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축 방향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지반-구조물 상호작용계의 비선형 지진응답 해석

        이진호,김재관,김정한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6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9 No.4

        이 연구에서는 3축 방향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지반-구조물 상호작용계의 비선형 지진응답 해석을 수행한다. 비선형 거동 이 예상되는 구조물과 지반의 근역은 비선형 유한요소에 의해 모형을 구성한다. 기하학적 형상과 재료 성질이 균일하고 선 형 거동을 가정하는 원역지반은 무한 영역으로의 에너지 방사를 정확히 고려할 수 있는 3차원 perfectly matched discrete layer에 의해 수치 모형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지반-구조물 상호작용계의 수치모형을 사용하여 3축 방향 지반운동이 작용 하는 비선형 지진-구조물 상호작용계의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한다. 3축 방향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지반운동의 특성에 따라 시스템의 응답이 우세하게 발현되는 방향이 존재하고 그 수준 또한 정밀한 지진응답해석을 통해 산정하여야 한 다. 이 연구의 해석기법은 구조물과 지반의 재료 비선형 거동, 기초와 지반 경계면에서의 경계 비선형 거동 등 다양한 비선 형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에 확장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nonlinear earthquake responses of a soil-structure interaction(SSI) system which is subjected to a three-directional ground motion are examined. The structure and the near-field region of soil, where the geometry is irregular, the material properties are heterogeneous, and nonlinear dynamic responses are expected, are modeled by nonlinear finite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 infinite far-field region of soil, which has a regular geometry and homogeneous material properties and dynamic responses is assumed linearly elastic, is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perfectly matched discrete layers which can radiate elastic waves into infinity efficiently. Nonlinear earthquake responses of the system subjected to a three-directional ground motion are calculated with the numerical model. It is observed that the dynamic responses of a SSI system to a three-directional motion have a predomina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motion. The responses must be evaluated using precise analysis methods which can consider nonlinear behaviors of the system accurately. The the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easily to boundary nonlinear problems as well as material nonlinear problems.

      • KCI등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설계 (1): 구조해석 비교연구

        권영주,Kwon, Young-Jo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5 No.5

        본 논문은 두 편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설계에 대한 논문 중 첫 번째 논문으로 먼저 치과용 임플란트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사용 중인 대표적인 치과용 임플란트들의 장단점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임플란트 구조모델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새로운 구조형상의 임플란트에 대하여 기존의 대표적인 임플란트들과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이용한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적 성능의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한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은 3i 임플란트 제품과 Sargon 임플란트 제품이다. 이들은 모두 수입 제품들인데 임플란트 종류 및 특징 조사 결과 현재 임상으로 사용 중인 임플란트들은 대부분 골내식립형인데 이들도 그들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first paper among two papers which constitute the paper about the structural design of a dental implant. This paper survey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ntal implants. Merits and shortcomings of clinically used dental implants were analysed through this survey. A new structural model of dental implant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Especially, a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the new dental implant and the well known dental implants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 newly proposed dental implant has a good structural performance. The well known dental implants used for the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are 3i implant and Sargon implant. These implants are imported dental implants and we could know that most implants clinically used are endosteal implants and these two implants(3i implant and Sargon implant) are also endosteal implants.

