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해방 직후 국가 건설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은 국어의 수립이었다. 국어가 가진 상징성이 형성,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역할은 막중했다. 한국어와 한국적 상황에 대한 방비가 없이 주둔하게 된 미군정 및 미군정 학무국 담당자들은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을 준용하고 조선어학회 저작의 교과서를 채택하여 국가 안정화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 교과서는 국민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이어서, 해방 직후의 출판 시장은 국정 및 검인정 교과서, 부교재 형태의 출판이 활황을 이루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 저작의 『중등국어교본』과, 교재류의 출판을 담당했던 여러 출판사들 중 조선어학회와의 관련성이 짙은 정음사 부독본총서를 살핌으로써, 해방기 국어와 국어 정전의 형성 과정을 살폈다. 국어의 형성뿐 아니라 국어 정전의 형성을 살필 수 있는 이유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교재류가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묶은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간행된 정음사 부독본 시리즈는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 정인승의 『한글독본』, 2권 송시열의 『우암선생계녀서』, 3권 최영해의 『조선시조집』, 4권 김원표의 『조선속담집』, 5권 김병제의 『조선어철자편람』, 6권 박태원의 『중등문범』이다. 각 권 담당자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조선어학회와 관련을 맺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출간된 국정 『중등국어교본』과 비교하였을 때 드러나는 해방기 독본의 공통점은, 식민지 시대에 유통되었던 작품들 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것이 국어의 성립과 나아가 국가의 성립을 뒷받침하는 기제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첫 번째가 청춘, 청년, 봄 등을 소재 및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양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새 시대의 약동하는 힘과 의지, 비전을 제시하여 새 시대의 국민의 자세를 함양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계절을 비롯하여 날씨나 자연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개별자로서의 경험보다는 추상적인 형태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생활과 기억의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국어 및 한글이라는 역사성 속에 교과서를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정음사 부독본총서의 공통점 중 하나가 한문학 기억에 대한 소거인데, 책의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 맞춤법 규정이나 작품의 본문에 제시된 (자주 틀리는 표기에 붙은) 방점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글간소화파동을 전후로 하여 조선어학회의 영향력 쇠퇴가 드러나고, 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강화된 반공 국시의 풍토는 다시 한 번 교과서 및 독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비교도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기음화와 어문 규정

        송홍규 ( Hong Kyu Song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어문 규정의 ``로마자 표기법``과 ``표준발음법``에서 ``ㅈ`` 역행적 유기음화를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두 규정에 따르면 ``ㅈ`` 역행적 유기음화는 단순한 축약 현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축약 현상에 구개음화가 동반된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두 규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축약에 이은 구개음화의 결과로 ``ㅈ`` 역행적 유기음화를 설명하기 위한 음운 변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음운 변화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저형에서 표면형으로의 도출에 필요한 각각의 음운 변화가 일관되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필 필요가 있다고 보고, 도출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각의 음운 변화, 즉 평폐쇄음화, 자음군 단순화, 구개음화와 관련된 조항들을 살펴보았다. 국어 화자의 정확하고 바른 언어생활을 위하여 교육적인 측면에서 어문 규범의 숙지와 활용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그에 대한 교육 방향은 개개의 규정의 암기보다는 원리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이해를 중시하고 있다. 한 음운 현상에 대한 이해는 기저형에서 표면형이 도출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각의 음운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이것은 어문 규정의 조항이 그런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각 음운 변화와 관련된 어문 규정의 조항들의 검토를 통해 그것들이 제시된 도출 과정을 위한 충분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런 과정 속에서 지적된, 보완이 필요한 어문 규정의 조항들은 원리에 의한 어문 규범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Regulation of romanization of Korean`` and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explain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onsist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considering the two regulations,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an be treated as either simple coalescence or palatalization following coalescence. While examining the two regulations, this paper proposed a phonological process explaining how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coalescence followed by palatalization. In order to access the validity of proposed process, it is needed to check whether each phonological change involved in the