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발레 강사의 온라인 소통역량이 직무만족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지혜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5 문화예술융합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발레 강사의 온라인 소통 역량이 직무 만족과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전환 시대의 가속화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플랫폼과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특히 실기 중심의 무용 교육에서는 효과적인 상호작용 유지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소통 역량을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 상호작용 촉진 능력, 비언어적 전달 능력, 명확한 설명 능력의 네 가지 하위 차원으로 개념화하였다. 전국의 대학, 무용학원, 개인 레슨, 문화센터 등에서 활동 중인 발레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소통 역량의 네 가지 하위 요인은 모두 직무 만족과 자기 평가 기반 교육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과 상호작용 촉진 능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발레 교육 환경에서도 소통 역량이 교육 효과성과 강사의 직무 만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발레 강사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ballet instructors’ Online Communication Competence (OCC)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teaching outcomes in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s digital transformation continues to reshape educational settings, the use of online platforms and digital tools has become widespread. However, maintaining effective interaction remains a notable challenge in practice-based dance instruction. To address this, the present study conceptualizes OCC through four key dimensions: digital tool utilization, interaction facilit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delivery, and instructional clarity.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mong ballet instructo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private dance academies, cultural institutions, and freelance program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dimensions of OC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teaching outcomes. Notably, digital tool utilization and interaction facilitation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CC plays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instructors’ experiences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remote ballet education. Accordingly, the implementation of structured training programs to develop ballet instructors' digit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is strongly recommended.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에 따른 인구 이동 패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지혜,황우석,표경수,Jeong, Ji Hye,Hwang, Woosuk,Pyo, Kyungsoo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38 No.6
In 2022, wildfires broke out in Uljin-gun and Samcheok-si, which set the record for the longest forest fire in Korea, but there were no casualties. To protect local residents from wildfires, they must evacuate. Predicting the demand for evacuation in the event of wildfires is essential for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an mobility pattern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Uljin-gun and Samcheok-si wildfires. SKT floating population data wa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human mobility patterns in Uljin-gun and Samcheok-si.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movement of the resident and visiting population decreased, the movement of the worker population was found to be similar to normal. Second, the resident population of Buk-myeon, Uljin-gun moved to the surrounding area to avoid the wildfires. Third, the region is an area judged to be safe from wildfires, and this mobility patterns are related to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This study confirmed human mobility patterns of the population in the area where the wildfires through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which is quantitative data.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guide residents to shelters through emergency text messages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wildfires.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정지혜,양수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well-being indicators that form “mental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339 currently unemployed young adults(mean age=22.6, SD=2.7). Grit directly predicted young adult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n addition,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except that of grit and emotional well-being. Job-seek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the three types of well-be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does young adults’ grit promote various states of well-being by strengthening career calling but also by alleviating job-seeking stress. We furth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grit for young adults who face various uncertainties and instabilities and its role in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well-being.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그릿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취업 성인 초기 청년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에 적합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339명(남 155명, 여 18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릿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진로소명은 그릿과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취업스트레스는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발달단계에 놓인 청년들에게 미래지향적인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달성하고자 끈기 있게 노력하는 그릿이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진로결정 과업을 좀 더 건강하고 적응적으로 성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자신의 미래 목표를 설정하며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성인 초기 청년들에게 그릿의 발달과 고취의 필요성이 시사되며,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압수된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를 영장 없이 열람하는 것의 위법성 논의 : Riley v. California, 134 S.Ct. 2473 (2014) 판결을 중심으로
