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리처드 스트롱을 통해 살펴본 식민지 필리핀에서의 미국 열대의학의 성격

        정세권 ( Se Kwon Jeong ) 한국과학사학회 2014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6 No.3

        This article examines Richard Pearson Strong`s (1872-1948) research on tropical diseases in the colonial Philippines. Because the United States belatedly joined the line of imperialism after laboratory medicine had been established, Strong`s tropical medicine in the colonial Philippines was based more on contemporary laboratory medicine than his colleagues in Europe. But his research methods showed heterogenous and hybrid characters. Although he identified etiological factors and conducted vaccine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he also adopted such traditional methods as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of symptoms and pathoanatomic investigations, particularly when dealing with unknown diseases like malta fever. In addition, the efficacy of a vaccine had to be measured against other kinds of vaccines, and for this reason, Strong carried out a series of large-scale human experimentations to verify his research on the cholera vaccine. The accident of cholera vaccine experimentation in Bilibid prison in 1906 showed both the uncertainty of Strong`s tropical medicine and the politics of colonial Philippines. By examining Strong`s research,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ractices of tropical medicin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ould not be wholly characterized as those of laboratory medicine, and that the uncertainty of vaccines on tropical diseases compelled the practitioners to draw on medical and political resources outside the laboratory.

      • KCI등재

        교양과학 교과목과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의 접목 : 숙명여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정세권(Jeong, Se-K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논문은 숙명여대에서 2013년부터 개설해 온 교양과학 교과목 강좌에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시도한 과정과 그에 대한 평가, 그리고 향후 교양과학 교과목과 글쓰기 교육의 접목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숙명여대는 2013년 교양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교양과학 교과목인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개설했다. 이 교과목은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 속에서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과학기술의 다양한 성격과 쟁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13년 하나의 강좌가 개설된 이래 여러 분반, 그리고 다른 주제의 교양과학 교과목이 증설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기여해 왔다. 또한 해당 교과목의 수강생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한 편 시청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를 작성하여 과제로 제출했고, 과학기술학을 전공한 교수가 간단하게 첨삭하는 방식으로 피드백해 왔다. 그런 와중에 2020년 2학기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구축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인 [사]을 활용하여 수강생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글쓰기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학생들은 강좌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고,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통하여 글쓰기 교육 전공자로부터 표현, 구성, 내용까지 다양한 글쓰기 지도를 받았고, 이를 수정하여 교수에게 최종 제출했다. 본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교과목에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접목했을 때 어떤 교육적 효과가 나올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향후 과학기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encounter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on-line writing feedback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20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rom lecture evaluations. While other universities has developed <Writ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courses for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and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since the early 2000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two specific backgrounds for this encounter. Firstly, the science liberal course, <Science,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has dealt with the history and social, moral, ethical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on science/technology, and additional courses have been installed until now.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itiated the project for innovation of liberal education in 2019, and this projec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In 2020, students at this course, after lectures dealing with some issues on biomedicine, had to submit review paper about a documentary on genetic diagnosis and personal, social questions to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Four experts on writing teaching read students" papers and made comments on expressions, structures, contents of papers via on-line feedback system, and students had to submit their revised paper to professor of this course.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write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s and targets,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of education have to be pondered on, and new experiment to integrate science liberal education with writing teach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educations which have been promoted at many domestic university about two decades.

      • KCI우수등재

        19세기 중후반 미국 의사들의 정체성 만들기

        정세권 ( Jeong Se-kwon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5

        본 논문은 19세기 말 미국 의사들이 직업적 정체성과 권위를 구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체계적인 의학교육 제도를 갖추고 의료 행위자들 사이의 역할 구분이 비교적 분명했던 유럽과 달리, 19세기 중후반 미국의 의학 지형은 상당히 혼란스러웠고 무질서했다. 도제식 훈련부터 상업주의적 의학교, 유럽식 교육을 본 딴 의과 대학 등 의학교육은 체계를 갖추지 못했고, 다양한 의료행위자들이 서로의 경계를 넘나들며 경쟁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외에서 유럽식 의학교육을 받은 미국의사협회 소속 의사들은 다른 의료행위자들과 경계를 만들고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축함에 있어, 전문적인 의학지식의 습득과 치료 행위뿐만 아니라, 의사들에게 부여되어 왔던 전통적인 ‘학식 있는 전문가’라는 기준을 내세웠다. 그리고 ‘학식 있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두 가지를 제시하는데, 첫 번째는 의학교육을 받을 자격 중 하나로 고전 인문교양 습득을 주장했다. 성직자, 법률가처럼 전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인문교양을 갖춘 전문가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지으면서, 젊은 의사들은 이런 인문교양을 습득하지 못한 다른 의료행위자들과 자신들 사이의 경계를 만들고 권위를 강조했던 것이다. 두 번째로 젊은 의사들은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학식 있는 전문가’의 도덕과 윤리를 강조함으로써, 상업적 이익만을 쫓거나 지나치게 전문적인 지식만을 중시하는 행위자들과 스스로를 구분하고자 했다. 과학적, 실험적 의학이 급격히 발달하던 19세기말, 미국 의사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권위를 구축함에 있어, 최신 의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학식 있는 전문가’로서의 자격과 품성까지 추가로 강조함으로써 이를 갖추지 못한 집단과 차별화하고자 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the strategies of American doctor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onstructing their identities and power, by examining the earl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modern identity of American physicians as ‘scientific experts’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medicines and the reform of medical education, which climaxed with the establishment of Johns Hopkins Medical School(1893) and the Flexner Report(1910). However the identity as ‘scientific experts’ was neither firmly fixed nor given to spontaneously, but had been constructed by strategies which American physicians had promoted carefully. Despite the contemporary developments of scientific medicines, American doctors referred to their discipline as a ‘learned profession’ which had been granted only to clergy and lawyers as well as physicians since the Middle Ages, emphasizing a liberal education comprising Latin, Greek, grammar, etc. The term ‘learned profession’ was a boundary to distinguish them from medical practitioners trained not at universities but at proprietary medical schools or under apprenticeships which could not teach liberal courses. Also, ‘learned profession’ was an effort to define their identity against those who had attempted to professionalize the profession exclusively and seek private interests only. These double boundary works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rejection of or ignorance to contemporary scientific medicines, but as intentional strategies to cope with confusing circumstances and to gain their professional pow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gaucher@naver.com)

