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리브랜딩 프로젝트 -마케팅전략을 통한 디자인 문제점 해결을 중심으로-

        류혜나,박예진,손예빈,송혜진,이종화,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한국의 뿌리, 동양의 미의식을 동시에 지닌 숙명문화원의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그래픽, 제품, 공간의 통합 및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 시간적 범위는 2017년 3월~6월까지 조사대상은 브랜딩이 미흡한 숙 명문화원의 문신미술관, 숙명박물관, 숙명역사박물관, 정영양자수박물관으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브랜드스토리인 ‘문신의 작은 우주’는 조각가 문신의 가치관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미술관으로서 포지셔닝 되었다. 또한, 문신미술관은 디자인과 마케팅 측면을 융합하여 로고, 사인물, 에코백, 머그컵 및 전시기획 등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문신미술관의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논문 : 고령친화 주거디자인 개발을 위한 주거욕구 특성에 관한 연구

        류혜지 ( Hye Ji Ry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할 노인의 주거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써, 주거에서 가지는 다양한 주거 욕구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노인의 주거와 주거욕구에 대해 문헌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만 50세부터 69세를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욕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상관없이 모두 안정성 욕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안정성 욕구 다음으로 생리적 욕구가 크게 나타났고, 사회적 욕구와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주거욕구는 거주자의 상황에 따라 매슬로우의 이론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에서 연령과 컴퓨터 사용 수준이 5가지 주거욕구에 대해 모두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주택 형태는 집단간에 전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주거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고, 노인 주거디자인을 제안할 때에는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뿐만 아니라 주거욕구까지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연구와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pre-study for develop of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need. The study consisted of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between 50 to 6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reference for housing needs showed strongly in safety need. Second, the preference of belonging needs,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were different with the respondent`s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order of preference about housing needs was different with Maslow`s theory. Firth, the age and computer using ability were all different preference about fifth housing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constantl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needs for good quality of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

      • KCI등재

        지황음자(地黃飮子)를 포함한 한의 치료로 발성곤란이 호전된 파킨슨병 환자 증례보고 1례

        류혜,홍혜정,김경민,김영균,Ryu, Hae-rang,Hong, Hae-jeong,Kim, Kyoung-min,Kim, Young-ky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7 No.2

        Objectives: This case study reports on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reating Parkinson’s disease.Method: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pharmacopuncture. The improvement in Parkinson’s disease symptoms was measured using self-evaluation of the change in symptoms.Results: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appeared to show improvement in Parkinson’s disease symptoms.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suggest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y be a possible treatment option for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공간별 선호 특성

        류혜지 ( Ryu Hye-j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주거환경 개발을 위하여 현대 노인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현재 50대와 60대의 생활 유형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낮은 유형 8이 가장 많았고,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높은 경우인 유형 1이 두 번째로 많았다. 둘째,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침입 도난방지,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자동세탁, 건강 체크, 냉난방 조절, 지능형 욕조, 자동 청소, 지능형 운동기구, 가전기기 원격제어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공간별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거실에서는 환기 조절, 침실에서는 냉난방 조절, 부엌에서는 요리지원, 욕실에서는 높이조절 세면대, 현관에서는 침입 도난방지가 1순위를 차지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유형에 따라 유비쿼터스 주택에서의 공간별 계획 요소에 대한 요구 순서가 다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를 개발할 때에는 거주자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주거 디자인을 제안할 필요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preference about planning elements for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eight lifestyl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of surveyed people. Type 8 which was the lowest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peopl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ercentage in eight lifestyle types. Secon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type were security, gas leakage perception, fire control, automatic washing, health check, air-conditioning control, intelligent bathtub, automatic cleaning, intelligent sport outfits, home instrument remote control as in order. Thir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in the living room, ventilation control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Air-conditioning control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edroom, cooking support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kitchen, height control washstand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athroom, security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entrance.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surveyed people`s lifestyle type. I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me and prepared with individualiz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 지역활성화를 위한 폐교의 공간디자인 개선 사례에 관한 연구

        류혜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3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e design improvement of closed school for regional activ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ways of building activation and local characteristics and user-centered development was needed. Second, the current closed school of the country were over the 3,500 and Chungnam was the sixth in the nation. Third, the 25th closed school in Chungnam were being rented and training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social welfare and income generation facilities, public sports facilities were being utilized in order. Fourth, as the directly survey of the closed school in the Chungnam Boryeong Cheongsomyeon, it was possible that space was improved to change of small space, materials and color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building forms. 연구 목적은 지역활성화를 이루기 위한 건축물의 재활용 방안과 실제로 진행된 폐교 개선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폐교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사례조사를 이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활성화를 위한 건축물의 재활용방법은 다양하였으며, 지역 특성과 사용자 중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둘째, 현재 전국에는 3,500여개의 폐교가 있고, 충남은 전국 여섯 번째로 폐교가 많았다. 셋째, 충남은 25개 폐교가 대부 중이며, 교육시설, 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과 소득증대시설, 공공체육시설 순서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충남 보령시 청소면의 폐교를 활용한 개선 사례를 직접 조사한 결과, 기존의 건축물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인 공간 변경과 재료와 색채 변화로도 공간 개선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 노인요양시설 거주공간의 디자인 현황에 대한 연구