      • 우리나라의 갈릴레오 탐색구조 지상시스템 개발 참여 방안

        주인원,이상욱,김재훈,서상현,한동수,임종근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

        COSPAS-SARSAT 시스템은 위성체와 지상 설비를 이용하여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이 조난 시에 탐색구조(SAR: Search and Rescue) 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조난경보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COSPAS-SARSAT 서비스의 경우, 조난신호 접수에서 조난위치확정까지 평균 1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위치정확도가 수 Km 정도로 범위가 넓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궤도 위성을 이용한 차세대 탐색구조 시스템 개발이 추진 중에 있으며 EU에서 2011년 FOC(Full Operation Capability)를 목표로 개발중인 갈릴레오 항법위성 프로젝트의 경우 SAR 중계기를 탑재하여 탐색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에 있다. 갈릴레오 탐색구조(SAR/Galileo) 서비스는 수 m급의 위치정확도, 10분 이내의 조난신호 접수에서 구조까지 소요시간, 및 조난자에게 회신링크 서비스 제공 등 보다 향상된 탐색구조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 중에 있으므로, 갈릴레오 위성 서비스가 시작되면 탐색구조시스템 체계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COSPAS-SARSAT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현재 송도 해양경찰청 내에 LEOLUT와 MCC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날로 더해가는 다양한 재난에 대한 인명구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차세대 갈릴레오 탐색구조 지상국 도입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탐색구조 단말기를 포함한 지상국 인프라의 구축 등 갈릴레오 탐색구조 지상시스템 개발의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는 매우 시기적절하고 중요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갈릴레오 사업에 참여하여 SAR/Galileo 개발을 주관하고 있는 중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 우리나라가 차세대 갈릴레오 탐색구조 지상시스템 개발에 참여하기 위해서 필요한 참여방법 및 절차 등을 도출하고, 참여 가능한 개발범위, 참여전략 및 추진체계에 대해서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경골목조틀 전단벽이 삽입된 중목구조 골조의 수평 거동성능 평가

        권용현,양원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1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 산업 분야에서는 친환경 및 재활용 가능한 자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목재를 사용한 건설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목재를 사용한 목구조 건축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접합부 및 집성목의 개발을 통해 국내 내화성능 기준을 충족하는 5층 이상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산림청의 조사 결과 건축 허가 통 계건수에 따르면 최근 20년 동안 국내 목구조 건축물의 건축 허가 건수는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건축산업에서 목구조 건축물의 착공 수는 증가하고 있다. 반면, 최근 2016년 및 2017년에 경주·포항지역에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소규모 건축물 등 민가 건축물에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017년 이후 건축물의 구조 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의 범위는 확대되는 법이 개정되었다. 그러나, 산림청에서는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 설계 경험 및 전문인력의 부족의 이유로 해당 법 시행에 대하여 유예를 건의하였으며, 목구조 건축물의 구조 안전 확인 대상 범위는 3층 이상, 연면적 500m2 이상으로 예외 조항이 포함된 상태로 법이 개정되었다. 이는 국내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 대부분 2층 이하의 단 독주택으로 구조 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 범위 밖에 위치 해있어 구조 안전 확인에 대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소규모 건축 목구조[KDS 42 50 10]에서 중목구조의 경우 수직 하중은 기둥-보 골조로 지지하며, 기둥-보 모멘트 골조의 수평 저항성능이 부족한 경우 수평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 11mm 이상 구조용 합판 또는 구조용 OSB합판이 설치된 경골목조틀 전단 벽을 설치해야 하며 전단 벽체의 길이 및 배치에 대한 제 한을 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소규모 건축 목구조 [KDS 42 50 10] 기준에 따라 설계된 소규모 목구조 건축 물은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함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소규모 건축 목구조[KDS 42 50 10]에 의거하여 설계된 중목구조 건축물의 골조 시험체를 제작하여 수평 저항에 대한 거동성능을 정적 반복 가력 실험을 통해 평가하며, 중목구조 건축물의 수평 저항 요소 인 기둥-보 골조 및 경골목조틀 전단벽에 대한 실험을 계획한다. 시험체는 순수 경골목조틀 전단 벽체, 중목구조 건축물의 순수 기둥-보 골조 및 경골목조틀 전단벽이 삽 입된 골조의 3가지에 대해서 실험한다. 시험체별 수평거동 성능은 하중-변위 곡선을 통해 최대 내력, 최대 변위, 강성 및 에너지 특성을 분석하여, 구조 안전 확인을 위한 해석에 필요한 수평 거동 특성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wood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joint connections of column-beam andlaminated wood, wooden structures have met the standards for constructing buildings with five or more floors. However, most woodenstructures in Korea are two-story or less buildings that are not subject to structural safety confirmation. This is a limitation of domestic woodstructure construction technology, which lacks professional manpower and design experience, and indicates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designof wood structure buil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wooden structure buildings against horizontal force areidentified through experim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me resists the vertical load and the wall resists the horizontal loadin the heavy-wood structure building.