      • KCI등재
      • KCI등재

        ‘시험관 아기’에서 ‘체외수정’으로? - 1970~80년대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언론 보도 변화

        정세권(Se-Kwon Jeong)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6

        This article aims to demonstrate how new science and technology would have been understood and accepted in the 1970~1980 Korea, by examining media reports on ‘test-tube baby’ and IVF. At first, newspapers focused monstrous ‘test-tube baby’ more than ‘In vitro fertilization’ itself, and described it as an unnatural, blue creature and a symbol of depressed future. These images of ‘Test-tube baby’ in the 1970s had been combined multifarious preconceptions on artificial insemination of animals and dystopian imaginations in literary works. But as Louis Browne in the U.K(1978) and the first ‘test-tube baby’ in the South Korea(1985) were borne, media gradually focused new science and technology itself, IVF and explained its economic values and future possibilities. In the media, IVF became research topics for medical experts and potential new products for maternity hospitals, and ‘test-tube baby’ developed to a hope for infertile couples. These changes in the media report reveal the unique Korean conditions for encounter with new reproductive technology and its soft landing, in respect that media deliver the news and establish the framework for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19세기 말 후발 제국 미국의 열대의학 연구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정세권 ( Se-kwon Jeong )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설립과 교육 과정을 분석하면서 19세기 말 미국의 열대의학 성격을 미국적, 그리고 세계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1893년 설립된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은 당시 혼란스럽고 모호했던 미국의 의학교육과 의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일종의 모범으로 간주되었다. 엄격한 심사 기준으로 일정 자격 이상의 학생을 선발했고, 유럽의 최신 실험의학과 병원의 임상실습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했다. 그리고 당시 새롭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열대의 질병에 대해 가르치고 전공자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미국의 의학 지형에서 독특한 지위를 지닌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에서의 열대의학 연구는, 유럽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공통점을 지녔다. 19세기 이후 해외 식민지를 구축하면서 제국주의적 팽창을 단행했던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열대 식민지를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열대의학을 하나의 학문 분야로 발전시켰다. 패트릭 맨슨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열대의학은 19세기 중엽 이후 급격히 성장한 실험의학의 영향을 받아, 실험실에서 병원체를 규명하거나 질병을 진단하고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후발 제국 미국의 해외 진출과 유럽 최신의 실험의학 도입이라는 두 축에서 진행된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교육과 열대질병 연구는 세계사적 큰 흐름 속에 있었던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미국 열대의학의 역사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열대 식민지에서 식민지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제국주의적 기획의 일환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초창기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19세기 말 미국의 의학지형에서 뿐만 아니라 유럽과의 관계에서 열대의학 교육과 연구의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characters of tropical medicine of the late empir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a local and global context, by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Johns Hopkins Medical School(JHMS) and medical education in JHMS and Johns Hopkins Hospital. Since its establishment in 1893, JHMS seemed to be norm to settle the identity of doctors and the system of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d been ambiguous and puzzling over a few decades. JHMS enrolled students on the basis of strict standards and instructed orderly educational program such as the newest European laboratory medicine and ample bedside practices. Furthermore, JHMS contributed to introduce tropical diseases and to train experts in tropical medicine such as Richard Pearson Strong. However, characters of medical researches on tropical diseases in the JHMS which seemed to be distinctive in domestic medical situation at that time, were similar to international tropical medicine. European empires, constructing many colonies and extending their powers since 19th century, developed tropical medicine as scientific discipline to rule colonies efficiently. European tropical medicine whose representative was Patrick Manson, had investigated the identity of pathogens and developed vaccines and drugs, influenced by laboratory medicine from the mid-19th century. Therefore, medical researches on tropical diseases in the JHMS, developing with abroad extensions of the late empire U. S. and introduction of European laboratory medicine, could be the same line with international trends. Although most researches had described the American tropical medicine as one of the imperial strategies to rule colonies, this paper examining early phase of the medical educations and researches of JHMS will contribute to demonstrate the characters of American tropical medicine in a local and global context in the lat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