derivation of ``ㅈ`` aspiration is properly described i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hus,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visions related to coda neutraliz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palatalization. For the proper language use of Korean speakers, the education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has been emphasized, and the education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rather than memorization of each provision. The understanding of a phonological process requires understanding all phonological changes taking place in the derivation from the underlying form to the surface form. Thus, provisions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have to provide proper explanation of the phonological changes. While examining the provisions relevant to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this paper showed that the provisions are not described in the way that they provide sufficient and clear explanat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scription of some provisions has to be reconsidere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education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emphasiz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 KCI등재

        오규원 시의 정치성 연구

        박동억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3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litical nature or perceptions of the city of Oh kyo-Won, including the third poetry collection For Children Not Princes(1978) to Love Prison(1991). The political awareness of the poet Oh kyu-won seems to start from the feeling that he belongs to the 4․19 revolution. His political perception is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he criticizes the "freedom" idealism, and uses irony to express the complex aspect that the word freedom can be a way to rationalize small-citizen greed and a discourse to rationalize the logic of domination. On the one hand, he criticized the fact that idealized notions of freedom and equality idea in a way that rather ignores the difference in real life. In order to throw away the abstraction of ideology, he uses sensory and emotional words such as 'dirty' and 'sadness' to make us critically recognize ideology at our daily level. Finally, poet Oh Kyu-won tries to overcome the abstraction of national ideology that replaces individual human suffering with ideological logic. He plans a day image to escape the human-centered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humans as the subject of describing the world. He presents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recognizes nature as an endless continuum that responds to each other through the form of directives and lists. In summarizing these insights, Poet Oh kyu-won not only deeply understood that modern politics is not an institutional or legal rule. 오규원 시인의 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미학적인 측면이나 생태학적․ 불교적․현상학적 사상의 측면에서 행해져왔다. 이에 비해 오규원 시의 정치적 측면은 창작의 제재로서 부차적인 것으로만 다루어지거나 극히 일부의 연구에서만 다루어져왔다. 이 글은 오규원 시의 정치성 또는 정치적 인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으로서 중기시에 해당하는 세 번째 시집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 (문학과지성사, 1978)부터 후기시집의 일부인 사랑의 감옥 (문학과지성사, 1991)까지 수록된 작품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오규원의 정치적 자각은 자신이 4․19세대에 속해있다는 감각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규원의 규정에 따르면 4․19세대란 한문과 일본어가 아닌 한글로 교육받게 된 세대이자 4․19혁명을 체험함으로써 스스로 대문자 주체임을 자각한 최초의 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정치적 인식은 세 가지 양상으로 이해된다. 우선 그는 ‘자유’ 이데올로기를 중점적으로 비판하면서, 자유라는 말이 소시민적 탐욕을 합리화하는 방편이 되기도 하고 지배의 논리를 합리화하는 담론이 되기도 하는 복합적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 아이러니를 활용한다. 한편으로 그는 이상화된 자유․평등 관념이 오히려 실정적 삶의 차이를 묵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비판했다. 이데올로기의 추상성을 벗어던지기 위해서 그는 ‘더러움’과 ‘서러움’과 같은 감각어․감정어를 사용하면서 우리의 일상적 차원에서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도록 만든다. 그러한 감각어들은 현실을 자명한 것으로 합리화시키는 ‘논리’ ‘질서’ ‘이성’에 대한 저항의 기호로서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규원은 개개 인간의 고통을 이념논리로 치환하는 민족 이데올로기의 추상성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인간을 곧 세계를 서술하는 주체로 이해하는 인간중심적 관점을 벗어나기 위해 날이미지 시를 기획하게 된다. 그는 지시어와 나열의 형식을 통해 서로 호응하는 끝없는 연속체로서 자연을 인식하는 생태현상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통찰들을 종합할 때 오규원은 현대정치가 제도적․법률적 통치가 아닌 담론화되어 있고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내면화된 양식이라는 사실을 깊이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그 복잡성을 시 장르에 재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의 편찬과 고시조 정전화 과정 - 육당, 자산, 가람을 대상으로 -