      • KCI등재

        기기의 지진취약도 평가를 위한 구조물 비탄성구조응답계수의 재평가

        박준희,최인길,Park, Junhee,Choi, In-Kil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3

        There are a lot of equipment related to safety and electric power production in nuclear power plants. The structure and equipment in NPPs were generally designed considering a high safety factor to remain in the elastic zone under earthquake load. However it is needed to revaluate the seismic capacity of the structure and equipment as the magnitude of earthquake was recently increased. In this study the floor response due to the nonlinear behaviors of structure was analyzed and the inelastic structural response factor was calculated by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The inelastic structural response factor was calculated by the EPRI method and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to realistically evaluate the seismic fragility for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represented that the inelastic structural response factor was affected by the natural frequency of equipment, the location of equipment and the dynamic property of structure. 원자력발전소에는 전력생산과 안전과 관련된 수많은 기기들이 존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구조물과 기기는 지진시 탄성거동올 목표로 안전율을 매우 높게 적용하여 설계해 왔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지진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설계수준을 초과한 지진에 대한 기기의 안전성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에 의한 층응답을 분석하였고, 비선형해석에 의한 구조물의 비탄성구조응답계수를 재평가하였다. 기기의 지진취약도 평가시 구조물의 비탄성구조응답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재평가된 구조물의 비탄성구조응답계수와 기존에 사용되어온 구조물 비탄성구조응답계수를 적용하여 지진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비탄성구조응답계수는 기기의 고유진동수, 기기의 위치 그리고 구조물의 동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업구조 전환기의 자동화기술의 확산전략 및 정책

