이 작품에서 환영받고 있는 주인공은 ‘평안감사’가 아니라 창우(倡優)와 무동(舞童), 세악수들을 대동하고 평양으로 오는 ‘청색 관복을 입은 두 주인공’이라는 점, 둘째, 선화당 연회에 여성의 참석이 허용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공식적인 평양감사 환영연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 셋째, 기존의 도상해석에서는 대동강 위의 배의 행렬을 모두 ‘선유(船遊) 장면’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중의 한 폭은 평양으로 입성하는 이들의 도강(渡江) 행렬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오역(誤譯) 사례라고 하겠다. 즉, <평양감사환영도>로 해제된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그림을 재검토한 결과 이 그림은 평양감사가 평양에 입성하는 귀빈을 맞이하여 백성들과 함께 공식적인 연회와 소규모연회, 연광정, 부벽루 등의 명소에서의 연회, 대동강의 야연을 베푼 내용을 그린 환영도 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석북 신광수의 <관서악부>와의 관련지은 것은 오류임을 밝혔다. 다만, 이 작품에서 환영을 받는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까지의 도상 내용으로 보아 이들은 과거급제자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급제자를 위한 관련 풍속 중, 급제자들이 귀향하면 고을의 수령이 고을 입구까지 나아가 친히 맞이하고, 급제자의 부모를 초청하여 잔치를 벌이는 ‘영친의(榮親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창우와 무동의 존재, 부벽루 연회장면에 보이는 이색적인 민속연희 등은 지방 수령의 도임행차 및 환영연에서 볼 수 없는 도상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거급제자들을 위한 삼일유가 풍속을 연상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정조 6년 10월의 기사에 “관서(關西)의 도과 시관(道科 試官)을 불러 임금이 말하기를, “도과는 성대한 일로서, 합격자를 발표한 뒤에 대동강에서 유람을 하사하는 것은 그전부터 유래된 옛 규례라고 하였다. 경은 그림을 그려 병풍을 만들도록 하라”고 기록된 내용은 이 작품의 제작배경과 특히 목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즉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는 평양출신의 과거급제자를 위한 축하연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의 후속 연구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This paper was done to make reexa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me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own by the Peabody Essex Museum in America, and to intend to introduce new perspectiv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inting.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was firstly shown to Korea through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Peabody Essex Museum Collection under the title of Yu, Gil-joon and his dream of civilization; the institution and customs of Korea’s one hundred years ago presen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94. Since then, this painting, composed of eight screens, depicting celebrations taking place in the city of Pyongyang, capital of Pyeong-an province, was considered as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new Pyeong-an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This painting has also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ones which reflected well the times of Joseon dynasty because of the detailed depiction of the customs and people throughout the various social classes with professional touch, color and composition of the picture, as comparable as a documentary painting. As stated just now, this painting has long time been considered as the depiction of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inauguration of Pyeong-an governor. That was only because it signified similarities as other banquet scenes belonged in the same category. Moreover, for instance, according to the Joseon Dynasty Genre Scenes of Music Ⅱ, published in 2003, it was said that the painter of this piece was Seokbuk Shin, Kwang-su (石北 申光洙), a best friend of Chae, Jae-gong (1720-1799) and it was a painting version of the prose poetry named Kwanseo-yuhefu (關西樂府) written by himself, to make good wishes for his friend Chae’s successful government, when Chae was inaugurated as the governor of Pyeong-yang. The purpose of this paper, however, was to reappraise the contents and what it was described in the eight screens of the painting to get new approaches. I carefully reviewed every details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by the gener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on the painting and compared it with other similar literary texts and paintings, and I finally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errors in translation in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From my point of view, the major mistranslation about the precedent studies was to consider the painting as the interpretation of literal text of Kwanseo-yuhefu (ꡔ關西樂府ꡕ written by Seokbu Shin, Kwang-su without any specific examination. In the result of my work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unidentified opinion that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was the drawing version of the Kwanseo-yuhefu might be corrected by following reasons. From my observa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 looked like military officers and the governor of Pyeong-an gave a banquet to welcome the young officers who won the title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state examinations. The first evidence supporting my opinion can be the facts that they had big parasols each on the horse, accompanied with entertainers such as dancers and musicians and the description on the all kinds of traditional folk arts at the banquet reminds us the journey which was commissioned for the winners of the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s service. Secondly, there was a documentation in October, the 6th regime of King Jeongjo, around AD.18C, which supported the background and the precise purpose of the creation of this painting. It was stated as that one day, King Jeongjo calle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ers in the province of the East-northern and sai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country. So let’s give a huge festival to celebrate the winners of the state examinations around the Dae-dong river”. And the king commended to his subjects to prepare screens after drawing all the details of the festival. In conclusion, with the evidences that I foun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should be reexamined and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ainting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winners of state examinations from Pyeong-an province, rather than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new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Let me discuss more about this in my next work which is going to handel with “A Study on the performing arts and banquet for the foreign guests in Pyeong-ya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