        김창원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In 1910’s several gosijo(古時調 korean pre-modern poetry genre) anthologies began its existence. They were named Kogeumsijoseon(古今時調選) compiled by Choinamseon(崔南善), the classic gosijos(模範의 古時調) was compiled by Anhwak(安廓), gosijoseon(古時調選) and yougdaesijoseon(歷代時調選) were compiled by Leebyounggi(李秉岐). Those anthologies have various way of editting. Choinamseon intended sijo to be typical national mode lasting for a long time. Thus, he selected sixty pieces of sijo from Cheongguyoungun(靑丘永言). They were organized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Seongchung(成忠)’s of Baekje(百濟) to Yoondusu(尹斗壽)’s of Josun dynasty(朝鮮). Choinamseon selected only Pyoungsijos(平時調). He excluded other type of sijos like saseolsijos(辭說時調). And he only selected sijos writtened by noble men and kings. Thus, he intended to show that sijo was sung by the most educated people in our nati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Anhwak focused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sijo. He selected 100 pieces of sijo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echniques. They were six kinds of category, which were hoego(懷古 looking back upon the past), biyou(比喩 metaphor), kyoungmul(景物 natural features), hanjeong(閑情 peaceful feeling), gamhoe(感懷 emotion), bangun(放言 saying without reserve). These expression techniques were from Hansi(漢詩 chinese pre-modern poetry). Thus, we may conclude that he intended to understand sijo through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Hansi. Whereas, Leebyounggi focused on the old traditional emotion, figuration, and elaborating of national language. From that view he selected many sijos which were written in pure beautiful korean language. Thus, many sijos which were written by unknown poets(無名氏) and many gisaengs’ sijos were able to be selected. His anthology has influenced widely our understanding of sijo. 1910년대에 들어서 문학작품으로서 고시조를 모은 앤솔로지가 등장한다. 육당 최남선의 「고금시조선」, 자산 안확의 「모범의 고시조」, 가람 이병기의 「고시조선」과 『역대시조선』이 그것이다. 이들 앤솔로지들은 각각 다양한 방식으로 시조를 수록하고 있다. 「고금시조선」은 시조 역사의 장구성을 통해 그것이 우리 역사에 있어서 가장 유구한 전통을 가진, 가장 민족적인 시형식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안확의 「모범의 고시조」는 시조의 역사적 배치 대신, 표현기법이나 수사를 중심으로 하여 시조를 선별 수록하고 있다. 특히 한시의 표현기법이나 수사학이 문학으로서의 시조의 세계를 이해하고 작품세계의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한 원리가 되었다. 이병기의 「고시조선」과 『역대시조선』은 이상 두 앤솔로지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조를 수록하고 있다. 이병기에게 있어서 좋은 시조를 가늠할 수 있는 눈금은 민족어의 조탁과 형상력, 민족 정서였다. 그리하여 가람의 앤솔로지는 우리말의 조탁과 형상력이 뛰어난 무명씨 시조들을 대거 수록하고 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기녀들의 시조를 집중 수록하고 있다. 우리가 시조 가운데 좋은 작품으로 알고 있거나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작품들은 거의 「고시조선」과 『역대시조선』에 실린 것들이다. 그만큼 가람의 앤솔로지가 잘 만들어졌고 시조 정전화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방법 연구 -자기 소개서 작성을 중심으로

        박순원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riting as self-formation process’ and to exhibit it’s method of learning. And through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writing of self-reflection’ and ‘writing for practical purposes’ is not differ. ‘Study of Writing as self-formation process’ forms the content on the basis of various studies of writing as liberal education. The method of ‘writing as self-formation process’ util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dopt a perspective to renew themselves through writing than a means of self-expression. In addition, its denotation can be expanded if the studies taking a viewpoint that writing is a flexible and dynamic process presented. In Self-introduction letter submitted by students, unnecessary ornamentation frequently be found because of obsessive-compulsive on the expression. About these problem, a more fundamental change in writing will be devised if you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Self-formation’ not the rhetorical dimension. Under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preparation, it is essential that we should check our society, the ability of each of us and job each of us trying to get. It is natural that who carefully checked the situation write a good article. Writing for the purposes of employment should have terms of self-reflection. And through ‘study of Writing as self-formation process’, employment can be achieved. Practical writing lacked of self-reflection is neither correct nor effective. 