        박용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4 정책연구 Vol.- No.-

        1. 산업구조의 전환기적 인식과 새로운 정책기조현재 우리나라의 塵業構造는 산업간의 구조조정이 안정기 내지 정체기로 들어서고 또한 산업구조의 내용이 선진국형에 접근함에 따라 미래성장산업, 성숙산업, 구조불황산업이 混在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高度化· 合理化를 지향해야 하는 중대한 「轉換期」에 서 있다. 따라서 현재의 산업정책이 안고 있는 최대의 과제는, 과거와 같은 급격하고 인위적인 산업구조정책보다 각산업의 내실있는 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산업발전단계와 기술내용이 서로 다른 다양한 산업분야들을 「함께 살릴 수 있는」 종합적이고 공통적인 기술요소와 정책수단을 개발,시행하는데 있다. 즉, 생산공정의 개선, 제품의 차별화 ? 다양화, 고부가가치화등을 통해 개별산업의 차별적 자생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보다 중요한 산업정책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 산업구조의 轉換期的인식은 먼저 이른바 선진국형 산업구조의 특징을 기초로 우리와 선진국간의 비교를 통해 우리의 산업구조가 선진국형에 근접해 있다는 실증분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선진국형 산업구조의 특징은 국가간 구조가 매우 유사하며 나아가동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지극히 부분적인 조정만 일어날 뿐 그 변화추이가 매우 안정적인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우리의 산업구조가 ’80 년대를 통해 경험한 것과 같은 급격한 구조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후기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산업구조의 질적 고도화가 지속될 경우 모든 선진경제권의 구조가 하나의 典型的인 형태로 수렴한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선진국들이 이미 유사한 산업구조 형태를 향해 수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한편 우리의 산업구조가 이미 선진국형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은 다양한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앞에서 제시된 推論을 따른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70년대」의 구조와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이미 산업구조의 정체기에 들어섰다는 假定하에 r2000 년 이후」의 구조와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이러한 추론을 받아 들인다면 앞으로의 산업정책과 기술정책의 결합구조는 어느 정도 분명해진다. 즉, 많存塵業에 대해서는 그 내용과 분포가 장기간 지속된다는 전제하에 산업정책의 기조는 특정산업을 선별적으로 육성하거나 일부산업을 의도적으로 도태시키는 구조정책이 아니라 개별산업의 자체적인 경쟁력을 유지 · 강화시키는 방향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정책이 보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나 이른바 新塵業에 대해서는 기술정책이 산업정책에 우선함으로써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기반의 확보가 선행되면서 점진적인 산업정책의 수행을 통해 하부구조를 갖춰 나가는 전략이 구사되어야 한다.2. 자동화기술의 산업연관성과 필요성산업구조가 중진국형에서부터 선진국형으로 移行하는 轉換期에는 크게 새로운 「問題」가 야기되거나 새로운 「條件」이 요구된다. 따라서 산업구조가 선진국형으로 성공적으로 변화하거나 선진국형에서 지속적인 고도화 ? 합리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러한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생겨나는 것이다.산업구조의 고도화로 파생되는 문제들로서는 노동구조와 임금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즉, 노동구조의 변화로 인한 전체노동력의 부족 또는 산업간 불균형분포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임금수준의 전체적 상승 또는 국가간 임금수준의 평준화로 인해 임금경쟁력의 상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따라서 특정산업의 自生力내지 成長價在力은 노동력과 임금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그 關鍵이 된다. 한편, 새로운 조건으로서는 시장대응력과 생산조직의 확산능력이다. 즉, 다양성과 급변성의 양상을 보이는 시장수요의 변화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신축성과 세계화 ? 현지화를 지향하는 생산조직을 유기적 · 동시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능력이 산업경쟁력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자동화기술은 그 기술적 속성과 기능적 용도에서 볼 때, 산업구조의 고도화에서 파생되는 제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새롭게 요구되는 경쟁요소들을 확보하는데 있어 가장 有用한 수단이며 또한 그 산업관련성 및 파급효과가 況塵業的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자동화기술의 확산은 그 변화방향과 목표의 측면에서 합목적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또한, 자동화분야는 그 기술적 ? 산업적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독립산업으로 발전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닌다. 前述한대로 기계, 전자,소프트웨어, 정보 · 통신등의 다양한 모체기술과 산업이 결합된 복합기술 · 복합산업의 성격으로 인해 기술 및 산업기반을 自生的으로 형성하기 어려운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자동화기산업이 대규모의 일반수요자를 위한 최종재, 표준화 제품을 생산 ?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공정설비 및 운용기법의 「中間材」를 제공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시장을 구축하기 어렵다는데 있다. 흔히 “불황에 가장 민감하고 경기회복에 가장 둔감하다”는 말로 대변되는 자동화분야의 시장적 특징은 자동화기술의 산업화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이 두가지의 속성은 “자동화분야는 산업구조 변화의 함수”라는 결론의 근거가 된다. 즉 r 복합산업」으로서의 특성과 동시에 「중간산업」으로서의 특성은 자동화분야의 기술발전이 여타 기술공급산업들의 기술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자동화분야의 산업기반이 여타 수요산업들의 구성과 비중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되므로 결국 자동화분야는 전체적인 산업구조의 변화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진행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3. 자동화기술 및 산업의 문제점과 비교우위自動化부문은, 하나의 塵業으로서 커다란 성장잠재력을 지닌 미래성장산업인 동시에 여타의 미래성장산업, 성숙산업 및 구조불황산업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요소로서 지대한 전략적 가치와 파급효과를 지닌다. 다시 말해, 자동화기술의 확산은 전환기에 선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고도화 · 합리화를 추진해 나가는 데 있어 「況塵業的」인 해결방안의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이러한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화부문은 기술력이 아직 脫弱하고 산업기반도 지극히 微弱하여, 전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확산을 통해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공헌하는 것은 고사하고 자체적인 산업화 및 기술발전의 기반을 확립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시장규모도 작을 뿐 아니라 산업조직도 미비하며 수요-공급을 연결할 슈 있는 메카니즘이 아직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또한 기술적으로도 대형 ? 첨단기술 및 소프트웨어분야는 거의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핵심부품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각종 통계자료나 조사보고서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국내의 시장기반을 구축하고 자동화율과 국산화율을 제고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자동화기술과 산업은 국제분업구조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즉, 시장구조도 대형 · 고가는 선진국 및 소형 · 중저가는 중진국으로 양분되어 있고 수직적인 분업이나 기술이전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중진국형 상황이 제공하는 위협요소와 기회요소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우리 특성과 여건에 맞는 발전목표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국내의 자동화기술과 산업은 현재 태동기를 지나 성장기로 진입하려는 중간단계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은 먼저 앞으로 우리의 자동화기술과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장기적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는」 단계이다. 즉, 그 동안의 축적과 경험을토대로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술적 · 시장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는 평가가 가능한 시점인 것이다. 또한 현시점은 장기적 전략과 방향을 「수립해야만 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우리가 많은 산업의 발전과정에서 경험했듯이, 단기간의 catch--up을 위해서는최종재생산우선 ? 기초재 · 중간재보완의 j띤課程이 불가피하거나 오히려 가장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순서에 의한 발전은 해당산업이 본격적인 주력산업으로 성장하여 선진국들과 치열한 기술 · 시장경쟁을 겪어

