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토목사업 CM제도 활성화 방안
이상욱,박진홍,장원석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5D
국내 대다수의 토목 CM을 포함해 특히 도로부문 CM은 근 10여 년 간 다양한 시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 건설시장의 안착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감독, 감리, CM이 과도기적으로 운영되는 여건 속에서 다양한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활 속에서 부실시공 및 안전문제 등으로 대변되어 온 건설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극복하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을 이룩하여야 하는 당면과제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각 주체와 효율적으로 융화될 수 있는 CM의 정착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토목 CM의 정착화 방안에 대한 검증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행성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발주자를 위해 CM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돕는 문헌이 매우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CM 제도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CM의 업무 및 제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발주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CM 제도 활성화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 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향후 CM의 제도적 정립에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xemplary contracts of construction management (CM) including highway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ivil engineering area over the past ten years. However,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challenges as transitional circumstances have been revealed in the different participants of supervision, inspect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us, it is important to internally overcome problems and negative perception encountered in civil engineering, and to promote the efficiencies in construction cost and quality. In addition, external efforts should be put to market opening, global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petitiveness and high value industry. While it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concrete CM system by collaborating with various participants, proven architecture and system have not been provided because of incorrect measurement of CM accomplishment, overlap of responsibility between CM and supervision, and slow deployment in construction field.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CM practices and business environments, and presented the possible solutions for strategy improvement of CM in the owner’s view point.
김상효(Kim Sang-Hyo),최문석(Choi Moon-Seock),조광일(Cho Kwang-Il),윤지현(Yoon Ji-Hyu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1 No.4A
최근 들어 여러 분야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토목구조물의 경우 많은 자재와 공정괴정을 거쳐 건설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환경오염에 대한 대책과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경오염 대책 수립을 위해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 환경적합성평가를 강박스교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토목구조물 생애주기 단계를 반영하여 타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환경적합성평가방법인 전과정평가(LCA)절차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대표적인 전과정평가 방법인 직접조사법과 간접추계법을 사용하여 대상교량의 환경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온실가스의 대표적인 CO₂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직접조사법을 이용 할 경우 241.27 ton의 CO₂가 발생하였으며, 간접추계법을 사용할 경우 221.03 ton의 CO₂배출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발생한 CO₂는 대부분 건설자재 제조/생산단계에서 배출되는 경향을 보여,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원자재의 총량을 줄이는 효율적인 설계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 진행된 토목구조물에 대한 상세한 전과정평가는 향후 토목구조물에 대한 환경적합성 평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시, 참고지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methods on minimizing environmental effect caused from human-made good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Such issue has been also spotlighted into the civil engineering field; however,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on civil structures is very complicated, since they handles vast ranges of materials and has comparatively long life span with various construction stage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apply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into an ordinary type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most popular Life cycle assessment (LCA) procedures, which are called Survey-based method and Indirect method. For better comparison of two methods, greenhouse effect of the example bridge is considered. As result of analysis, total CO₂ emission is evaluated as 241.27 ton with Survey-based method while it is evaluated as 221.03 ton with Indirect method. It is also revealed that most CO₂ is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producing construction materials. Such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icient design which secures certain level of structural safety with minimized input materials.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LCA on civil structure performed in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other civil structures for reasonable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홍수정,오흥운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us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ign blank. In detail, The purpose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esign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ign blank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age, etc.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ignblank space and analyze the preference of the whole group and the cluster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ferences.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And a demographic and conjoi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whole group and the cluster group. The attributes of the subway sign blank space for preference survey are as follow : top and bottom blank, side blank, border line blank, arrow thickness, ‘station name’ and ‘line number’ order.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in the whole group is shown in the order of the border line blank, ‘station name’ and ‘line number’ blank, side blank, top and bottom blank, and arrow thickness. The cluster group is composed of 3 groups, 1 cluster is a woman who uses the subway almost every day, three to four times a week, and seems to prefer half the side blank. 2 crowd is the user who thinks that 60 or more subway signs are uncomfortable, and preferring the order of ‘station name’ + ‘line number’ order without border. The 3 clusters were men in their20s and 30s, with a preference for 1/5 border line blank and thin arrow thicknes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of the subway sign blank must be designed consistent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ge,and frequency of subway use for specific regions or routes. Secondly, It has been shown that, depending on the specific area or route, itis possible to design two or more types of design, not one type of standardized mark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ign blank.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철 이용자의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의 군집그룹별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성별, 연령 등의 특성에 따라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을 다양하게 디자인하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전체그룹과 군집그룹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선호도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호도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전체그룹과 군집그룹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를 위한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의 속성은 상하여백, 측여백, 테두리선 여백, 화살표 두께, ‘역명’과 ‘호선번호’ 순서로 설정하였다. 선호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그룹에서 속성의 중요도는 테두리선 여백, ‘역명’과 ‘호선번호’ 순서, 측여백, 상하여백, 화살표 두께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그룹은 총 3개의 그룹으로, 1군집은 지하철을 거의 매일, 일주일에 3~4회 이용하는 여성으로, 글자의 1/2 측여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군집은 60대 이상의 지하철 표지를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이용자로, 테두리가 없는 것과 ‘역명’+‘호선번호’ 순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군집은 20대와 30대의 남성으로, 글자의 1/5 테두리선 여백과 얇은 화살표 두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을 일관성 있게 디자인해야하지만, 특정지역 혹은 노선에 대해서 성별, 연령별, 지하철 이용횟수에 따라 다양하게 고려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둘째, 특정지역 혹은 노선에 따라서는 지하철 표지 여백에 대한 특성의 표지를 표준화된 한 가지 유형이 아닌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의 디자인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정량적 평가 지표를 활용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확도 판단기준 설정
이진영,김동균,박경운,김태웅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3
It is important to estimate flood overflow because adverse weather phenomena are frequently occurring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bnormal floods, it is essential to perform flood inundation simulations for constructing flood inundation maps as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However, there is no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and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prediction. In this study,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ROC) and Lee Sallee Shape Index (LSSI) were employ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s for 10 administrative districts. Comparing predicted inundation maps with actual inundation trace maps, the ROC score was 0.631 and the LSSI was 25.16 %. Using the ROC and the LSSI, we proposed an evaluation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map. The average score was set as an intermediate score and distributed into 5 interval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o the XP-SWMM model, which has been verified and corrected. The ROC analysis result was 0.8496 and the LSSI was 51.92 %.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can be applied to flood inundation maps.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홍수범람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침수범위에 대한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 중의 하나인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작성은 필수적이며 홍수범람 해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량적 평가방법과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ROC) 분석과 Lee Sallee Shape Index (LSSI) 방법을 이용하여 10개 행정구역에 대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ROC Curve Score는 0.631, LSSI 방법은 25.16 %로 분석되었으며, 각 행정구역에 대한 분석결과와 전체 결과를 활용하여 점수구간을 5개로 나누어 호우피해 예측지도 평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보정이 완료된 XP-SWMM 모형의 ROC 분석과 LSSI 결과, 각각 0.8496, 51.92 %로 분석되어 침수피해 예측지도에 대한 평가기준의 적정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에 대한 정략적인 평가기준은 다양한 재해지도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