이 연구는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전개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취업 목적의 글쓰기를 하나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교수·학습할 수 있는 지평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는 대학 교양 글쓰기에 대한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논의를 수용하여 그 내용을 형성한다. 즉 글쓰기를 자기표현의 수단보다 자기를 갱신하고 변화를 꾀하는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의 성과를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글쓰기를 어떤 상태를 기술하는 차원을 넘어선,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는 논의들이 제시된다면 계속 그 성과를 수용하여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 실제 학생들이 제출한 자기소개서에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표현하려는 강박으로 인해 불필요한 수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단지 글을 매끄럽게 다듬는 수사적 차원이 아니라, ‘자기 형성’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글쓰기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꾀할 수 있다. 취업을 앞둔 상황에서 우리 사회에 대하여, 자신이 몸담고자 하는 직업과 직장에 대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성찰하고 점검하는 일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깊이 있게 성찰하고 꼼꼼하게 점검한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좋은 글을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도 자기 성찰적 관점이 유지되어야 하며, ‘자기 형성 과정의 글쓰기’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자기 성찰이 결여된 실용적 글쓰기는 옳지도 않고 효과적이지도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창가 교과서 『보통학교보충창가집』 연구

        박민영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the slogan of ‘Japanese-Korean Fusion and Harmony(Ilson yunghwa)’ is embodied in ‘Japanese-Korean Fusion and Harmony(Ilson yunghwa)’ during the Culture Governance Era and what the Collection genuinely aims for. Chapter Two summarizes the backgrounds of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In 1922,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nounced the Second Chosun Education Ordinance, in which Chosun’s education system was to be reformed to copy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under the slogan of ‘Japanese-Korean Fusion and Harmony (Ilson yunghwa)’ in pursuit of the harmony between Korean and Japan. The school songs in this period wer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he main textbook in class was Shimsang School Songs for Primary School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was planned and published as a supplement to the main textbook by resorting to ‘Korean materials.’ About half of the lyrics that entered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were those adopted from the ‘Common School Song Contest.’ Unlike our expectations, the adopted lyrics faithdully reflected the Japanese dominant ideology. Chapter Three summarizes th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he Collection. In the Collection, Chosun’s figures, geography and customs are frequently mentioned. It is very unique that it includes 21 school songs in Korean. However, most of the lyrics with ‘Korean material’ were compsed in Japanese traditional scales and beats. The Korean materials simply played the part of implanting Japanese dominant ideology and Japanese sentiments. Chapter Fou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A number of songs in The Collection are about harmonious co-existence of Japanese and Korean people. However, the ‘harmony’ they insisted on means ‘assimilation,’ in which one side practically gave up on their ethnical identity. In this sense, the ‘harmony’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ommon Ancestor (Ilson dongjo) Theory’ which had been the slogan during the Military Police Rule Era. During the Culture Governance Period,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mplanted ‘the Common Ancestor Theory’ more deeply. At the same time, the Collection is deeply related to other textbooks of the same period in the extra-textual sense, so it had the effect of educating the Korean students with the core messages in the lyrics from reading books and ethics book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was used as a tool for efficient colonial rule during the Culture Governance.