      • KCI등재

        119구조대원의 안전장갑 디자인 개발

        이교영,안효선,이인성,이태용,신혜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119구조대원은 각종 재난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사고 수습 등 일반 안전사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조대원의 다양한 구조 활동과작업 환경에 적합한 장갑의 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여활동성을 강화한 구조 장갑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조대원의 장갑 착용실태와 안전장갑 디자인 규정을 조사하였으며, 2015년 3월에서2016년 10월까지 현직 구조대원 총 282명을 대상으로심층면접, 표적집단 면접,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제품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개발된 디자인 프로토타입에 대한 착용 평가를 수행하여 만족도 및 개선안을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개선을 위한 구조대원 요구분석 결과, 보급되는 구조장갑의 대하여 보호기능, 착용감 및 관리 문제에 대한결점이 제시되었으며, 일반구조용, 산업용, 전술용, 라펠용의 작업 기능을 갖춘 활동용 장갑 개발에 대한 필요가 나타났다. 둘째, 구조 장갑 개발 방향 수립 결과, 돌출되는 관절부위의 부상과 쉽게 마모되는 부위에 대한 기능성 강화, 인체공학적 패턴 설계와 부위별적합한 소재의 활용으로 우수한 장비 조작감과 착용감 확보, 불필요한 특수소재의 최소화로 비용을 절감하는 디자인 전략이 도출되었다. 셋째, 구조 장갑 시제품은 활동용이성, 그립감, 내절단성, 경량감을 중점으로 소재, 디자인 개발 및 제작으로 이루어졌다. 착용 평가 결과, 손가락 관절부위에 스트레치성 스판덱스, TPR(Thermal Plastic Rubber), 하드타입의 특수보호대를 삽입하여 움켜쥔 동작의 관절과 흡사한 형태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부상을 방지할 수있다는 점에서 구조대원들이 구조장갑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용이성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 마모가 심한 부위 보호패드 이중덧대기로 마찰력과 내마모성이 향상되었으며, 관절 형태의 충격보호패드 삽입 등으로 움직임을 저하시키지않는 범위 내에서 보호 기능이 강화되었다. 119rescue workers carry out the duties of responding to general safety accidents such as rescuing human lives and controlling the scene of the accident in case of various casualty disasters and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for rescue gloves with enhanced performances by deriving the functional factors of gloves suitable for work environments related to various activities of rescue worker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gloves worn by rescue workers and the regulations of safety glove designs, established a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online surveys on a total of 282 currently active rescue workers from March 2015 to October 2016, and conducted a fitting test using the developed design prototypes to derive satisfaction levels and improvement matter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mands of the rescue workers for improving designs showed that there were flaws to the supplied rescue gloves in protective functions, wear sensation and maintenance issues, and also that there are needs for developing gloves for activities for general rescue, industrial uses, tactical uses, and rappel uses. Secondly, as a result of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rescue gloves, the following were derived; strengthening functionalities in parts easily worn or vulnerable for joint injuries, ensuring superior wear sensation and handling of equipment using ergonomic pattern designs and materials customized for different parts, and design strategies for reducing costs by minimizing unnecessary special materials. Thirdly, the rescue gloves prototype were created through material selection,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ing focused on movement performances, grip-feeling, cut-resistance, and lightweight feeling. The results of the fitting test showed that movement performanc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ly regarded factor by the rescue workers among the functions of a rescue glove, was enhanced in terms of preventing injuries from physical impact by forming a similar shape of the joints of the hand in a gripping-motion, by inserting stretchable spandex, TPR(Thermal Plastic Rubber), and hard-type special protector into the finger joint areas. In addition, the prototype provided a double-layered cover in parts easily worn out to enhance frictional force and durability, and protective functions were strengthened without movement levels dropping due to the insertion of impact protection pads.