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4 Ewha Law Review Vol.4 No.2
In the case of Riley v. California, 134 S.Ct. 2473 (2014), the U.S. Federal Supreme Court held that interest in protecting officers' safety does not justify dispensing with warrant requirement for searches of cell phone data, and interest in preventing destruction of evidence does not justify dispensing with warrant requirement for search of cell phone data. The court also considered that a search of all data stored on a cellphone is materially indistinguishable from searches of physical items. The discussions in this case must be meaningful in the criminal procedure of Korea, where smartphones are widely used. In conclusion, though a cell phone can be seized legally without a warrant, search for digital information on the cell phone should be executed with a warrant. Firstly, warrantless search for the contents of cell phones cannot be justified by Arts. 216 and 217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rts. 216 and 217 determine the scope of the warrantless search and seizure legally accep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rticles, such as interest in protecting officers' safety or preventing destruction of evidence. However, because search for digital information on cell phones has almost nothing to do with officers' safety and preservation of evidence, warrantless search strays too far from the scope of legal warrantless search provided under the Arts. 216 and 217. In addition, Criminal Procedure Act requires there be a request for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within 48 hours from the arrest where warrantless search and seizure was done. However, the warrant requested after the arrest cannot sufficiently recover the incurred invasion of privacy. Secondly, warrantless search for cell phones without a specific scope of search cannot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relevancy with each case’ because, given the meaning of cell phone in the private life, the requirement should be more strictly interpreted and applied. Furthermore, from the proportional view, warrantless search for cell phone should be banned. According to Arts. 216 and 217, warrantless search is allowed for the interest in protecting officers' safety or preventing destruction of evidence. Hence,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cell phone exceeding this limit violates ‘the principle of the least invasion’. Also, the balance between the interest in protecting officers' safety or preventing destruction of evidence and privacy is lacked. Lastly, if warrantless search for cell phone is allowed, the invesigative agency can gather information regarding financial transactions or communication through the cellphone, neglecting necessary procedures provided by other laws. Riley v. California, 134 S.Ct. 2473 (2014) 판결은 영장 없이 적법하게 압수된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영장 없이 수색하는 것을 위법한 강제처분으로 판단하였다. 휴대폰을 체포에 착수한 ‘경찰관을 해할 무기’로 사용하거나 혹은 체포된 자의 ‘도주를 용이하게 할 도구’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일단 경찰관들이 휴대폰을 압수하면 ‘증거인멸의 방지’도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폰은 그 특성상 다른 물건을 수색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는점 또한 고려하였다. 대상판결의 논의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된 대한민국의 형사소송 절차에서도 고민해 볼 실익이 있다. 결론적으로 영장 없는 휴대폰의 수색이 형사소송법 및 관련법에서 갖는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영장 없이 휴대폰의 압수가 적법하게 이뤄지더라도 그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수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별도의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 우선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의 영장 없는 수색은 「형사소송법」 제216조 및 제217조에 의해 정당화될 수 없다. 「형사소송법」 제216조 및 제217조는 각각 해당 조문의 취지에 따라 피의자 또는 현행범인의 체포를 위한 불가결한 수색 혹은 체포하는자의 안전이나 증거물의 보존 등 제도의 취지상 압수수색이 허용되는 범위가 정해져 있다. 하지만 체포자의 안전이나 증거보존에 휴대폰 수색이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영장 없는 휴대폰의 수색은 각 규정에서 예정하고 있는 범위를 넘는 수색이된다. 또한 비록 형사소송법은 체포한 때부터 48시간 이내의 사후 영장청구를 예정하고 있지만, 사생활 침해의 특성상 사후영장청구로는 이미 발생한 피의자의 사생활 침해는 온전히 구제받을 수도 없다. 한편 구체적인 수색의 범위의 정함이 없는 영장 없는 수색으로는 적법한 강제처분으로서 ‘해당 사건과의 관련성’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휴대폰이 개인의 사생활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고려할 때, ‘해당 사건과의 관련성’ 요건은 다른 압수수색의 대상보다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의 수색에서 더욱 엄격하게 해석 및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수사의 비례성 원칙에 비추어 보더라도 영장에 의하지 않은 휴대폰의 수색은 위법한 강제처분에 해당한다. 영장 없는 강제수사는 「형사소송법」 제216조 및 제217조에 따라 체포 구속 전후 단계에서 체포자의 안전을 보장하거나 증거를 확보하는 한도 내에서 허용되는데, 이 범위를 넘어서서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까지 수색하게 하는 것은 ‘최소침해의 원칙’을 위반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강제처분 수사목적을 달성하여 얻는 체포자의 안전, 증거확보의 이익과 수사 활동으로 침해되는 사생활 보호의 이익 사이에 ‘균형성’도 결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영장 없이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의 수색을 허용할 경우, 다른 법에서 정한 절차적인 제한에 구속받지 않고, 수사 기관이 이를 회피하여 자유롭게 금융거래정보나 통신사실 확인자료를 얻어 이를 수사에 활용하는 불합리한 결과에 이를 수 있다.