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일제가 문화통치 시기에 내건 ‘일선융화’ 혹은 ‘일시동인’의 구호가 『보통학교보충창가집』에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며, 이 창가집이 실제로 지향하는 바를 가늠해 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보통학교보충창가집』의 출간 배경을 개관했다. 일제는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을 발표했다. 일본과 조선의 조화로운 화합을 지향한다는 ‘일선융화’의 구호 아래 조선의 학제는 일본과 동일하게 개편된다. 이 시기 창가는 독립된 교과목으로 인정된다. 창가 과목의 주교재는 일본 문부성에서 편찬한 『심상소학창가』였다. 일제는 이 책의 보충교재로서 ‘조선적 제재’를 활용한 『보통학교보충창가집』을 기획한다. 『보통학교보충창가집』에 수록된 가사의 절반 정도는 일반인 대상 ‘보통창가 공모’를 통해 채용됐다. 공모전에서 채용된 가사는 우리의 기대와는 다르게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충실히 반영했다. 3장에서는 이 책의 체제와 내용을 정리했다. 『보통학교보충창가집』에는 조선의 인물과 지리, 그리고 풍물이 다수 등장한다. 21편의 조선어 창가를 수록한 것도 특이한 점이다. 그러나 이 ‘조선적 제재’의 가사들은 대부분 일본 고유의 음계와 박자로 작곡되었다. 조선적 제재는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일본적 정서를 보다 용이하게 이식시키는 역할을 했다. 4장에서는 『보통학교보충창가집』의 특성을 살펴봤다. 이 책에는 조선인과 일본인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노래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이 표방한 ‘융화’는 실질적으로 한쪽이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포기한 ‘동화’였다. 이는 무단통치기 일제의 지배이념이었던 일선동조론과 다르지 않다. 이 시기 일제는 융화 교육을 통해 일선동조론을 심화시켰다. 또한 이 책은 텍스트 외적으로 동 시기 타 교과서와 적극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독본과 수신서의 핵심 내용을 노랫말로 다시 한 번 학습시키는 역할을 했다. 『보통학교보충창가집』는 문화통치기 효과적인 식민지 지배 교육의 도구로 이용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문혜윤 ( Hye Yoon Moon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 KCI등재

        문자생활사 교육의 의의와 내용 연구

        이철기 ( Cheol Gi Lee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국어는 음성적 차원과 표기(문자)적 차원으로 나뉘어 공존한다. 따라서 국어 문법 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도 두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후자는 옛글 또는 문자에 관련된 내용으로, 기존의 문법교육에서 훈민정음 제자원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창제의 역사 못지않게 사용의 역사에 대해 아는 것 역시 우리 문자의 소중함을 깨닫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선인들의 문자 사용의 역사에 관한 교육을 ‘문자생활사 교육’으로 지칭하고, 문법교육 내에서 문자생 활사 교육이 어떤 의의를 지니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과 자료로 구성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자생활사 교육은 국어를 보다 다각적인 관점에서 탐구할 수 있는 대상으로 확장시킨 국어생활사 교육의 관점을 수용하고 있지만, 국어생활사 교육에 비해 국어교육 내에서 다룰 만한 정체성이 뚜렷하다. 또한 기존의 국어사교육 내에서 문자에 관한 교육 내용이 훈민정음과 그 제자원리에 편중되어 있었던 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삶과 문자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을 교육 자료로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우리 문자의 소중함과 가치를 일깨우고 현재의 문자생활을 성찰케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자생활사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기에 위해 ‘문자 사용의 역사’, ‘문자에 대한 교육의 역사’, ‘문자에 대한 의식의 역사’, ‘문자 관련 정책의 역사’의 네 가지 내용 체계를 먼저 제시한 다음, 각 내용 체계에서 다룰 수 있는 세부 내용 요소와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의 예들을 언급하였다. Korean language coexists with two aspects; One is verbal aspect and the other is written aspect. Therefor, Korean grammar education is able to cover the two aspects. The latter is contents about old writing and script. It has usually consisted of contents about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which was created by King Sejong in 1443. But If students can realize preciousness of our alphabet, we have to teach history about the use of character as well as the creation of character. In this respect, I called the educ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character in the past as ‘the education about history of life using characters’. I discusse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about history of life using characters, and what do we choose contents and teaching material in order to teach it as well. First of all, I offered four kinds of superordinate contents: ‘A history about how characters have been used’, ‘A history about how characters have been taught’, ‘A history about people’s awareness of characters’, ‘A history about the policy of characters’, as educational contents about history of life using characters. Then I refer to details contents and example of teaching material which could be covered in each of the superordinate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