      • KCI등재

        등가정하중법과 부분구조합성법을 이용한 구조최적설계

        최욱한(Wook Han Choi),나유상(Yoo Sang Na),박경진(Gyung-Jin Park) 대한기계학회 2015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9 No.8

        구조최적설계는 구조물의 성능 개선을 추구하며, 최근에는 구조최적설계는 항공기와 같이 복잡하고 대형인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다.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유한요소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는 설계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에 부분구조합성법으로써 구분모드합성법이 해석시간 단축을 위해 종종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동적특성을 고려하고 해석의 정확도는 유지하면서,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등가정하중을 이용한 동적응답 최적설계에, 부분구조합성법을 적용하여 설계영역만을 고려한 구조최적설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 검증을 위하여 선형 및 비선형 동적응답 최적설계의 예제를 풀이하고, 그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 Structural optimization pursues improved performance of structures. Nowadays, structural optimization is applied to the design of huge and complex structures such as an airplane. As the number of the finite elements is increased, the analysis solution becomes more accurate. However, the design cost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onent mode synthesis method that is using the substructure synthesis method is frequently employed in order to keep the accuracy and reduce the cost. A new design method for structural optimization is proposed to reduce the design cost and to consider the dynamic effect of the structure.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design cost by applying the equivalent static loads on the design domain. An example of linear dynamic response optimization is sol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 KCI우수등재