미술치료에서의 빗속 사람그림(Draw-A-Person-in-the-Rain: DAPR) 검사에 대한이론적 고찰
정지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본 연구는 삶의 한 부분으로 일상생활 속에 깊게 자리하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을 알아보고자 미술치료에서 투사적 그림검사 중 현재 스트레스와 대처자원을 볼 수 있다고 연구되고 있는 빗속 사람 그림(Draw-A-Person-in-the-Rain: DAPR)검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지만 그에 대처하는 방식은 각자 다르다. 스트레스는 외부의 환경, 내적인 스트레스 상태, 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 관점에서는 스트레스 자체보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간의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빗속 사람 그림(Draw-A-Person-in-the-Rain: DAPR)검사 해석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은 대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적, 문화적 특징을 고려해야 하며 비의 의미가 국가 혹은 문화에 따라 다른 맥락으로 쓰이기도 하므로 그 의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에서 빗속 사람 그림(Draw-A-Person-in-the-Rain: DAPR)검사를 통해 그림 안에서 시각적으로 스트레스와 대처자원 및 대처방식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Draw-A-Person-in-the-Rain(DAPR) test which is known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to measure the stress and to identify the resources for examining the coping styles under stress. Most people have stress in their life, and they have their own coping styles. Stress includes external environments, internal stress conditions, and cognitive processes about the situations. However, coping with stress is more important than stress itself.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the DAPR reveals the coping styles under stress visually in a simple form of drawing test.
유방암 환자에서의 trastuzumab 주입관련반응 발생률 및 위험인자 분석
정지혜,김유진,여미진,박애령,김순주,황보신이,나현오 한국병원약사회 2018 병원약사회지 Vol.35 No.2
Background : Trastuzumab is a monoclonal antibody for use in the treatment of the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HER2) often overexpressed in breast cancer. One of its common side effects of this therapy use is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Conversely, it is noted that there are no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se side effects in patie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grounds to support the safe use of trastuzumab based on an analysis of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trastuzumab. Methods : We evaluated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the first trastuzumab between Jan 1, 2014 and June 30, 2015. For th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we collected the patient’s information retrospectively using the access to the patient’s secur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 In this study, a total of 91 patients were evaluated, and the total number of trastuzumab administration was with 270 cases.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were identified in 18 patients and the incidence was recorded at 19.8%. All infusion-related reactions were occurred during the first dose. And the symptoms began in the average timeframe of 76.5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incidence of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was 11.1% in patients receiving premedication, and 21.9% in the patients not receiving the premedication (p=0.31). Particularly speaking, the patients who were weighing more than 70kg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infusion-related reactions, than the patients who were known to weighing less than 70kg (odds ratio 5.23; 95% CI, 1.32 - 20.67; P=0.01). And the higher patient's body mass index tended to occur more infusion-related reactions (odds ratio 1.15; 95% CI, 0.98 - 1.35; P=0.08). Conclusion : Based on this result, in order to administer the trastuzumab safely, we suggest that the prevention guideline for the infusion-related reactions need to be utilized to consider the patient's body weight,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onitoring to continue until the latter half of the drug therapy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