        류혜,진영란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4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9 No.1

        We performed mailed survey on the space design of 208 nursing homes. The results of thisstudy are as followed. Frist, the scale was quota 51∼100, building area above 1,000㎡, floor areaunder 1,000∼2,000㎡. Second, the building was one, two, or three-story building, shape ‘ㄱ’, withnurses' station. Third, bedroom had sliding doors, lever handle, Ondol(Korean floor), white coloredfluorescent bulb. Fourth, bathroom beside bedroom has shower chair and emergency call bell. Generally nursing homes met the standards of law, however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needto concern more. The government need to provide the basic living space design guidelines ofelderly and future-oriented nursing home.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3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 208개소를 우편 설문조사 하였다. 첫째, 규모는 입소 정원 51∼100명, 건축면적 1,000㎡ 이상, 연면적 1,000∼2,000㎡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시설은 지상 1∼3층, 건물형태 ㄱ자형, 의료 및 간호사실을 가장 많이 설치하였다. 셋째, 침실은 미닫이문, 손잡이는 레버형, 난방장치는 온돌, 백색 형광등이가장 많았다. 넷째, 침실에 부속된 화장실은 대부분 이동식 샤워용 의자, 비상 호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체로 노인복지법적 기준은 지켰지만,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요양시설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지침 개발

        류혜지 ( Hye Ji Ryu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예비 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고,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서의 디자인 요구 특성을 파악하여 주거공간 디자인 시 기초가 되는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추출된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요소에 대해 예비노인층인 30대부터 50대까지 450명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신체적 건강, 경제적 안정성, 사회적 활동 지수에 따라 조사대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적 건강, 경제적 안정성, 사회적 활동 지수가 가장 높은 유형 5가 전체 조사대상자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요구 순서가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 유형에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가장 높은 요구도는 침입도난방지였다. 다섯째, 모든 유형에 걸쳐 공간별로 가장 많은 요구도를 나타낸 요소는 거실에서는 환기조절, 침실에서는 냉난방조절, 부엌에서는 요리지원, 욕실에서는 높이조절세면대, 현관에서는 침입도난방지였다. 여섯째, 각 공간별 디지털 컨버젼스화를 희망하는 요소는 거실은 소파에 방문자 확인 스크린, 부엌 및 식당은 작업대에 가능한 조리음식 제안, 침실은 침대에 건강관리, 욕실은 세면대에 높이조절, 현관은 붙박이장에 침임도난방지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 적용가능한 디자인 지침들은 앞으로 거주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실용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elderly`s demand for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based on their lifesty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interview and web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aking 450 people with the age of thirty, forty and fifty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lifestyle types were divided into six cases according to physical health, economical stability and social activity of subjects. The second, type 5 which had the highest them was found to be the highest ratio in sixth types. The third, preferences on design element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were dependent on their lifestyles. The forth, the highest customer`s demand in design guideline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in most lifestyles was invasion and theft protection. The fifth, preference of demands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design was in the order of ventilation control in the living room, air-conditioning control in the bedroom, cooking support service in the kitchen, height control washstand in the bathroom, and invasion and theft protection. The six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stomer`s demand for the digital convergence of furnitures to each space in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Finall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esign guideline for the elderly-friendly housing should be adequately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their lifestyles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노인층의 선호 연구

        류혜,이연숙 디자인융복합학회 200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유비쿼터스 주택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을 조사하고, 그 특성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만 60 세부터 69 세의 노인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욕구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안전성의 욕구에 관련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가 가장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성의 욕구 중에서 가스누출감지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건강체크, 기억보조장치, 화상전화, 독서 지원에 대한 요구도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요구도 차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월수입이 가장 많은 집단간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을 합하여 가장 많은 집단간 차이를 보인 변인은 주택 규모로써 5 개 주거 욕구에서 20 개 항목에 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사회적 욕구와 관련된 디지털 액자와 화상전화가 가장 큰 집단간 차이를 보였고, 생리적 욕구와 관련된 원격 건강관리와 음식물 관리 항목이 집단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다양한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그에 따라 요구도의 차이도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노인들의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을 고려하여 각 집단간의 요구 특성에 맞는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를 추출하고 노인의 유비쿼터스 주택 디자인 계획에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he preference of elderly about the planning elements of ubiquitous housing. The study consisted of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between 60 to 6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needs for each housing need showed strongly in safety ne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respondent`s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computer using ability, educational background, sex, and house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 scope, house type, and ownership. Third, it was house scope i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which was the most difference n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constantl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propose the planning elements of ubiquitous housing for elderly.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혜,이정훈,조정원,Ryu, Hyein,Lee, Jeonghun,Cho, Jungw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은 실생활의 문제 중에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주요 주제로 선정하여 총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교육의 효과성 분석과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하였고, 수업 만족도는 교육 내용, 수업에 대한 재미, 수업의 난이도,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 등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I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help understand AI and to provide an experience of solving real-life problems by using AI,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I education system for K-12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as composed of a total of 12 lessons by selecting the self-driving cars, which is emerging as a recent issue among real life problems, as the main topic. Classes were conducted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software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of AI and the sense of AI efficacy were improved, and the class satisfaction was high in all items such as educational content, fun in class, difficulty of class, and interest in AI.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AI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