        행정절차구조의 유형화 시론 - 준사법절차적 대심구조의 구현을 중심으로 -

        김용욱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3

        Article 107 (3) of the Constitution explicitly requests that the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be enacted as a quasi-judicial procedure, but it does not explicitly request this in the remaining area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However, as there was a recent controversy in the case of the Minister of Justice in the disciplinary case against the Prosecutor General, there is a trend toward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like a quasi-judicial procedure in order to encure the fairness of judgment in general administrative procedures. However, due to practical problems, the will of the legislator has been transformed and differentiated into a new form that is neither a two-sided structure between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agency - the people” nor a three-sided structure of administrative appeal, a new type of administrative procedure structure today. As a result of inductively observing and comparing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the Disciplinary Commission,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structure was largely divided into “power distribution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ower distribution between departments.”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의 세부 구현형태로서 헌법 제107조 제3항은 행정심판절차에 대해서는 준사법절차(대심구조)로 입법할 것을 명시적으로 요청하고 있으나, 나머지 행정절차의 영역에서는 이를 명시적으로 요청하지는 않기에 입법형성권의 영역이다. 즉, 준사법절차로서 대심적 3면구조를 행정절차 일반에서 어느 정도로 구현할 것인지는 국민의 권익보호를 위한 절차적 보장(절차적 정당성)과 행정의 전문성·효율성이라는 가치 간 형량의 문제이므로 쉽게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일종의 행정사실현상으로서 행정실무가 반복되면 하나의 행정관행이 되고 행정관행이 고착화되면 행정관습법이 되어 규범의 공백을 대체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규범이라면— 규범의 시정 혹은 미래의 방향성에 영향을 주기에, 본고는 다양한 행정절차 실례를 귀납적으로 관찰·비교하는 방법으로 행정절차의 구조에 대한 실제적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행정처분의 발급을 위한 행정절차는 ‘처분청—국민’ 간의 2면구조를 전제로 하며 우리의 행정절차법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2020년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사건에서 논란이 있었던 것처럼 오늘날 행정절차 일반에 있어 심판자의 독립성·공정성 확보를 위해 대심적 3면구조를 지향하려는 추세인바, 여기서 적법절차원칙은 (내부적) 권력분립원칙과 공명하게 된다. 그러나 시대 의지는 불가항력적인 행정현실상 한계(인적·물적 한계)로 인해 전통적인 2면구조도 아니고 행정심판형 3면구조도 아닌 새로운 형태로 변형·분화되어 오늘날 행정절차구조의 한 유형을 이루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행정심판위원회, 징계위원회, 금융감독원의 제재심의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등의 행정절차 실례를 귀납적으로 관찰·비교한 결과, 행정절차의 구조를 전통적인 ‘처분청—국민’ 간의 2면구조 외에, ‘행정기관간 권한배분형(기관간 분화, 행정심판형) 3면구조’와 ‘하나의 행정기관 내 부서간 권한배분형(부서간 분화) 3면구조’라는 두 가지 3면구조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문서구조 추출기법을 이용한 엔지니어링 문서 텍스트 정보의 XML 변환

        이상호(Lee Sang-Ho),박준원(Park Junwon),박상일(Park Sang Il),김봉근(Kim Bong-Geu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6D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구조계산서와 같이 여러 종류의 머리기호를 사용하며 제목의 계층구조가 복잡한 형식을 띄는 엔지니어링 문서의 비구조화된 텍스트 정보를 제목의 계층 구조에 따른 준구조화된 XML 문서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텍스트 정보로부터 제목의 계층구조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해 문서구조분석 방법의 하나인 문서구조추출 기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개조식 구문의 식별방법을 개발하여 구조계산서 문서 계층구조의 제목추출괴정 및 계층구분의 전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에 따른 응용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총 40개의 교량 구조계산서를 대상으로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20개의 강거더 상부 구조계산서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응용모듈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또한 다른 구조형식에 대한 구조계산서 20개에 대하여 개발된 모듈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에 의한 문서 계층구조 분석의 최종 정확도는 평균 99% 수준 이상을 나타내고 표준펀치는 1.52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다양한 형식의 머리기호를 사용하여 제목을 구분하는 여러 엔지니어링 문서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transforming unstructured text contents of engineering documents which have complex hierarchical structure of subtitles with various heading symbols into a semi-structured XML document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ubtitle structure. In order to extract the hierarchical structure from plain text information this study employed a method of document structure extraction which is an analysis technique of the document structure. In addition a method for processing enumerative text contents was developed to increase overall accuracy during extraction of the subtitles and construction of a hierarchical subtitle structure. An application modu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ule was evaluated with 40 test documents containing structural calculation records of bridges. The first test group of 20 documents related to the superstructure of steel girder bridges as applied in a previous study and they were used to verify the enhanc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new module guarantees an increase in accuracy and reli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test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The remaining 20 test docum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The final mean value of accuracy exceeded 99%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1.52. The fin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diverse heading symbols in various types of engineering documents to represent the hierarchical subtitle structure in a semi-structured XML doc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